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학령에 도달하지 않은 어린이들에게 일정한 교육과정에 따라 교육을 행하는 것.
흔히 유아기에 음악·미술 등에 남다른 재능을 지닌 어린이에 대해 행해지는 재능교육, 역연령(曆年齡 chronological age)에 비해 정신연령(mental age)이 월등한 어린이에게 시행되는 영재교육과 혼용된다. 그러나 조기교육은 재능이나 지능이 뛰어난 어린이에게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데서 재능교육이나 영재교육과 구별되어야 한다.
조기교육은 취학 전 어린이에게 가장 필요하고 적합한 교육을 적시(適時)에 제공한다는 데 그 의미가 있으며 취학 후의 학습과 연관해서 고려되어야 한다. 조기교육의 가장 큰 목표는 어린이의 언어발달로, 학자들에 의하면 2~6세의 아동들의 표현과 이해력을 포함한 언어발달이 주요한 과업의 하나이다. 따라서 체계적으로 아동의 언어발달과 지능개발을 꾀하는 것이 조기교육의 한 목표가 된다.
조기교육을 시행할 경우 어린이의 심신 발달에 장애가 오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어린이들의 생활이 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해 교육자료를 놀이의 형식을 빌려 교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요즘에는 시험경쟁의 저연령화(低年齡化)가 진행되면서, 부모의 초조감을 이용한 상업주의적 조기교육의 폐해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러한 조기교육은 어린이의 전인격적 발달을 무시하고 특정 재능의 촉성(促成)재배식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어린이에게 역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유아교육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교육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