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을미사변

다른 표기 언어 乙未事變 동의어 명성황후시해사건, 明成皇后弑害事件

요약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의 지휘 아래 일본군과 낭인이 경복궁에 난입하여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를 시해한 사건. 주한공사 미우라의 지시를 받은 일본인들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침소인 건청궁에 난입하여 고종에게 미리 준비한 명성황후의 폐출조서에 서명을 강요하며 위협했다. 이어 궁내부대신 이경직을 살해한 뒤, 옥호루에서 명성황후를 무참하게 시해하고 시신을 화장하는 야만적인 행동을 저질렀다. 12월 1일 고종은 정식으로 명성황후가 승하했음을 발표했다. 이후 단발령과 건양 연호의 사용, 친위대·진위대 등으로 군제 개편, 소학교령 공포, 태양력 사용 등의 개혁정책을 시행했다. 그러나 황후 시해에 대한 국민들의 반일감정이 극도에 달한 상황에서 친일내각에 의해 추진된 개혁은 전국적인 반일의병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을미사변을 일으킨 낭인들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 낭인들이 한성신보사 앞에서 찍은 사진. 을미사변은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가 한성신문사 소속 낭인들을 이용하여 조선의 왕비 명성황후를 살해한 사건이다. 이 사건 이후 생명의 위협을 느낀 고종은 거처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옮겼다.

ⓒ Isageum/위키피디아 | Public Domain

정의

1895년 10월 8일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시를 받은 일본군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와 일본 낭인들이 경복궁을 침입하여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한 사건. 이 사건 이후 친일 내각에 의해 단발령과 건양 연호의 사용, 군제 개편, 소학교령 공포, 태양력 사용 등의 개혁정책이 시행되었으나 황후 시해에 대한 국민들의 반일감정에 의해 전국적인 반일의병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배경

1895년 3국간섭 이후 한국정부 내에서 이완용(李完用)·민영환(閔泳煥)·윤치호(尹致昊) 등 소위 '정동파'들은 명성황후의 세력을 앞세워 친러·친미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일제는 세력만회를 위해 7월 13일 이노우에[井上馨] 대신에 군국주의 군벌인 미우라를 주한공사로 임명했다. 한국정부는 10월 민영환을 주미전권공사로 임명하는 한편, 일본군 장교가 훈련시키던 훈련대를 해산하고 미군장교 다이가 훈련시킨 시위대를 중용하기로 결정했다. 또 친일계인 어윤중(魚允中)·김가진(金嘉鎭)을 면직시키는 대신 친러계 이범진(李範晉)을 등용하는 등 배일정책을 더욱 추진했다.

명성황후 시해

일본은 한국에서 러시아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명성황후의 영향력을 제거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보고 방책을 모색했다. 그리하여 미우라 등은 대원군이 궁중을 감독하되 내각에 간섭하지 않으며, 김홍집(金弘集)·어윤중·김윤식(金允植)을 중심으로 내각을 구성하고, 이재면(李載冕)과 이준용(李埈鎔)을 중용할 것 등을 조건으로 대원군 세력의 협조를 얻었다. 이와는 별도로 미우라는 일본인 아다치[安達謙藏]가 경영하는 한성신보사(漢城新報社)의 수십 명의 일인 낭인, 일본 수비대와 거류지 담당 경찰관들을 하수인으로 고용하고, 훈련대 간부 우범선(禹範善)·이두황(李斗璜)·이진호(李軫鎬) 등 친일파들도 포섭했다.

훈련대의 해산으로 다급해진 미우라 등은 명성황후 시해 예정일이었던 10월 10일을 앞당겨 10월 8일 새벽에 행동을 개시했다. 일인들은 우선 대원군에게 가서 고유문(告諭文)을 결재받고, 서대문에서 훈련대 병사들과 합류하여 광화문에 도착했다. 여기서 폭도들은 훈련대연대장 홍계훈(洪啓薰)을 죽이고, 왕궁을 호위하던 다이 지휘하의 시위대들과 교전하여 패배시켰다. 폭도들은 고종과 중전의 침소인 건청궁(乾淸宮)에 난입하여 고종에게 미리 준비한 명성황후의 폐출조서(廢黜詔書)에 서명을 강요하며 위협했다.

그러나 고종이 이를 거부하자 황태자에게 칼을 휘두르는 등 극악한 만행을 저질렀다. 이어 궁내부대신 이경직(李景稙)을 살해한 뒤, 옥호루(玉壺樓)에서 명성황후를 무참하게 시해했을 뿐만 아니라 증거를 없애기 위해 시신을 화장하는 야만적 행동을 저질렀다.

경복궁 건청궁 곤녕합 옥호루

명성황후가 거처했던 옥호루 모습

ⓒ Isageum / wikipedia | Public Domain

사건 이후

일본은 이후 대원군을 고종과 대면시켜 미리 준비한 조칙 3개안을 재가할 것을 강요했다. 그리고 명성황후 시해를 일본인들이 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위장처리방안을 세웠는데 그 내용은 "이번 사건은 훈련대와 대원군이 결탁하여 행한 쿠데타이며, 일본군은 고종의 요청에 의해 출동하여 훈련대와 시위대의 싸움을 진압했고, 명성황후 시해는 아는 바 없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친일적인 김홍집 내각을 세운 다음, 8월 22일 명성황후의 폐위조칙을 위장 발표했다. 그러나 고종, 러시아인 사바틴, 미국인 다이 등 목격자가 많아 사건의 은폐에 실패했다. 만행을 목격한 외국인들은 외교관들에게 사건의 진상을 폭로했고, 이에 미국공사대리 앨런과 러시아 공사 베베르는 각각 군병들을 동원하여 시위를 하는 한편, 각국 공사의 회합 후 일본의 관여사실과 폐위 조치 불인정 등을 발표했다. 또 이들은 일본이 뒷받침하고 있는 김홍집 내각 자체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에 난처해진 일본은 사건관련자를 형식적으로 처벌하기로 결정하고 관련 일본인들을 체포하여 히로시마[廣島]로 압송하는 한편, 미우라 대신 고무라[小村壽太郞]를 주한공사로 임명했다. 그리고 일본군의 철수와 대한불간섭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이노우에를 왕실위문사로 파견하여 사건에 관련된 훈련대를 해산하고 명성황후를 복위시키는 데 동의했다. 그러나 10월 12일 정동파들이 러시아와 미국인의 협조를 얻어 고종을 궁 밖으로 빼돌리려 한 춘생문사건(春生門事件)이 일어나자, 일본은 사건에 외국인들이 개입되었다는 것을 언론에 대대적으로 보도하면서 자신들의 만행을 희석하려고 했다.

그리하여 다음해 1월 만행을 자행한 미우라 이하 폭도 48명을 증거불충분이란 명목으로 석방했다. 한편 12월 1일 고종은 정식으로 명성황후가 승하했음을 발표했으나 일본인의 관련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못했다. 오히려 정부는 사건을 은폐하여 이주회(李周會)·윤석우(尹錫禹)를 범인으로 몰아 처형하고, 대원군을 물러나게 한 후 이준용이 일본으로 망명하는 데서 사건을 매듭지었다.

영향

친일로 기울어진 정부는 내외의 비난을 무마하기 위해 개혁정책을 추진, 단발령과 건양(建陽)연호의 사용, 친위대·진위대 등으로 군제 개편, 소학교령 공포, 태양력 사용 등을 시행했다.그러나 명성황후 시해에 대한 국민들의 반일감정이 극도에 달한 상황에서 친일내각에 의해 추진된 개혁은 전국적인 반일의병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을미의병).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을미사변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