항목
-
-
-
-
-
사간원 司諫院내용 언론 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또는 미원(薇院)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은 간관(諫官)이라고 하며, 사헌부의 관원인 대관(臺官)과 병칭해 대간(臺諫)이라 한다. 연원은 중국 진나라와 한나라의 산기(散騎)·간의대부(諫議大夫)에서 찾을 수 있다. 간관 제도는 당·송시대에 정비되어, 문하성(門下省)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우헌납 우사간, 右獻納우사간으로 개칭되었다가 1372년 또다시 우헌납으로 환원된 뒤 고려 말까지 이어졌다. 1392년(태조 1) 조선왕조가 개창됨에 따라 문하부는 계승되었으나 우헌납은 문종대의 우보궐(右補闕)로 개칭되면서 폐지되었다. 우헌납은 간관의 일원으로서 여타의 간관 및 대관(어리대관)과 함께 각종 언론활동을 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조선 전기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308년(충렬왕 34)
- 폐지일 :
- 1392년(태조 1)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동계유고 東溪遺稿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권4에 서(書) 9편, 서(序) 1편, 기 2편, 잡저 3편, 행장 1편, 제문 11편, 애사 1편, 부록으로 『대관유고(大觀遺稿)』가 실려 있다. 시는 오언·칠언·장편(長篇) 등 자연을 노래한 시가 대부분이다. 서(書)에는 「여유전보의숙(與兪展甫宜叔)」 등 문안편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영보(李英輔)
- 창작/발표시기 :
- 1759년(영조 35)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4권 2책
- 간행/발행 :
- 이광원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국립극장 중앙국립극장, 國立劇場발전을 위해 국가에서 설립한 극장으로 정식 명칭은 중앙국립극장(中央國立劇場)이다. 이 극장은 순수 무대예술만을 사업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자체 공연, 대관사업, 시상제도의 실시, 연극 연기자와 전통예술 계승자 양성, 무대예술에 관한 조사·연구, 무대예술의 보급 선전과 국제 문화 교류 사업 등을 주된 목표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