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비정상적 발생

다른 표기 언어

다자출산

이란성쌍생아는 1번에 여러 개의 난자가 배란되어 여러 개의 정자와 수정이 일어남으로써 생긴다. 각각의 난자는 서로 다른 난포 속에서 성숙하여 각각 다른 정자와 수정하며 또한 서로 다른 태반 속에서 자란다. 때때로 양쪽의 포배가 서로 가까운 위치에 착상하여 태반이 서로 결합되기도 하나 양쪽의 혈액이 섞이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란성쌍생아는 성별이 다르거나 얼굴의 모습이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일란성쌍생아는 하나의 난자가 수정이 된 1개의 수정란에서 생겨나 동일한 성염색체를 갖기 때문에 성별이 같고 육체적·기능적·정신적 특성까지도 비슷하다. 일란성쌍생아의 3/4은 동일한 융모막주머니와 태반에서 발생하며 1/4은 각기 다른 곳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은 착상 전의 분할세포들이 2개의 군으로 분리되어 각기 따로 착상을 하기 때문이다.

태아이상

사람의 태아는 질병에 걸리거나 비정상적인 발생 또는 성장을 하기 쉽다. 수정된 접합자의 반 정도는 출생하지 못하고 유산되는데 주로 임신 초기, 즉 2~3주 사이에 일어나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태아의 발달장애는 임산부가 임신 여부를 확실히 알지 못하는 시기인 처음 7주 안에 일어난다.

그러나 심각한 발달장애가 생겼을 경우에는 대부분 출생 전에 유산되므로 일단 태어난 아이의 기형(崎形) 정도는 그다지 심각하지 않은 편이다(→ 선천적 장애).

태아의 기형

신생아 14명 중 1명 정도가 기형으로 태어나며 그중 반 이상은 한 종류 이상의 기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 외부로 드러난 기형보다도 신체 내부의 기형이 더 많으며 소아기가 되어서 나타나는 결함도 있다. 위(胃)와 소장 사이의 구멍이 좁아지는 유문협착 같은 기형은 남아(男兒)에게서 주로 나타나며 고관절탈구는 여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등 성별에 따라 기형의 발생빈도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다.

단백질·탄수화물·지방·색소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으로 중간대사과정이 차단되어 생기는 선천성대사결함도 기형의 원인이 된다. 그러나 기형의 가장 큰 요인은 유전인자에 의한 것이며 환경적인 요인으로서 가장 심각한 것은 방사성물질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생물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비정상적 발생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