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을사조약의 주요 내용
    약속을 하지 않을 것, 제3조, 통감을 두어 외교에 관한 사항을 관리하기 위하여 경성에 주재하고 한국 황제 폐하를 내알하는 권리를 가지고, 한국의 각 개항장 및 그밖에 일본 정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에 이사관을 설치해 본 협약의 조관을 완전히 실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일체의 사무를 관장한다는 것 등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포항항 浦項港
    영일만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조차가 6.2m로 항만건설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1962년 6월에 개항장이 된 구항과 포항종합제철(주)과 관련 산업이 입지함에 따라 건설된 신항이 있다. 국내 최초·최대의 인공항인 신항은 1968년 5월 내항의 착공을 시작으로 포항종합제철(주)의 확장과 선형(船型)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북도
  • 서부 공업 지대
    대종을 이루었는데, 주로 구시가지의 개량과 교외 신시가지 개발에 적용되었다. 일제하에서는 특히 항구도시들의 성장이 탁월했는데, 부산·인천·청진·마산 등이 크게 발달했고, 특히 개항장으로서 철도부설을 계기로 단시일 내에 대도시로 발달한 신흥도시는 청진·목포·군산·진남포·성진·웅기·신의주 등이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일제강점기
  • 서상우 徐相雨
    19) 통리기무아문부주사로서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참여했고, 1883년에는 종사관으로 조영수호통상조약 체결에 참여했다. 그해 홍문관교리가 되어 인천 개항장의 조계 획정에 참여했고, 동지사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84년 갑신정변 직후 참의교섭통상사무에 임명되었고, 이어 예조참판이 되어 전권대신...
    출생 :
    1831(순조 31)
    사망 :
    1903(광무 7)
    국적 :
    조선, 한국
  • 아편 전쟁의 결과
    제1차 아편 전쟁의 결과 난징 조약이 맺어졌다. 난징 조약의 내용은 홍콩의 할양, 광저우·샤먼·푸저우·닝푸·상하이의 개항, 개항장에 영사 설치, 배상금 지불, 공행상인 폐지, 관세 협의, 양국 관리간의 대등한 문서 왕복 등이었다. 제2차 아편 전쟁의 결과 맺어진 베이징 조약은 중국 노동자의 이민을 허가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쟁
  • 강화도 조약의 내용
    권리를 가진다. 제5조, 조선은 부산 이외의 두 항구를 20개월 이내에 개항하여 통상을 허용한다. 제7조, 조선은 일본의 해안 측량을 허용한다. 제10조, 개항장에서 일어난 양국인 사이의 범죄 사건은 속인주의에 입각하여 자국의 법에 의하여 처리한다. 영·일 조약을 모방한 이 조약의 체결로 조선은 일본에 부산·원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이헌영 李헌(金+憲)永
    임명되었다. 민건호는 서기로 임명되었다. 1881년 조사 시찰단의 이헌영과 민건호의 관계가 부산감리서에서는 감리와 서기[관]의 관계로 바뀌었다. 개항장 감리서는 개항장에서의 외국인의 상업 및 기타 활동을 관리하고 개항장의 해관[세관]을 관리 감독하기 위해 설립된 지방 관청이다. 이헌영은 1883년 12월 11...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중구
  • 부천시의 연혁
    제도 개정으로 1895년에 인천부 부평군, 1896년에 경기도 부평군이 되었다. 1899년에 경인선이 개통되면서 부천지역에 소사역을 두었다. 1914년 군면폐합 때 개항장을 인천부로 지정하고, 인천부의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 전역, 강화군 북도면, 남양군 대부면·영흥면을 통합한 광대한 면적의 행정구역을 신설하고 인천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기도
  • 조선 ・ 러시아 육로통상장정 체결
    개방된 상태였다. 다른 서양 국가들과 달리 조선과 국경을 접했던 러시아는 두만강 연안 100리를 모두 개방할 것을 요구했다. 러시아인에게 특권이 부여된 개항장으로서 평양을 열라는 요구도 제시했다. 그러나 조선은 평양 개항 요구를 받아들일 생각이 없었다. 청나라도 러시아를 방해하면서 추가 개방지는 경흥부 한...
    시대 :
    1888년 7월 13일
    국가/대륙 :
    한국
  • 시모노세키 조약 하관조약, <일>下關条約
    체결한다. 5. 사시(沙市) · 중경 · 소주 · 항주를 개시(開市) · 개항(開港)한다. 6. 의창-중경 간, 상해-소주-항주 간의 기선항로를 승인한다. 7. 개항장에서 각종 제조업에 일본인의 종사권을 승인하고 내국세에 대해 특전을 부여한다. 8. 본 조약 비준 후 3개월 이내에 일본군은 철퇴하며 조약을 성실히 이행하는...
  • 진해항 鎭海港
    물량장 등의 항만시설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제2차 경제개발계획 기간에는 암초제거·부두도로포장·호안복구·방파제복구·준설작업 등을 했다. 1991년에 개항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최근에는 안벽길이를 연장하여 부산항·마산항과 연계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1992년 현재 항내수면적은 총 4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계해약조 癸亥約條
    지급할 것, 좌선인수는 대선 40명, 중선 30명, 소선 20명으로 한할 것, 고초도에서 어획하는 자는 지세포만호의 문인을 받아 어세를 낼 것 등이었다. 왜인이 개항장에 도착한 후부터 본국으로 귀환시까지 비용은 조선측이 부담했는데, 그 접대비용과 세역미두가 너무 많아 재정긴축이 필요했다. 그러나 이같은 긴축정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9 현재페이지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8건

부산항(개항 초기)
제물포 부두(개항)
부산항(개항 초기)
개항기 부산 부두
목포항(개항)
인천 제물포 개항장 찾아가는 길
인천 개항장의 현재 모습
요코하마 개항장의 외국 선박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