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은 국영기업과 사기업이 혼재하는 개발도상국의 자유기업 경제체제로 되어 있다. 1981년의 국민총생산(GNP)은 7억 7,000만 달러였으며, 1인당 GNP는 320달러로 저개발국 중에서도 최빈국에 속한다. 순수 GNP의 연간 성장률(1970∼80)은 -0.2%였고, 1980년대초까지도 마이너스 성장이 계속되었는데, 이는 사헬 지방의 한발과 개발을 위한 에너지 자원의 수입비용 때문이었다. 농업·임업·무역이 GNP에서 큰 몫을 차지한다.
농업은 GNP의 약 2/5를 차지하지만, 경작지는 전체토지의 약 3%에 지나지 않으며 그 가운데 많은 땅이 영세적으로 경작된다. 가장 중요한 가내 소비작물은 과일·근대류·곡물이다. 환금작물로는 땅콩·면화·커피가 있다. 열매와 기름을 얻기 위한 야자재배가 1980년대초에 상업적 기반이 되었으며, 장 베델 보카사 정권(1965∼79)의 방치정책으로 떨어졌던 농작물 생산고가 서서히 회복되기 시작했다.
보카사의 뒤를 이은 정부는 경제개발에 초점을 맞추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농업협동조합을 만들었고, 농업생산을 촉진시키기 위해 1982년 생산자 가격을 올렸다. 목초지는 국토의 약 5%를 차지하며 가축사육에 이용되는데, 소의 방목과 낙농은 체체파리로 인해 지장을 받는다. 임업은 GNP에서 농업이 차지하는 몫 가운데 약 2/5에 해당되며, 목재는 주요수출품이다. 그런데도 제재업이 미개발 상태여서 임산물 가운데 약 4/5가 땔나무로 쓰이며, 1/6이 공업용으로 쓰이고 1/10이 수출된다.
광업생산은 GNP의 약 3%밖에 되지 않지만, 금강석은 약 절반이 국외로 밀반출됨에도 불구하고 수출총액의 약 40%를 점한다. 우라늄 광산개발계획이 바쿠마 부근에서 시작되었으나 수송수단이 빈약하여 이 광산과 그밖에 광물자원의 개발이 지지부진하다. 제조업은 GNP의 약 12%를 차지하나 미개발 상태이며, 전통적인 경공업 분야에 주로 한정되어 있다. 중요한 공산품은 면직물과 의류·가죽제품·오토바이·자동차·가공식물유·벽돌·담배·맥주 등이다.
1980년대초의 전력생산은 6,400만kWh였는데, 94%가 수력발전이었고, 6%가 화력발전이었다. 건축은 GNP의 약 6%를 차지한다. 1980년대초에는 도로건설 및 살로·방기 두 하항의 개량이 최우선적인 공사였다. 인구의 약 절반이 노동인구에 속하며, 그 가운데 4/5가 농업에 종사한다.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은 프랑화 지역에 속하기 때문에 아프리카 공동재정(Communauté financiére africaine/CFA) 프랑(franc)을 사용하며, CFA 프랑은 100상팀으로 다시 나뉜다.
도로는 대부분 비포장이며, 수송수단이 취약하여 경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총길이 7,040km에 달하는 사통팔달의 수로망이 흘수가 얕은 배들이 운항하는 전통적인 교통로였다. 우방기 강을 통해 이 나라 최대의 항구인 방기 아래까지 외양선들이 드나들 수 있다. 방기에는 국제공항이 있으며, 국영항공사와 민간인이 주식의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는 항공사가 다른 지역의 작은 공항들과 연결되어 국내선 항공여객들을 수송한다.
무역수지는 1982년에 8,100만 달러의 적자를 보였다. 주요수출품은 다이아몬드·목재·면화·커피이고, 주로 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로 수출된다. 수입품은 주로 기계류와 수송장비, 비금속과 제조품, 화학제품인데 대부분 프랑스와 독일로부터 수입해온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제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