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문 圖們통문(統們), 치만(馳滿), 토문(土門), 두만(豆滿) 등은 모두 두만강을 지칭하는 말이다. 금 · 원대에 애야굴하(愛也窟河)와 통문하(統門河), 명대에 아야고하(啊也苦河)와 도문하(徒門河) 등으로 쓰이다가 청대에는 만주족 발음으로 토문강(土門江)이라 하였다. ‘토문’은 ‘만(萬)’의 의미로 ‘하원(河原)’, 즉...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학교절목 學校節目을 비롯, 사서오경 등을 통독하되 여러 번 반복하여 익히게 하고, 늘 권장하여 재관자로서 읽지 않은 자가 없도록 한다. 한편 계삭(季朔)마다 강한 바의 고하를 고사(考査 : 자세히 생각하고 조사함)하여 기록해두고, 연말에 그 점수를 통계하여 인원을 정하여 보고하여 초시급제를 주며, 희망에 따라 복시(覆試:초시에...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조익(趙翼)
- 창작/발표시기 :
- 1629년
- 성격 :
- 규정집
- 유형 :
- 문헌
- 분야 :
- 교육/교육
-
이시애 李施愛하였다. 처음 조정에서는 단천인 최윤손(崔潤孫)을 이시애에게 보내 위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최윤손이 이시애에게 붙어 조정의 밀사(密事)를 모두 고하는 등 조정 내부에서도 반란군과 내응하는 세력이 있었다. 또 한명회(韓明澮) · 신숙주(申叔舟) 등의 중신들이 내응하고 있다는 반군의 거짓 선전을 믿고 이들을...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요강 尿강항아리와 푼주는 곧 그 용기의 형태를 암시한다. 요강은 삼국시대 토기에서 발견되고 있는 것처럼 예로부터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생활용품으로 신분의 고하를 막론한 필수품이었다. 다만, 신분상의 차이가 있었다면 그것을 만드는 재료에 차등이 있었을 뿐이다. ≪산림경제≫에 기재된 여자의 혼수품 중에 놋요강...
- 성격 :
- 생활용품
- 유형 :
- 물품
- 분야 :
- 생활/주생활
-
전영경 全濚慶여자사범대학에서 물러나 『동아일보』 문화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64년 네 번째 시집 『어두운 다릿목에서』를 일조각에서 발간하였으며, 1965년 평전 『고하 송진우전』을 동아일보사에서 간행했다. 1967년 동아일보에서 문화부장과 조사부장을 역임한 후 퇴직했다. 1969년 국제대학 국문과 교수로 임용되어...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30년 8월 22일
- 사망 :
- 2001년 5월 5일
- 경력 :
- 수도여자사범대학 교수, 동아일보 문화부장, 동덕여대 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 대표작 :
- 선사시대, 김산월 여사, 나의 취미는 고독이다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경주(慶州)
-
후와 비, 빈 내명부와 외명부, 后와 妃, 嬪평생 남자라고는 왕과 환관만 만날 수 있었는데, 이들의 지위는 당연히 왕과 관련되어 그 높고 낮음이 정해졌다. 외명부 여인도 남편의 지위에 따라 그 지위 고하가 정해졌다. 내명부(內命婦) 내명부의 경우 정궁(正宮)은 왕의 본부인, 즉 정비(正妃)를 지칭하는 말로, 왕비(王妃) · 왕후(王后) · 국모(國母) 등으로...
-
초감제구송하는 과정이다. 베포침은 “오백장군 영실기암을 중심으로 흩어져 있는 일만팔천신 위엄전을 다 청하여 인간계로 나올 수 있도록 문 열립니다.” 하고 고하는 과정이다. 다음 심방의 말을 빌리면, 신의 거처는 속인(俗人)의 눈으로는 언덕이요 숲으로 보이지만, 귀신의 눈으로는 기와집 같다고 한다. 이 기와집 같은...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유하집 柳下集에서는 욕심이 적어야 좋은 시를 쓸 수 있다고 하면서 부귀하고 세력있는 자들만이 시를 잘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시를 짓는 데 신분의 고하가 있을 수 없다는 생각은 <해동유주서 海東遺珠序>에 나타나 있다. 중인층의 시를 모아 편찬한 ≪해동유주≫를 공자가 편찬한 ≪시경≫에 비유하고, 공자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세태(洪世泰)
- 창작/발표시기 :
- 1731년(영조 7)(간행)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4권 7책
- 간행/발행 :
- 조창회, 김정우
- 분야 :
- 문학/한문학
-
서울 안양암 극락왕생도 서울 安養庵 極樂往生圖쌍두의 반야용선(般若龍船)을 그렸다. 반야용선의 앞쪽에는 인로왕보살이 오색 번을 들고 길을 안내하고 있고 선미에는 관음보살이 서 있다. 왕생자는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남녀노소와 비구니까지 포함하고 있으며, 중앙에는 아미타부처가 함께 하고 있다. 반야용선 위 아미타부처가 자리한 전각은 지붕의 기와와 창방...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한국독립운동자연맹 韓國獨立運動者聯盟우익단체로 만들 것, 넷째 상해 프랑스조계와 공동조계 안에 있는 우리 동포의 기강확립을 위해 힘쓰며, 특히 밀정·변절자·내통자·정보유출제공자는 지위의 고하를 불문하고 처단할 것 등이다. 연원 및 변천 이와 같은 강령과 실천요강이 즉각 실천으로 옮겨져 광복사업을 각 부서별로 분담, 처리하였으며 연맹 부서...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7년 3월 1일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오파문집 梧坡文集市朝)의 변천과 도읍의 연혁, 정치의 성쇠, 산천, 성곽의 대소, 풍기(風氣), 인물의 강유성쇠(剛柔盛衰), 토양의 비척(肥瘠), 공물(貢物)과 부세(賦稅)의 고하 등을 강목체(綱目體)로 쓴 역사·지리서다. 이 책은 허목(許穆)이 편찬한 『동국역대사적(東國歷代事蹟)』을 비롯해 『세가지승(世家地乘)』·『여지승람(輿地...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최병호
- 창작/발표시기 :
- 192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7권 4책
- 간행/발행 :
- 최태석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
화한창수집 임술사화집(壬戌使華集), 和韓唱酬集이관되었다. 내용 이 책은 조선통신사와 일본인 39인의 필담창화를 7권에 걸쳐 기록하였다. 수권(首卷)에는 교토에서 이루어진 동복사(東福寺) 소신[祖辰], 고하쿠준[高伯順], 마쓰시타 겐린[松下見林] 등 3인과의 창화시와 에도에서의 하야시 게이호[林鷄峰], 하야시 호코[林鳳岡], 미나미 슌안[南春庵], 사카이 하쿠겐...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