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말 서울 정동에 있던 주한 외교관과 조선 고관들의 사교·친목 단체.
정동구락부는 1894년(고종 31)을 전후하여 사교적 모임을 표방하고 설립되었으며, 주요회원은 조선정부측 고관인 민영환·윤치호(尹致昊)·이상재(李商在)·서재필(徐載弼)·이완용(李完用) 등과 미국공사 실, 프랑스 영사 플랑시, 조선정부의 고문으로 초빙된 르장드르·다이, 선교사인 언더우드·아펜젤러 등 주한 외교관·선교사들이었다.
당시 정동은 정치적 사교·외교의 중심지로, 미국 공사관이나 러시아 공사관 등 각국 공사관과 선교사들의 주택, 외국인이 경영하는 호텔·음식점·상점들이 많았다. 그러므로 당시 조선 정계의 인사들도 사교의 목적으로 이곳에 자주 출입하고 모임을 가졌으며, 자연스럽게 하나의 정치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 세력을 정동구락부 또는 미국파·정동파·영어파라고 불렀다.
한편 구미열강의 힘을 통해 일본침략을 저지하려 했던 고종과 명성황후가 이들 친러파·친미파 관료들의 정동구락부 출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줌에 따라, 정동구락부는 일본인을 철저하게 배제한 주한 외교관·선교사들과 조선의 친서구적인 고관들 사이의 외교연락기관·정치단체로 변했다.
이로써 정동구락부를 중심으로 일본세력을 견제하는 여러 가지 정치적 논의와 계획이 진행되었는데, 중전 민씨(명성황후)의 뜻에 따라 조선을 중립국으로 만들려고 했던 수차례의 논의와 토의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을미사변 이후 정동구락부를 중심으로 한 주한 외교관들은 고종의 신변보호에 적극적으로 나섰으며, 이는 1895년 11월 28일 춘생문사건으로 표출되었다. 춘생문사건은 정동구락부를 중심으로 한 조선의 친러파·친미파 고위관료들과 주한 외교관들의 간여하에 을미사변 이후 불안에 떨던 고종을 궁 밖으로 나오게 하여 을미사변으로 성립된 친일내각을 타도할 목적으로 계획되었으나 실패했다.
이 사건으로 미국공사 실은 본국 정부로부터 조선 내정에 간섭하는 일체의 행동을 엄금하라는 훈령을 받기도 했다. 또한 서재필은 정동구락부에 속해 있던 인사들과 긴밀한 접촉을 전개해 독립공원·독립문 건립문제를 거론하고, 이 일을 추진하기 위한 독립협회의 결성을 발기하게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