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세 그리스어 (관련어 비잔틴 그리스어) Medieval Greek, 中世ギリシア語
    그리스어의 역사 중세 그리스어그리스어 발달의 네 번째 단계이다. 기원후 330년, 로마 제국의 수도가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천도될 때부터, 145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의 언어이다. 중세 그리스어는 비잔티움 제국과 시대를 같이 했기 때문에, 이를 비잔티움 그리스어...
    도서 위키백과
  • 그리스어 Greek language
    순수하지 않은'언어로 간주하고 모든 저술에 고대 그리스어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들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코이네가 계속 발전되는 동안에도 비잔틴 그리스어라고 부르는 문어체는 여전히 아티카 방언의 전통에 뿌리를 내리고 있었다. 따라서 문어체와 구어체 사이에 생긴 틈이 점점 더 커지게 되었다. 오늘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비잔티움 그리스어 Byzantine Greek language
    비잔티움 제국 시대의 구어는 문어처럼 고체를 쓰려는 경향을 띠지 않고 계속 발전했다. 비잔틴 그리스어는 아직도 그리스 정교회의 예배의식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그리스 문학 Greek literature
    우아하고 세련된 문체에 있다. 핀다로스의 작품으로는 올림픽의 승자들을 축하하여 쓴 〈올림피아드 Olympiads〉를 비롯한 여러 작품들이 남아 있다. 그리스어처럼 변화무쌍하고 창의적인 언어는 번역하기가 쉽지 않은데, 특히 극작가 아이스킬로스(BC 525~456/455)의 비극들이 그렇다. 그의 희곡들은 여러 나라 말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고대
  • 게오르기오스 Georgios Trapezuntius
    이탈리아와 교황령에서 그의 학문적 영향, 문법과 문예비평에 관한 이론,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2세기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그리스어 저서에 대한 라틴어 번역은 때때로 심하게 비판받았지만 이탈리아 인문주의와 문예부흥을 문화적·문학적으로 살찌우는 데 크게 이바지했다. 게오르기오스는 청년시절...
    출생 :
    1396, 크레타 칸디아
    사망 :
    1486, 로마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레온 6세 현제 레온, Leo VI
    870년부터 공동황제였고 886년부터는 단독으로 제국을 다스렸다. 그가 만든 그리스어 법률들은 비잔티움 제국의 법전이 되었다. 법전 편찬을 시작했던 마케도니아인 황제 바실리오스 1세와 그의 2번째 아내 에우도키아 잉게리나 사이의 아들로, 870년에 공동황제가 되었으며 아버지가 죽은 뒤 제위에 올라 아랍인과...
    출생 :
    866
    사망 :
    912. 5
    국적 :
    비잔티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신약성서 현대 그리스어 편집본
    Ae와 비잔틴 전승) 등 4개 본문군으로 분류했다. 이러한 본문 가계도는 제임스왕 역본의 대본이었던 텍스투스 레셉투스가 아주 열악한 사본이었음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여기에 반해 영어 개역 표준역(RSV)은 바티카누스 사본(B) 및 시나이티쿠스 사본(S)과 같은 우수한 본문 형태를 대본으로 번역된 것임을 보여주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비잔틴 판본형 Byzantine text-type, ビザンチン型ギリシア語写本
    위치에 걸쳐 다양하지만, 이는 또한 대부분의 종교 개혁 시대(개신교) 신약 성서를 모국어로 번역하는 데 사용된 공인본문(Textus Receptus) 그리스어 본문의 기초가 된다(비잔틴 판본형에서 벗어난 일부 읽기가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번역(1900년 이후)은 대부분의 학자들이 가장 정확한 판본형으로 간주...
    도서 위키백과
  • 동로마 제국 Byzantine Empire, 東ローマ帝国
    폴리스는 규모, 부, 문화 면에서 당대 기독교 세계의 선도적인 도시 역할을 수행했다. 고전 그리스 철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싹텄을 뿐만 아니라 토착 그리스어로 작성된 문학적 기록들의 증가가 목격되었다는 정보도 있다. 비잔틴 예술과 그 문학은 유럽에서 탁월한 지위를 차지했으며, 이 기간 동안 비잔틴 예술이...
    도서 위키백과
  • 비잔틴 성상파괴운동 Byzantine Iconoclasm, 聖像破壞運動 (東..
    842년까지 있었다. 황제가 교회의 수장인 황제교황주의체제로 발전한 비잔틴제국에서는 황제와 교회가 대립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황제는 성직자를 견제하고...파괴(Iconoclast)운동을 일으켰다. 성상파괴라는 말인 Iconoclasm은 그리스어 εἰκονοκλάστης에서 왔는데, εἰκονο- icono- [형상...
    도서 위키백과
  • 동방 정교회 Eastern Orthodox Church, 正教会
    차츰 비잔틴 전례로 통합되어갔다. 현재 정교회에서 쓰는 전례문서는 총 4가지 종류가 있다.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성찬예배: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성찬예배로 보통의 주일이나 평일에 이루어진다. 성 대 바실리오스 성찬예배: 성 요한 크리소스톰의 성찬예배와 그 구조가 거의 비슷하나 사제의 기도문 등이 약간...
    도서 위키백과
  • 비잔틴 예식 ~禮式, Byzantine Rite
    본디 시리아 예식에서 기원하는 비잔틴 예식은 체사레아와 안티오키아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옮겨진 것이다. 처음에는 그리스어로 되어 있었으나 나중에는 고대어와 현대어를 포함한 모국어를 사용하였다. 이 예식은 팔레스티나 수도원들에 있었던 전례 중에 가장 중요하고 영속적인 예식을 담고 있다. 로마 예식 다음...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