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트리니다드토바고는 부분적으로 발달한 자유기업 경제로 특정산업에 정부의 참여와 규제가 따른다. 경제는 석유생산과 석유가공에 의존한다. 석유가격의 하락으로 1980년대초부터 국민총생산(GNP)이 계속 감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인당 GNP는 카리브 해 지역에서 가장 높은 나라로 손꼽힌다. GNP는 레스토랑과 호텔업을 비롯해 수송·통신·저장·상업 등이 주종을 이룬다.
농업은 GNP의 적은 부분만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약 1/10이 종사한다. 주요 환금작물로는 사탕수수·감귤류·카카오·커피·코코넛·코프라·바나나 등이 있다. 내수용으로 쌀, 완두콩, 카자누스속의 관목, 옥수수, 카사바, 고구마, 타로감자, 채소 등의 농작물이 재배된다.
사탕수수는 반제품 설탕·당밀·럼주 등의 원료가 되며, 남은 바가스로 건축자재인 트린보드를 만든다. 목초지는 국토의 약 2%에 불과하다. 주로 돼지·소·염소 등을 방목한다. 인도인 농부들이 인도에서 가져온 물소가 논 경작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양봉이 활발하며 꿀과 벌이 시장에서 매매된다. 상업용으로 쓰이는 티크와 카리브 소나무 삼림이 광대하게 펼쳐져 있다. 제재목의 3/4이 공업용으로 쓰이고 1/4이 연료와 숯으로 사용된다. 어업은 여전히 민간인들에 의해 소규모로 이루어지며, 연간 어획량은 국내 수요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1970년대에 새우어선단, 통조림 가공공장 등이 세워졌다. 광업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석유산업은 GNP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노동력의 약 1/6이 종사한다. 석유와 천연 가스는 육지와 근해 산지에서 생산된다. 아스팔트와 피치 모래가 피치 호와 다른 유사한 광상에서 추출된다. 그밖에 섬록암·석회암·규질점토암·고령토 등이 채석된다. 주요공산품으로는 정유, 석유화학제품, 질소비료, 철, 강철, 메탄올 제품, 설탕, 플라스틱, 의복, 비누, 신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수입품 및 대용품이 있다. 수입된 부품을 조립하여 텔레비전과 오토바이를 만드는 공장도 있다. 관광업은 겨울 휴가와 자연경관을 이용하여 발달한 편이다. 관광객의 절반 이상이 주로 미국·캐나다·유럽 등지에서 온다.
세입과 지출은 대체로 균형을 이룬다. 수입원의 주종을 이루는 석유업이 저조할 때만 적자가 발생한다. 1980년대초 석유의 과잉공급이 있은 후 높은 인플레이션과 실업이 계속되었으며, 그로 인해 1990년대에 트리니다드토바고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포트오브스페인·포인트아피에르·포인트리사스·스카버러 등이 주요항구이다. 포트오브스페인 부근에 있는 피아르코에 국제공항이 있다. 트리니다드토바고의 주요수출품으로는 석유제품·원유·비료·암모니아·철막대·강철막대 등이 있으며, 주로 미국과 영국에 수출된다. 수입품으로 기계류·수송장비·원유·염기제품 등이 있으며, 주로 미국·일본·영국에서 수입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남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트리니다드토바고의 경제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