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고종

다른 표기 언어 高宗 동의어 이재황, 李載晃, 이희, 李㷩, 문헌무장 인익정효 태황제, 文憲武章仁翼貞孝 太皇帝, 주연, 珠淵, 성림, 聖臨, 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 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 조선 제 26대왕, 대한제국 제1대 황제
요약 테이블
출생 1852(철종 3)
사망 1919. 1. 21
국적 조선, 한국
종교 유교(성리학)
재위 1863년~1907년
시호 고종통천융효광무태황제
능묘 홍릉(洪陵)

요약 조선 제 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초명은 재황, 자는 성림, 호는 성헌. 철종이 후사 없이 죽자 조대비는 흥선군의 둘째 아들 익선군에 봉하고 왕으로 옹립했으며 즉위 초 10년간은 흥선대원군의 섭정이, 친정 이후에는 민비를 중심으로 척족 일가가 정권을 독점했다. 강화도조약, 갑오개혁, 을미사변, 을사늑약으로 이어지는 혼란스러운 대내외 정세 가운데, 1910년 일제에 의해 왕으로 격하되어 강제로 유폐되었고 1919년 1월 죽었다.

고종 어진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고종의 초상화. 제작 시기는 밝혀져 있지 않다. 입고 있는 강사포는 1897년 9월 대한제국의 황제임을 천명할 때 처음 착용한 조복으로, 조선이 자주 독립국임을 상징한다. 그림의 크기는 83×203cm이다. 서울시 종로구 청운동 소재한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정의

조선 제 26대 왕,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이름은 희(熙), 아명은 명복(命福), 초명은 재황(載晃), 초자는 명부(明夫), 자는 성림(聖臨), 호는 성헌(誠軒)·주연(珠淵). 아버지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하응(昰應)이며, 어머니는 부대부인 민씨이다. 비(妃)는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 민치록(閔致祿)의 딸 명성황후(明成皇后)이다.

1863년 철종이 아들이 없이 죽자 안동김씨와 반목하던 조대비에 의해 왕위에 올라, 자본주의 열강이 침입하는 중에 재위했다. 1897년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꾼 뒤 황제라 칭했고, 광무개혁을 실시했다. 1907년에는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를 파견해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한 부당성을 세계에 호소하고자 했으나, 이 사건으로 폐위되었다. 1919년에 죽었는데 그의 독살설은 3·1운동의 한 계기가 되었다.

대원군집권기

12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했기 때문에 즉위 후 10년간은 아버지인 대원군이 섭정했다. 1865년 경복궁의 중건을 위해 원납전을 강제징수했다. 1866년 프랑스인 신부와 많은 천주교도들을 처벌한 사건으로 병인양요가 일어났고, 같은 해 7월에는 대동강에 들어와 약탈을 일삼던 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를 평양인들이 불태워버렸다.

1871년 지방의 농민수탈 근거지였던 서원을 47개를 제외하고는 폐쇄했다. 이해 4월에는 신미양요가 일어났다. 대원군정권은 대내적으로 봉건적 개혁정책을, 대외적으로 철저한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왕권안정 및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방어를 꾀했다.

민씨집권기

1873년 최익현(崔益鉉)의 탄핵으로 대원군이 물러나자 통치권을 장악하게 되었으나, 정권은 왕비의 척족세력이 장악했다(→ 명성황후). 1875년 강화도에서 일본 군함 운양호 포격사건으로 말미암아 이듬해인 1876년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조약인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했다.

이를 계기로 조선은 쇄국정책을 탈피, 대외개방정책을 취하여 제국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는 한편 안으로는 개화정책을 실시했다. 1880년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하여 개화정책을 관장케 하고,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을 일본에 파견하는 한편, 신식군대 별기군(別技軍)을 창설했다. 그러나 이런 개화정책은 1882년 구식군인과 도시빈민들의 무장봉기를 낳게 하고, 대원군의 재등장을 초래했다.

민씨정권은 청 세력을 개입시켜 봉기를 진압하고 대원군을 청으로 납치하게 했다.

농수정 장대석 위에 앉아 있는 고종

퍼시벌 로웰이 촬영한 고종 최초의 사진. 고종은 1884년 창덕궁 연경당 후원에 있는 농수정에서 처음으로 사진을 촬영했다. 사진을 촬영한 퍼시벌 로웰은 1883년 7월 미국에 파견된 보빙사의 고문 역할을 했던 통역관이자 천문학자였다. 로웰은 사절단 동행 이후 1884년 3월 고종의 국빈 초대에 응하여 조선에서 3개월간 체류했고, 이 기간 동안 고종의 사진을 비롯한 조선의 여러 모습들을 사진에 담았다.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이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등의 체결과 청군의 주둔으로 청에 더욱 예속되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김옥균 등 급진개화파는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을 일으켜 민씨정권 타도, 청과의 관계 단절, 근대 자본주의국가 수립 등을 내걸었으나 청군의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그뒤 1894년 반제반봉건을 내세운 동학농민혁명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과 친일개화파·보수유생층의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이에 집권 개화파정권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갑오개혁을 추진했다. 홍범14조를 제정하여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했지만, 반침략자주화의 민족적 과제를 상실한 채 일본에 의존한 개혁으로 조선의 식민지화를 촉진하게 되었다. 1895년 삼국개입에 따른 정치적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일본은 을미사변을 일으켜 왕비 민씨(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친일세력을 강화하려 했다.

그러나 위정척사파의 의병운동이 진행되는 가운데 1896년 아관파천으로 친일정권은 붕괴되었다.

대한제국기

대한제국 시기의 고종황제

대한제국 시기 양장을 입은 고종황제. 고종은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이다. 1897년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제정한 뒤, 왕을 황제로 칭하고 연호를 광무(光武)로 했다. 또한 광무개혁을 실시하여 위로부터의 자주적 개혁을 꾀했다.

ⓒ wikipedia | Public Domain

1897년 고종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왕을 황제라 칭하고, 연호를 광무(光武)로 했다.

고종은 보수세력과 일부 개화파들을 끌어들여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원칙하에 광무개혁을 추진했다. 이것은 각종 제도개혁, 양전지계사업(量田地契事業) 등을 실시함으로써, 위로부터의 자주적 개혁을 지향한 것이었다. 그러나 1904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영일동맹,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통해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조선의 식민지화를 승인받았다.

또한 일본은 이해 제1차 한일협약, 1905년 을사조약을 체결하여 외교권박탈과 내정간섭을 본격화했다.

이에 고종은 1907년(광무 11)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를 파견하여 일본침략의 부당성과 을사조약 무효를 세계에 호소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그해에 일본은 고종을 강제로 퇴위시키고, 제3차 한일협약을 체결하여 군대를 해산시켰다. 1910년 식민지가 된 이후에는 이태왕(李太王)으로 불리다가 1919년 1월 21일 죽었다.

독살설 속에 치러진 그의 장례는 거족적인 3·1운동이 일어난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 저서에 〈주연집 珠淵集〉이 있다. 능은 홍릉(洪陵)이다.

대원군섭정

흥선대원군의 초상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초상화. 흥선대원군은 고종의 아버지로 고종이 12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대원군에 봉해져 10년간 섭정을 했다. 이 기간 동안 봉건적 개혁정책을 실시해 세도정치를 타파하려 하였고, 철저한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을 방어하려 했다. 그러나 1866년 병인양요, 1871년 신미양요를 겪고. 1873년 최익현에 의해 탄핵되어 정계에서 물러나 은거했다.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863년 철종이 아들이 없이 죽자 고종이 안동김씨와 반목하던 조대비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12세의 어린 나이였기에 즉위 후 10년간은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섭정했다.

흥선대원군의 섭정기간 중 세도정치를 타파하고 대내적으로 봉건적 개혁정책을, 대외적으로 철저한 쇄국정책을 실시하여 왕권안정 및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방어를 꾀했다. 비변사를 축소, 이후 폐지했으며, 의정부 중심으로 체제를 정비했다. 1865년 경복궁의 중건을 위해 원납전을 강제징수했다.

1866년 프랑스인 신부와 많은 천주교도들을 처벌한 사건으로 병인양요가 일어났고, 같은 해 7월에는 대동강에 들어와 약탈을 일삼던 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를 평양인들이 불태워버렸다. 1871년 지방의 농민수탈 근거지였던 서원을 47개를 제외하고는 폐쇄했다. 이해 4월에는 신미양요가 일어났다.

1873년 최익현이 대원군의 정치를 정면으로 공격한 상소를 계기로 11월 고종이 친정을 선포하자 대원군은 정계에서 물러나 양주에 은거했다.

민씨정권

흥선대원군이 1873년 최익현의 탄핵으로 섭정에서 물러나자 왕비 민씨의 척족세력이 정권을 장악했다. 1875년 강화도에서 일본 군함 운양호 포격사건으로 말미암아 이듬해인 1876년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자 불평등조약인 조일수호조규를 체결했다. 이를 계기로 조선은 쇄국정책을 탈피, 대외개방정책을 취하여 제국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는 한편 안으로는 개화정책을 실시했다. 1880년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여 개화정책을 관장케 하고, 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하는 한편, 신식군대 별기군을 창설했다. 그러나 이런 개화정책은 1882년 구식군인과 도시빈민들의 무장봉기를 낳게 하고, 대원군의 재등장을 초래했다.

운양호(운요호) 사건

1875년 일본 군함 운양호가 강화도에 불법 침입해 영종진을 약탈한 사건. 조선 수군은 침입해오는 일본의 배에 포격을 가했으나 근대식 무기를 장착한 일본군에 대적할 수 없었다. 이 사건을 빌미로 일본은 1876년 2월 조선과 불평등조약인 조일수호조약을 체결했다. 이후 조선은 대외적으로는 개방정책을 취하는 한편, 대내적으로는 개화정책을 실시했다.

ⓒ Phoenix7777/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민씨정권은 청 세력을 개입시켜 봉기를 진압하고 대원군을 청으로 납치하게 했다. 이후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등의 체결과 청군의 주둔으로 청에 더욱 예속되었다. 이같은 상황에서 김옥균 등 급진개화파는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켜 민씨정권 타도, 청과의 관계 단절, 근대 자본주의국가 수립 등을 내걸었으나 청군의 개입으로 좌절되었다. 그뒤 1894년 반제반봉건을 내세운 동학농민혁명도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과 친일개화파·보수유생층의 연합군에게 패배했다.

이에 집권 개화파정권은 군국기무처를 설치하고 갑오개혁을 추진했다. 홍범14조를 제정하여 자주독립을 선언하고 위로부터의 개혁을 추구했지만, 반침략자주화의 민족적 과제를 상실한 채 일본에 의존한 개혁으로 조선의 식민지화를 촉진하게 되었다. 1895년 삼국개입에 따른 정치적 열세를 만회하기 위해 일본은 을미사변을 일으켜 왕비 민씨(명성황후)를 시해하고 친일세력을 강화하려 했다. 그러나 위정척사파의 의병운동이 진행되는 가운데 1896년 아관파천으로 친일정권은 붕괴되었다.

을미사변을 일으킨 낭인들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 낭인들이 한성신보사 앞에서 찍은 사진. 을미사변은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가 한성신문사 소속 낭인들을 이용하여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를 살해한 사건이다. 이 사건 이후 생명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거처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겼다.

ⓒ Isageum/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제26대 고종(高宗, 1852∼1919년)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고종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