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통영시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국가지정문화재(국보 1, 보물 3, 사적·명승 5, 천연기념물 5, 중요민속자료 2, 중요무형문화재 7),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4, 기념물 11,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10점, 등록문화재 5점이 있다.

세병관

세병관(조선), 국보 제305호, 경남 통영시 문화동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선시대 통제영이 있었고 임진왜란 당시 격전지로서 이순신과 관련된 유적지가 많다. 선사시대 유적으로 욕지면 노대리에 욕지도패총(경상남도 기념물 제27호), 산양읍 연곡리에 통영연대도패총(사적 제335호)이 있다. 명정동의 충무충렬사(사적 제236호)는 1606년에 건립된 이순신의 사당으로, 경내에는 이순신의 위훈을 찬양하여 명나라 신종이 보내온 충무충렬사팔사품(보물 제440호)을 비롯해 수조도 병풍 충렬묘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3호) 등이 소장되어 있고 뜰에는 수령 400여 년 된 충렬사동백나무(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가 있다.

당동의 착량묘(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는 1599년 이순신이 노량대첩에서 전사하자 지방주민들이 건립한 사당이다. 한산면에는 21개소의 이충무공 유적지가 있다. 한산도이충무공유적(사적 제113호) 가운데 제승당은 충무공이 한산대첩공훈으로 삼도수군통제사가 된 후 지은 건물로 1597년까지 삼도수군의 본영으로 삼았던 곳이다. 이곳에는 충무공의 영정을 모신 충무사와 한산정·대첩문·행적비 등이 있다. 정유재란 때 소실·폐진되었다가 1739년(영조 15) 조경 통제사가 중건하고 유허비를 건립한 이래 1976년에 복원되었다.

문화동에 있는 세병관(보물 제293호)은 1603년 이경준 통제사가 건립, 이듬해 삼도수군통제사영을 이곳에 옮겨와 300년간 본영으로 삼은 곳이다. 당동의 착량묘(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는 1599년 이순신이 노량대첩에서 전사하자 지방주민들이 건립한 사당이다.

봉평동에 있는 용화사(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0호)는 신라 선덕왕 때 창건된 것으로 경내에는 용화사보광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49호)을 비롯해 도솔암(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2호)·명부전·해월루 등의 건축물이 있다. 문화동벅수(중요민속자료 제7호)는 1906년(광무 10) 동민들이 풍수사상에 의거, 동남방이 허하다 하여 마을의 평안을 염원하는 토속적인 신앙심에서 세운 것이다.

북신동에는 조선시대에 축조된 통영읍성지가 남아 있으며, 산양읍 삼덕리에는 당포성지(경상남도 기념물 제63호)와 삼덕리부락제당(중요민속자료 제9호)이 있다. 당포성지는 고려말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최영 장군이 쌓은 성이다. 사량면에는 최영장군사당(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2호)이 있으며, 이곳 사람들은 장군의 위패를 모시고 매년 2회 사당제를 지내고 있다.

광도면에는 통영향교(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8호)와 안정사가 있다. 안정사는 신라 654년(무열왕 1) 원효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경내에는 안정사대웅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0호), 안정사범종(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3호), 안정사괘불(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2호), 안정사련 및 금송패(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84호), 안정사만세루(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5호) 등이 있다.

천연기념물로는 한산면의 홍도괭이갈매기번식지(천연기념물 제335호), 도산면 도선리의 백로 및 왜가리 번식지(천연기념물 제231호), 욕지면 우도의 생달나무와 후박나무(천연기념물 제344호), 욕지면 모밀잣밤나무숲(천연기념물 제343호), 한산면 통영비진도의 팔손이나무자생지(천연기념물 제63호), 산양읍 추도의 후박나무(천연기념물 제345호) 등이 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고, 한산도의 충무공 유적지, 해수욕장과 낚시터 등이 많은 한국 제1의 해상관광지이다. 통영항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남망산공원에는 이충무공동상·한산대첩비·시조비·수향정이 있고, 산 중턱에는 조선시대의 무과 고시장인 열무정과 이곳 출신의 시인인 유치환시비가 있다.

이순신 장군 동상

남망산 공원의 이순신 장군 동상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시인 유치환 시비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산양읍에는 해상국립공원을 조망하며 해안 드라이브를 할 수 있는 산양일주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전구간에 동백나무가 심어져 있어 겨울 한철 동백꽃이 만발하며, 도로 주변에는 달아공원, 어류 축양장과 양식장, 낚시터가 산재해 있다.

또한 해안 곳곳에 낚시터가 산재해 있어 부산·마산·진주 등 인근 도시 주민들의 주말 낚시터로 이용되고 있다. 한국의 나폴리라 불리는 한려수도 관광권의 중추기지 역할을 하게 될 통영도남관광단지가 1996년 도남동 일대 약 28만 7,600㎡부지에 완공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남도

경상남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통영시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