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튀니지의 정치와 사회

다른 표기 언어

튀니지는 공화국으로서 1959년에 채택된 헌법이 단원제의 국회에 입법권을 부여하고 있으며, 국회는 5년 임기로 직접 선출되는 138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행정권은 5년 임기로 직접 선출되는 대통령에게 있으며, 대통령은 무제한으로 연임할 수 있다. 대통령은 임명직 각료들로 구성되는 내각의 보좌를 받으며, 내각의 수뇌는 국무총리이다. 데스투르(입헌) 사회당이 독립 이래 다수당이자 유일한 합법정당의 위치를 차지해왔다. 야당들은 선거에 참여하지 못하거나 선거에서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독립 사법부는 파기원(破棄院)을 정점으로 하며, 파기원 판사는 대통령이 임명한다.

튀니지의 사회보장제도는 근래 대부분의 노동인구에게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확대되었다. 국가에서는 노령수당, 장애자 연금, 유족 연금, 질병·출산·근로상해 보상금 등을 지급하며, 무료 진료사업도 시행한다. 보건상황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으며, 많은 개발도상국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다. 의료시설과 의료진의 수가 아직 전국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지만 예전에 비해서는 상당히 증가하여 천연두의 근절과 장티푸스·디프테리아·발진티푸스 같은 주요전염병의 억제에 기여하고 있다. 유아사망률이 출생아 1,000명당 90명에 달하고, 사망자 대부분이 5세 미만의 아이들로 유아·소아병이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평균수명은 거의 60세에 달한다. 영양상태는 대체로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1인당 1일 평균 약 2,700㎈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교육이 정부의 시책에서 차지하는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아 해마다 국가예산의 1/4을 배정받는다. 문자해득률은 남자가 약 60%이고, 여자도 거의 40%에 달한다. 공립교육은 무상이지만 의무제는 아니다. 6년제의 초등학교, 7년제의 중등학교, 3년제의 실업학교, 고등교육기관들이 있다. 등록학생의 수는 1960, 1970년대에 급증했지만, 1970년대말에는 계획적으로 감축되었다. 정부는 일체의 인쇄매체와 방송매체를 통제하며, 언론의 자체 검열은 점차 정부기관의 검열로 대체되고 있다. 방송산업은 독립 이래 국가의 독점산업이 되어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프리카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튀니지의 정치와 사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