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간쟁 諫諍
    주로 대관과 간관이 수행했다. 간쟁은 그 방법에 따라 사실을 간접적으로 비유하는 풍간, 임금의 마음에 거슬리지 않도록 말을 온순히 하여 간하는 순간, 정면으로 사실 그대로 간하는 직간, 시비를 가려서 임금이 행할 것을 강요하는 쟁간(爭諫), 자신의 목숨을 걸고 간하는 함간 등이 있다. 이중에서 풍간이 가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신헌 申櫶
    고종이 즉위한 후 대원군의 신임을 얻어 형조·공조·병조의 판서를 역임하고, 1866년 병인양요 때에는 총융사가 되어 강화도를 수비했다. 1876년 전권대관(全權大官)에 임명되어 구로다[黑田淸隆]와 강화도조약을 체결했으며, 1882년에도 전권대관의 자격으로 미국의 슈펠트와 조미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그는 국방...
    출생 :
    1810(순조 10)
    사망 :
    1884(고종 21)
    국적 :
    조선, 한국
  • 동창군 東倉郡
    동쪽은 운산군과 자강도의 송원군, 서쪽은 창성군·대관군, 남쪽은 태천군, 북쪽은 벽동군과 자강도의 우시군에 접해 있다. 행정구역은 동창읍 1개읍과 대유노동자구 1개구, 고직리·구룡리·대동리·두룡리·용두리·율곡리·이천리·봉룡리·성평리·신안리·창암리·청룡리·학봉리·학송리·화풍리·회상리 등 16...
    위치 :
    평안북도 북동부
    인구 :
    28,665 (2008)
    면적 :
    665.2㎢
    행정구역 :
    1개읍 1개구 16개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스콘 석 기적의 돌, Stone of Scone
    정복한 켈트족이 아일랜드에서 스코틀랜드로 가져왔다. 840년경에 이 돌은 스콘에 있는 한 수도원으로 옮겨졌다. 역사 기록에 따르면, 이 돌은 스콘에서 왕의 대관식용 옥좌의 일부가 되었다. 1292년에 스코틀랜드 왕위에 오른 존 드 베일리얼은 이 옥좌에 앉아 대관식을 올린 마지막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고, 그로부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어사대 御史臺
    지사(知事) 1명과 중승(中丞) 1명, 종5품의 잡단(雜端) 1명과 시어사(侍御史) 2명, 정6품의 전중(殿中) 시어사 2명, 종6품의 감찰어사 10명을 두었다. 이들은 대관으로 불리는데, 시정논집과 관료들에 대한 감찰업무 외에도 군주에 대한 간쟁 등 낭사의 간관과 같은 기능을 수행했으며, 서경권(署經權)도 가지고 있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고려
  • 쿤밍 1년 내내 봄처럼 따스한 도시
    성에 사는 26개 민족의 삶을 생생하게 소개한 윈난 민족촌, 그리고 근교의 석림이 볼 만하다. • 금마벽계방 • 취호 공원 • 쿤밍 원통사 • 금전 공원 • 대관 공원 • 윈난 민족촌 • 시 산 삼림 공원 • 쿤밍 석림 • 주샹 가는 방법 비행기 쿤밍 창수이 국제공항(昆明长水国际机场, 쿤밍 창수이 궈지 지창)은 도심...
  • 管, Kuan
    연주할 때는 드리워서 불며 두 손의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고 입으로 분다. 오늘날에는 구멍이 8개 있는 것과 9개 있는 것, 2종류가 있다. 또 대관과 소관으로 나뉘는데, 대관은 소관보다 일반적으로 음이 4도 정도 낮다. 중국 민속음악에서 흔히 쓰이는 독주 또는 합주용 관은 소리가 나지막하고 중후하여 비장하고 처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관악기
  • 사간원 司諫院
    내용 언론 삼사(言論三司)의 하나로, 간원(諫院) 또는 미원(薇院)이라고도 하였다. 관원은 간관(諫官)이라고 하며, 사헌부의 관원인 대관(臺官)과 병칭해 대간(臺諫)이라 한다. 연원은 중국 진나라와 한나라의 산기(散騎)·간의대부(諫議大夫)에서 찾을 수 있다. 간관 제도는 당·송시대에 정비되어, 문하성(門下省)과...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우헌납 우사간, 右獻納
    우사간으로 개칭되었다가 1372년 또다시 우헌납으로 환원된 뒤 고려 말까지 이어졌다. 1392년(태조 1) 조선왕조가 개창됨에 따라 문하부는 계승되었으나 우헌납은 문종대의 우보궐(右補闕)로 개칭되면서 폐지되었다. 우헌납은 간관의 일원으로서 여타의 간관 및 대관(어리대관)과 함께 각종 언론활동을 하였다. 참고문헌
    시대 :
    고려, 조선 전기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308년(충렬왕 34)
    폐지일 :
    1392년(태조 1)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김대벽 백안, 金大璧
    한 전통 건축 교양서를 통해 우리 건축물 속에 배어 있는 삶의 흔적을 탐구했다. 신영훈과 함께 〈우리 한옥〉(2000)·〈한옥의 향기〉(2000)·〈한국의 고궁〉(2005) 등을 편찬했으며, 〈한국 가면 및 가면극〉(1969)·〈한국 국악기 대관〉(1970)·〈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1985) 등에서 사진을 담당하였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가
  • 동계유고 東溪遺稿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에 시, 권4에 서(書) 9편, 서(序) 1편, 기 2편, 잡저 3편, 행장 1편, 제문 11편, 애사 1편, 부록으로 『대관유고(大觀遺稿)』가 실려 있다. 시는 오언·칠언·장편(長篇) 등 자연을 노래한 시가 대부분이다. 서(書)에는 「여유전보의숙(與兪展甫宜叔)」 등 문안편지...
    시대 :
    조선
    저작자 :
    이영보(李英輔)
    창작/발표시기 :
    1759년(영조 35)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2책
    간행/발행 :
    이광원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 국립극장 중앙국립극장, 國立劇場
    발전을 위해 국가에서 설립한 극장으로 정식 명칭은 중앙국립극장(中央國立劇場)이다. 이 극장은 순수 무대예술만을 사업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자체 공연, 대관사업, 시상제도의 실시, 연극 연기자와 전통예술 계승자 양성, 무대예술에 관한 조사·연구, 무대예술의 보급 선전과 국제 문화 교류 사업 등을 주된 목표로...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예술·체육/연극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6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