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진해항

다른 표기 언어 鎭海港

요약 한국의 대표적인 군항이며, 최근 들어 공업항으로 발달하고 있다. 진해만 안쪽에 있으며, 거제도·가덕도·부도 등의 섬들과 주변의 반도들이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내가 넓고 수심이 깊어 천연의 양항을 이룬다. 1900년초 일본과 러시아가 이곳을 근거지로 삼으려는 각축전을 벌였으나 결국 1902년부터 일본이 군항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러일전쟁 때 일본연합함대가 항만공사를 서둘러 1905년 진해만요항사령부를 설치하면서 군항으로 발달했다. 8·15해방 이후 한국군 해양경비대와 해병대가 이곳에 창설되면서 해군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는 속천동·제항산동에 걸쳐 있는 구항으로 어항을 겸하고 있으며, 속천항이라고도 한다. 신항은 1965년 장천동에 진해화학(주) 비료공장이 들어서면서 공업항으로 건설되었다.

진해항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국의 대표적인 군항이며, 최근 들어 공업항으로 발달하고 있다. 항만법상 무역항이다. 진해만 안쪽에 있으며, 거제도·가덕도·부도 등의 섬들과 주변의 크고 작은 반도들이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내가 넓고 수심이 깊어 천연의 양항을 이룬다. 이러한 여건으로 인해 1900년초에 일본과 러시아가 이곳을 근거지로 삼으려는 각축전을 벌였으나 결국 1902년부터 일본이 군항으로 개발하기 시작했다. 1904~05년의 러일전쟁 때 일본연합함대가 진해만을 기지로 삼고 항만공사를 서둘러 1905년에는 진해만요항사령부를 설치하면서 군항으로 발달했고, 진해시는 군사항구도시로 발달했다.

8·15해방 후에는 한국군 해양경비대와 해병대가 이곳에 창설되면서 해군의 중심지가 되어 군항으로의 역할을 유지했다. 이는 현재의 속천동·제항산동에 걸쳐 있는 구항으로 어항을 겸하고 있으며, 속천항이라고도 한다. 신항은 1965년 9월 장천동에 진해화학(주) 비료공장이 들어서면서 원료와 제품의 수송을 위한 공업항으로 건설되었다. 제1차 경제개발계획 기간에 안벽·물량장 등의 항만시설을 갖추기 시작했으며, 제2차 경제개발계획 기간에는 암초제거·부두도로포장·호안복구·방파제복구·준설작업 등을 했다. 1991년에 개항장으로 지정되었으며, 최근에는 안벽길이를 연장하여 부산항·마산항과 연계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항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1992년 현재 항내수면적은 총 4만 7,000㎡, 연간 하역능력은 171만 5,000t이다. 주요항만시설로는 구항에 소규모의 방파제 120m와 호안(護岸) 840m, 선착용 돌제(突提) 등이 있고, 신항에는 2만t급 2선좌, 1,000t급 5선좌 등 대형선박 7척을 동시에 접안할 수 있는 부두 879m, 경사물량장 123m, 호안 1,002m가 있다. 화물수송 선박수는 총 1,537척이며, 그 중 연안선이 1,139척이고, 외항선은 398척이다. 취급화물량은 총 128만 485t인데, 그 가운데 입항화물량이 119만 2,842t(모래·규사·황산·암모니아·유황 등)이며, 출항화물량은 8만 7,643t(철재·PVC·납석 등)이다. 여객선으로는 구항에서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 간에 500t급 카페리호 2척이 수시로 운항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남도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진해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