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8. 12. 7, 미국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
---|---|
국적 | 미국 |
요약 미국의 언어학자, 사회비평가. 언어학 분야의 혁명적인 이론인 변형생성문법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어렸을 때부터 토론을 통해 비판적 사고를 키운 노엄 촘스키는 펜실베니아 대학교에서 언어학을 전공하면서 본격적인 언어학자가 되었고, 아동의 언어학습과정에 대한 새로운 이론인 변형생성문법을 제시하면서 20세기를 대표하는 언어학자가 되었다. 촘스키는 한편 1960년대부터 미국의 베트남 전 개입에 대해 반대하면서 다양한 정치·사회·경제 등의 분야에 대하여 신랄한 비평을 가하는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했고, 2000년 이후 미국의 신자유주의 정책과 세계 전략을 비판하는 많은 강연과 저서를 남겼다.
노엄 촘스키는 미국의 언어학자. 철학자, 사회비평가. 독창적 언어분석 체계인 변형생성문법의 창시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초기 생애
노엄 촘스키는 중산층 유대인 가정에서 히브리어 학자인 윌리엄 촘스키(William Chomsky)와 엘지 촘스키(Elsie Chomsky, 결혼 전 성은 Simonofsky) 사이에서 태어났다. 촘스키는 초등학교 시절 자기주도학습을 권장하는 실험학교에서 공부하면서 비판적 사고를 키웠다. 13세 때 촘스키는 뉴욕 여행에서 유대인 토론 모임에 참여하면서 후일 그의 삶을 관통하게 되는 정치적 견해의 기초를 가다듬었다. 촘스키는 토론을 통해서 정치와 경제를 포함한 모든 사회문제를 이해하는 일과, 합리적이며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들 수 있다는 경험을 얻었다.
노엄 촘스키는 16세 때 펜실베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 촘스키는 아버지로부터 언어학의 기초를 배웠는데, 그의 아버지는 역사언어학의 테두리 안에서 히브리어를 연구하는 학자였다. 촘스키는 대학 입학 초기에는 적응을 못하고 약간 방황했으나 구조주의 언어학의 창시자인 젤링 해리스(Zellig S. Harris)를 만났고, 많은 영향을 받았다. 촘스키는 비록 이후 언어습득의 과정에 대하여 촘스키와 의견을 달리하기는 했으나 좋은 동료로 서로 자극을 주고받았다.
언어학에서의 기여
노엄 촘스키의 언어이론의 초기 단계가 나타나 있는 것은 그가 펜실베이니아대학교에 제출한 〈변형 분석 Transformational Analysis〉(1955)이라는 박사학위논문이다. 1955년 이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촘스키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근대어와 언어학을 가르쳤고 1961년 교수가 되었다. 1966년에는 페라리 P. 워드 기금의 외국어 및 언어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976년에는 석좌교수가 되었다. 촘스키는 언어를 인간이 보편적으로 타고난 능력의 결과로 간주하고, 자신의 언어관이 17세기 합리주의 철학자들의 사상과 관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노엄 촘스키가 문법이론에서 발표한 주요저서로는 변형 문법이론을 제시한 〈통사구조 Syntatic Structures〉(1957)·〈통사론의 여러 측면 Aspects of the Theory of Syntax〉(1965)·〈데카르트파 언어학 Cartesian Linguistics〉(1966)·〈영어의 음 구조 The Sound Pattern of English〉(모리스 할과 공저, 1968)·〈언어와 정신 Languages and Mind〉(1968)·〈언어학 이론의 논리적 구조 The Logical Structure of Linguastic Theory〉(1975)·〈언어에 관하여 Reflections on Language〉(1975) 등이 있다.
〈언어와 책임 Language and Responsibility〉(1979)은 언어와 정치의 관계, 사상과 과학의 역사, 생성문법의 세부 추이에 관한 탐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책이다. 이밖에도 <최소주의 언어이론(The Minimalist Program)>(1995), <언어와 생각 연구의 새 지평(New Horizons in the Study of Language and Mind)>(2000), <자연과 언어에 관하여(On Nature and Language)>(2001) 등의 저서를 펴냈다.
정치·사회적 활동
노엄 촘스키가 정치에 대한 깊은 관심을 보이고 종종 자신의 견해를 공개적으로 발표하게 된 것에 대하여 일부에서는 그의 전공인 언어와 정신에 대한 연구방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보기도 한다. 촘스키 자신은 자신의 언어 이론과 정치적 활동 사이에는 삶에 대한 본질적인 관심 외에 큰 관련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촘스키는 인간 본연의 삶을 위해 바람직한 정치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에 관심이 많았으나, 미국이 베트남 전에 개입하기 전까지는 공개적인 발언은 하지 않았다.
하지만 베트남 전이 발발하고 미국이 개입하자 1960~1970년대에 걸쳐 미국의 베트남 개입에 반대했다. 노엄 촘스키는 베트남 전에 대한 개입은 미국이 군사력을 이용해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경제적 이권을 강화시키려는 전략이라고 비난했다. 촘스키는 주요 자본주의 국가들의 정치에 대해서도, 경제적 특권과 정치 권력이 서로 보호하여 기득권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위험성을 강조했다. 이러한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정보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식인에게는 시민 사회를 위해 도움을 주어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노엄 촘스키는 2001년 9·11 테러 사건 이후 미국의 신자유주의 경향과 이라크 침공 등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미국 주도의 글로벌 자본주의가 국제 정세를 망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촘스키는 정치와 경제의 유착 뿐 아니라, 기업화된 언론도 이들 정경유착 세력과 연합하여 여론을 조작하고 있음을 고발하고, 시민 사회가 이들로부터 소외되는 현상을 집요하게 파헤쳤다. 촘스키는 이라크 공습을 지시한 조지 부시 대통령뿐 아니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중동 정책에 대해서도 미국 중심의 세계 제패 전략의 연장이라면서 신랄한 비판을 가하기도 했다.
노엄 촘스키는 미국의 외교 전략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드러낸 〈미국의 힘과 새로운 관료들(American Powea and the New Mandarins)〉(1969)·〈인권의 정치경제학 (Political Economy of Human Rights)〉(2권, 1979)·〈새로운 냉전을 위하여(Towards a New Cold War)〉(1982), <권력과 전망(Powers and Prospects)>(1996)를 비롯해 다양한 사회·경제 문제에 관한 자신의 정치적 견해를 표현하는 많은 책과 글을 썼다.
이밖에도 노엄 촘스키는 <패권이냐 생존이냐(Hegemony or Survival: America's Quest for Global Dominance)>(2003), <객관성과 리버럴 스칼라쉽(Objectivity and Liberal Scholarship)>(2003), <권력과 테러(Power and Terror: Post-9/11 Talks and Interviews)>(2003), <중동의 평화에 중동은 없다(Middle East Illusions: Including Peace in the Middle East)>(2003), <미래의 정부(Government in the Future)>(2005), <촘스키의 아나키즘(Chomsky on Anarchism)>(2005), <실패한 국가 미국(Failed States: The Abuse of Power and the Assault on Democracy)>(2006), <위험한 힘(Perilous Power)>(2006) 같은 책을 펴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