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최한기

다른 표기 언어 崔漢綺
요약 테이블
출생 1803(순조 3)
사망 1877(고종 14)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말기의 실학자.

최한기

최한기가 저술한 〈육해법 陸海法〉, 규장각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을 계승하면서 그것을 더욱 전진적으로 전개시켜 근대적 개화사상에 연결시키는 교량적 역할을 수행했다.

본관은 삭녕. 자는 운로, 호는 혜강·패동·명남루·기화당·가산제경루.

아버지는 치현이며 종숙 광현의 양자로 들어갔다. 김정호(金正浩)·이규경(李圭景) 등과 교유했다. 1825년(순조 25) 생원시에 합격했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학문 연구에 전심했다. 1872년 큰아들 병대가 조정의 시종이었으므로 관례에 따라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죽은 뒤 1891년 학행으로 계문되었고, 1892년 도헌겸 좨주로 추증되었다.

철학사상

최한기는 우주가 기(氣)의 산물이라고 보았으며 이(理)는 기의 조리이며 기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으로 "기가 있으면 반드시 이가 있고 기가 없으면 이도 없다"고 하여 주자학에서 주장하는 이의 일차성·절대성을 부정했다(→ 기일원론).

그는 기를 '신기'라고 표현했는데 이 신기는 단순히 물질적 존재의 근본형태에 그치지 않고 신의 공용으로 활동하는 힘이 있어 살아 움직이는 것이다. 이러한 신기의 운동변화의 법칙을 '운화의 이'로, 그 객관적 자연법칙이 주관적 의식에 반영되는 사유의 법칙을 '추측의 이'로 구분했으며 이 양자가 일치를 이루어 인간과 우주의 조화를 성취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한편 그는 인간은 사유기관과 감각기관을 갖추고 있어 세계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선천적인 지식이란 없으며 외부의 물질대상에 대한 신기의 경험을 통해서만 인식이 이루어진다. 이때 주체의 신기와 사물의 신기를 통하게 해주는 것은 인간의 감각적 지각과 견문을 통한 경험이다. 즉 감각기관을 통해 경험된 지각은 경험의 축적으로 생긴 기억과 변통을 통해서 양적 확충을 할 수 있으며, 추측을 통해 경험하지 않은 것에까지 인식의 영역을 넓힐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모든 사물이 운동·변화하며 그 법칙도 변한다고 생각했다. 사회나 인간은 끊임없이 운동·변화해야 자연법칙을 어기지 않게 되며 이를 어기면 폐해가 생긴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와 인간의 자연법칙을 위반하고 전진을 방해하는 것이 있을 때는 그 장애를 인간의 힘으로 제거하고 자연법칙에 맞추는 변통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변통의 사상은 그의 사회정치사상에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사회정치이념

최한기는 국가와 세계는 하나의 도덕으로 지배되어야 하며 그 도덕적 기초는 '인'(仁)에서 출발하는 박애·자애라고 보았다.

그래서 유교적인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결합한 사상을 가진 계몽된 군주와 인재에 의한 '인정'(仁政)을 정치적 이상으로 생각했다. 즉 봉건왕조의 왕권을 인정하는 가운데 종래의 정치적·사회적 모순을 개혁하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귀천에 관계없이 사회 각 분야의 재능 있는 사람들을 두루 포괄하여 등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세계의 발전추세를 알고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국을 하여 외국과 왕래함으로써 그 나라의 문물제도를 취사선택하여 문명을 도모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하여 대동의 개념을 이상사회론의 중심 이론으로 전개했다.

그는 종래의 고정적 신분개념인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사민을 사회적 분업으로 이해했으며 수공업자와 상인에 대한 차별을 반대하여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해 가던 당시를 천하의 물산이 만국에 주통(周通)하는 시대라고 하면서 상업의 의의를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실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던 농업·토지문제에 대해서는 지주제적 토지소유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농업기술의 발달과 상업적 농업, 분업화를 주장하는 등 개량적 사회개혁을 추구했다.

천문·지리·농학·의학·수학 등 학문 전반에 걸쳐 박학했으며, 서양 학문 및 과학기술을 도입하는 데에도 적극적이었다. 그의 저서와 편서를 모아 펴낸 〈명남루총서 明南樓叢書〉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최한기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