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소부인 智炤夫人元貞)·장이(長耳)·원망(元望) 등 아들 다섯과 딸 넷을 두었다. 그녀의 자녀들에 대한 법도는 대단히 엄하여 당나라 군대와의 전투에서 패배한 아들 원술이 감히 아버지 김유신을 보지 못하고 숨어 살다가 김유신이 죽은 뒤에 그녀를 뵙기를 청하였으나, 그녀는 “부인(婦人)은 삼종(三從)의 의리가 있는데, 지금 내가...
- 시대 :
- 고대/삼국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부인(夫人)
- 유형 :
- 인물
- 직업 :
- 공주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대사
-
황룡국 黃龍國위하여 목을 베라고 부탁하였다. 이에 같은 해 3월에 황룡국왕이 사람을 보내어 해명을 청하였다. 해명이 오자 처음에는 죽이려고 꾀하다가 그를 보고서는 감히 해를 가하지 못하고 도리어 예로써 보내 주었다. 이 같은 황룡국왕과 해명태자와의 관계 속에서 고구려 초기의 국가 규모 내지는 능력 뿐만 아니라 대외관계...
- 시대 :
- 고대/삼국/고구려
- 성격 :
- 고대국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역사/고대사
-
김세충 金世沖및 활동사항 1232년 몽고의 침입이 본격화되자, 집권자 최우(崔瑀)가 재추(宰樞)를 불러들여 천도할 것을 의론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최우의 위세에 눌려 감히 반대하지 못하고 있을 때, 야별초지유(夜別抄指諭)로 있던 김세충은 “송경(松京: 지금의 경기도 개성)은 태조 이래 2백여 년이나 지켜온 도성으로 성이 견고...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232년(고종 19)
- 경력 :
- 야별초지유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디에고 벨라스케스, 〈아라크네의 신화〉로마의 저술가 오비디우스(Publius Naso Ovidius, BC 43~17)가 쓴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에는 재능이 워낙 출중해 감히 신에 도전장을 내민 맹랑한 소녀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리디아에서 염색업을 하던 아라크네라는 처녀였다. 아라크네는 베 짜는 솜씨가 하늘을 찌르자 스스로 그 바닥 최고의 신인 미네르바...
- 저작자 :
- 디에고 벨라스케스(Diego Rodriguez de Silva y Velazquez, 1599~1660)
- 제작시기 :
- 1657년경
-
간이 붓다 肝이 붓다간이 부었다는 것은 추진력이나 결단력이 너무 지나쳐 무모할 때 쓰는 말이다. 바뀐 뜻 실제로 간이 부었다는 뜻이 아니라, 겁 없이 어떤 일에 달려드는 것을 가리킨다. 보기글 ㆍ자네, 간이 부었나? 감히 거기가 어디라고 뛰어드는가? ㆍ너, 간이 부어도 아주 단단히 부었구나. 우리 대장을 너 혼자 상대해보겠다고?
- 유형 :
- 관용구
-
유척기 전보(展甫), 兪拓基이천보(李天輔)가 영의정에서 물러나자 영조에 의해 중용되어 영의정으로 임명되었다. 벽파 김상로를 조정에서 대할 때 항상 싫어하는 기색이었으나 김상로는 감히 말을 못하였다. 1760년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가 되었고, 이어서 봉조하(奉朝賀)를 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기국(器局)이 중후하고 고금의 일에...
- 시대 :
- 조선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장응인 여원(汝元), 張應仁생애 및 활동사항 중국말을 잘 하였다. 명사(明使) 및 차관(差官)이 올 때마다 차비관(差備官)으로서 통역을 잘 하여 비록 탐욕스러운 명나라 사람이라도 감히 함부로 토색질을 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1583년(선조 16)에 의주의 역학훈도(譯學訓導)로 부임하여 갔는데, 그 곳 목사가 일찍이 달밤에 통군정(統軍亭)에...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역학훈도, 통정대부(通政大夫)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인동(仁同)
-
아우구스티노의 영향가톨릭 교회를 그처럼 정의한 데에는 아우구스티노의 학설 가운데 들어 있는 좀더 터무니없는 주장들을 배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그렇지만 빈켄티우스는 감히 아우구스티노를 이단적이라고 하지는 못했다. 아무튼 아우구스티노의 학설 속에 끼여 있는 좀 터무니없는 주장들은 그의 권위 때문에 신학적으로 해로운 유산...
-
190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활빈당 선언이르니 만성(萬姓)이 공의하는 바 되고 죽음에 맹서하여 의를 삼남(三南)에서 거(擧)하여 가장 급한 국정과 민원(民寃)의 13조목을 후록(後錄)하고 이에 감히 임금의 말씀을 엎드려 바라나이다. 바라옵건대 살피시어 이로 하여금 뒤에 임금께 계달(啓達)되어 각도의 사림 중에서 현량 충의의 선비를 뽑아 위로는 거의...
- 시기 :
- 19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