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최한기의 사회정치이념

다른 표기 언어

최한기는 국가와 세계는 하나의 도덕으로 지배되어야 하며 그 도덕적 기초는 '인'(仁)에서 출발하는 박애·자애라고 보았다.

그래서 유교적인 정치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과학과 기술의 발전을 결합한 사상을 가진 계몽된 군주와 인재에 의한 '인정'(仁政)을 정치적 이상으로 생각했다. 즉 봉건왕조의 왕권을 인정하는 가운데 종래의 정치적·사회적 모순을 개혁하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귀천에 관계없이 사회 각 분야의 재능 있는 사람들을 두루 포괄하여 등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세계의 발전추세를 알고 부국강병을 이루기 위해서는 개국을 하여 외국과 왕래함으로써 그 나라의 문물제도를 취사선택하여 문명을 도모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하여 대동의 개념을 이상사회론의 중심 이론으로 전개했다.

그는 종래의 고정적 신분개념인 사농공상(士農工商)의 사민을 사회적 분업으로 이해했으며 수공업자와 상인에 대한 차별을 반대하여 상공업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상품화폐경제가 발달해 가던 당시를 천하의 물산이 만국에 주통(周通)하는 시대라고 하면서 상업의 의의를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당시 실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던 농업·토지문제에 대해서는 지주제적 토지소유관계를 유지한 상태에서의 농업기술의 발달과 상업적 농업, 분업화를 주장하는 등 개량적 사회개혁을 추구했다.

천문·지리·농학·의학·수학 등 학문 전반에 걸쳐 박학했으며, 서양 학문 및 과학기술을 도입하는 데에도 적극적이었다. 그의 저서와 편서를 모아 펴낸 〈명남루총서 明南樓叢書〉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학자

학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최한기의 사회정치이념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