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한국의 경우 1878년 일본의 제일은행이 부산에 지점을 개설함으로써 근대적 은행제도가 도입되었다. 이에 자극을 받아 민족자본에 의해 1897년 한성은행(지금의 조흥은행), 1899년 대한천일은행(지금의 상업은행)이 설립되었다. 그후 1909년 우리나라 최초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이 설립되었는데 한일합병 후인 1911년 조선은행으로 개칭된 뒤 1950년 한국은행이 설립될 때까지 유지되었다.
일제강점기하에서는 1912년 일반은행이, 1929년 저축은행이 '은행령'에 의해 설립되었다. 8·15해방 이후 1950년 한국은행이 창립되었으며 1953년 장기산업금융을 공급하기 위해 한국산업은행이 설립되었다. 1956년에는 농업금융을 담당한 농업은행이, 1959년에는 민간출자에 의한 서울은행이 지방은행으로 설립되었다. 1962년 서민금융을 전담한 국민은행과 수산금융을 맡은 수산업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그리고 1966년 한국외환은행, 1967년 한국주택금고, 1968년 광주은행·충청은행 및 장기산업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한국신탁은행, 1969년 전북은행·경기은행·제주은행 및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잇달아 설립되어 경제개발5개년 기간 동안의 외자도입과 내자동원을 극대화했다. 1970년대에는 금융기관이 대형화되어, 1976년 서울은행과 한국신탁은행이 서울신탁은행으로 통합되었고(1995년 서울은행으로 개칭), 1980년 한국장기신용은행, 1982년 신한은행, 1983년 한미은행이 각각 설립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은행들은 고질적인 관치금융 및 정경유착으로 인한 폐해로 부실 대출이 많았고, 이는 부실 채권의 증가로 이어졌다.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로 인한 경제위기로 기업들의 도산이 잇따르자 부실기업의 채권을 안고 있던 은행의 동반 부실도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98년 6월 동화·동남·대동·충청·경기은행 등 5개 은행이 퇴출되었다. 은행 퇴출이라는 초유의 사태는 은행도 망할 수 있다는 사례를 남겼으며, 이에 따라 남은 은행들은 합병이나 인력감축 등 강력한 자구책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정부나 재벌의 영향권에서 벗어나 수익성 위주의 선진 금융 기법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금융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