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카노

다른 표기 언어 Kano
요약 테이블
위치 나이지리아 북부 카노 주
인구 4,030,000명 (2015 추계)
면적 499㎢
대륙 아프리카
국가 나이지리아

요약 나이지리아 북부 자카라 강변에 있는 카노 주의 주도.
Kano City라고도 함.

카노(Kano)

ⓒ Shiraz Chakera/wikipedia | CC BY-SA 2.0

고대에 철광을 찾아 부근의 달라 언덕으로 온 가야 부족의 대장장이 카노가 건설했다는 전설이 있다. 석제 도구들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선사시대에 취락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바로 그 자리가 하우사족이 세운 카노 왕국의 가제마수 왕의 재위(1095~1134)중에 왕국의 수도로 선정되었던 곳이다.

현재의 성벽은 12세기의 구조물 대신 들어선 것인데 15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14개의 성문이 있는 이 성벽은 길이 20㎞, 기부의 너비 12m, 높이 9~15m이다. 자카라 강변의 옛 성곽 내에 대상(隊商)들의 주요집결지인 쿠르미 중앙시장이 있다.

풀라니족의 지하드(jihād 聖戰)가 끝난 뒤 이 도시는 카노 토후국의 수도로 선정되었고, 대서양에서 나일 강까지 펼쳐지는 서부 수단 사바나 지대와 사막지대의 가장 중요한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카노에서는 하우사족이 만든 가죽제품·천·금속세공품이 수출되고, 가나로부터 콜라나무열매, 사하라 지방에서 소금, 바우치 토후국과 아다마와 토후국에서 노예, 차드 호에서 소다석(石), 유럽으로부터 사하라 횡단 낙타 대상들을 통해 칼날·무기류·비단·향미료·향수·서적이 수입되었다. 교환 수단으로는 주로 조개껍질이 이용되었다.

1903년 영국이 이 도시를 점령하고, 1912년 남동쪽으로 1,144㎞ 떨어진 라고스를 시발점으로 하는 철도가 개통되자 교역로가 기니 만이 있는 남쪽으로 변경되었다.

오늘날 카노 시는 나이지리아의 상공업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곳 주민들은 자급용 작물이자 지금은 상품가치가 높아진 땅콩을 재배하는데, 이 땅콩자루가 거대한 피라미드로 쌓아올려져 보관되다가 적당한 시기에 라고스로 운반·수출된다. 2번째로 중요한 수출품은 수피와 가죽제품이며, 가축의 거래량도 상당하다. 비이슬람교도들이 경영하는 이 고장 농장에서 사육되는 돼지들은 라고스로 출하된다. 달걀도 나이지리아의 다른 지역들에 공급된다. 전통산업으로는 제혁업·가죽장식품·돗자리제조·금속세공·재봉업·도기제작 등이 있다. 천과 가죽의 착색용 염료를 판매하는 현지의 매장들은 수백 년 전부터 이용되어왔다. 시의 공업은 대부분이 봄파이 공업단지에 집중되어 있다.

식료품으로는 구워 만든 제과류와 파스타, 가공육, 으깬 뼈, 통조림 식품, 땅콩, 땅콩기름과 식물성 기름, 청량음료, 맥주 등이 생산되며, 경공업 제품으로는 직물·편직물·텐트·침구·거품고무제품·의류·화장품·의약품·비누·양초·광택제, 플라스틱·가죽 제품, 금속·목재 가구, 철사제품·타일·양재기, 병원과 사무실용 비품, 컨테이너, 수송용 포장상자 등이 있다. 석면·시멘트·철근·자전거·자동차·트럭·화공약품 및 콘크리트 블록 등의 중공업제품도 생산되며, 강괴압연공장과 인쇄공장이 있다. 달라 구릉(534m)과 고론 두체 구릉(517m)이 우뚝 솟은 구시가지에 있는 저지의 물웅덩이와 토사 채취장에서 4각형의 평지붕 가옥 건축재료로 사용되는 진흙이 공급된다.

주민은 주로 카노파(카나와)의 하우사족이 대부분이지만, 카노 원주민의 후손임을 주장하는 아바가기아와족과 함께 풀라니족도 있다. 이 도시는 다시 100여 개의 구락(unguwa)으로 세분되는데, 이 구락들에는 각각 모스크와 시장이 있다. 가장 오래된 건물은 현재 토후의 관저로 쓰이고 있는 15세기에 지은 기단 룸파이며, 그 옆에 나이지리아 최대의 모스크인 중앙사원(1951)이 있다. 토후의 광장이 마주보이는 곳에 기단 마카마(마카마의 저택)가 있는데, 이 건물은 카노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물의 하나로 1959년부터 하우사족과 풀라니족의 문화유물을 진열하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옛 성벽으로 둘러싸인 지역(1961년부터 카노 시로 인정)과 봄파이 외에 하우사족의 거주지인 파게, 남쪽과 동쪽에서 이주해온 사람들이 사는 사본가리, 시리아인 거주지와 인접한 상가계획단지(1912), 현대의 관청 건물들과 유럽인·아프리카인의 고급 주택들이 들어서 있는 나사라와 등 4개의 구역이 있다.

여러 개의 종합병원과 전문병원, 의료전문학교, 치과병원이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바예로대학교(1975), 카노 주립고등교육원, 아라비아 율법학교(1934), 여러 개의 교사양성기관, 연방기술전문대학, 상업학교, 농업(낙화생)연구소가 있으며, 시내에 영국문화협회 도서관과 카노 주립도서관이 있다.

카노는 응구루·라고스·포트하커트 지역 등의 철도교통 결절지이며, 카노 주를 가로지르는 고속도로의 교차지이다. 시내에 국제공항이 있다.

지도
카노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아프리카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나이지리아 주요도시

추천항목


[Daum백과] 카노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