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방암

다른 표기 언어 breast cancer , 乳房癌

요약 남성이 유방암에 걸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여성의 경우 대부분이 폐경기를 전후해서 걸린다.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오랫동안 분비될 때, 수유한 적이 없거나 유방에 양성 종양이 생긴 적이 있을 때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악성 종양의 90% 이상은 젖샘관에서 시작되는데 유방의 주변부에 생긴 종양은 림프관 쪽으로 퍼지는 반면, 유방 가운데 생긴 병소는 가슴으로 퍼진다. 대부분 유방암의 유형은 선암인데, 종양은 단단하며 움직이지 않고 지름이 2~3㎝ 정도 되면 감지된다. 피부는 함몰되고 유두도 퇴축된다. 그 외 수양암, 면포암, 파제트병, 급성염증성암종 등의 유형이 있다. 유방에서 몽우리가 발견되면 암일 가능성이 있다. 만일 제거한 몽우리가 암이라고 판단되면 치료를 목적으로 유방을 제거하기도 한다.

남성이 유방암에 걸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여성의 경우 대부분은 폐경기 또는 이 기간을 전후해서 걸린다. 보통 나이가 많을수록 에 걸릴 확률도 높다(→ 여성).

유방암

그림2. 유방암의 부위별 발생비율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정한 조건이 암 유발을 촉진시키는데, 월경이 일찍 시작되어서 50대까지 계속되는 경우처럼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오랫동안 분비될 때, 수유한 적이 없거나 유방에 양성 종양이 생긴 적이 있을 때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 유방에 외상이 있다고 암이 생기지는 않지만 종양이 나타난 후에 외상이 생기면 종양의 성장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악성 종양의 90% 이상은 젖샘관에서 시작되는데 유방의 주변부에 생긴 종양은 대부분 림프관 쪽으로 퍼지는 반면, 유방 가운데 생긴 병소는 가슴으로 퍼진다.

유방암은 모양에 따라 주로 2가지 형태가 있다. 하나는 모양이 단순하고 딱딱하며 잘 움직이지 않는 작은 덩어리인데, 잘라보면 조직이 말라 있고 표면이 껄끄러우며 노란색과 흰색 띠들이 섞여 있다. 이런 종양은 지방조직으로 퍼지며 유두까지 침범하기도 한다. 다른 하나는 불투명한 흰빛이나 분홍빛을 띠며 말랑말랑하고, 낭종(액체나 반고형 물질이 들어 있는 주머니)이 있으며 출혈의 징후가 보인다. 또 앞서 설명한 종양보다 더 부풀어오르는 경향이 있다. 종양은 겉모양, 구성세포, 세포의 기원, 침습성 등에 따라 분류하여 이름을 붙인다.

대부분 유방암의 유형은 선암이다. 선암은 50세쯤에 생기는데, 종양은 단단하며 움직이지 않고 지름이 2~3㎝ 정도 되면 감지된다. 피부는 함몰되고 유두도 퇴축된다. 다른 유형으로는 수양암이 있는데 이는 주머니 모양으로 보통 조직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며 피막에 둘러싸여 있고 이동 가능하다. 처음 발견될 때 종양은 지름이 5㎝ 이상이며 말랑말랑하고, 주머니는 액체로 차 있으며 서서히 자란다.

면포암(comedo carcinoma)의 경우에는 피부에 회색 반점들이 나타나고 누르면 황회색의 끈끈한 액체가 띠처럼 흘러나온다. 피부에 궤양이 생기기도 하고 유두에서 분비물이 나오기도 한다. 종양은 서서히 자라고 물렁하다. 파제트병은 처음에 유두가 화끈거리고 가려우며 만지면 아픈 증상으로 시작된다. 점차 병소가 커지고 갈라지며 분비물이 나오고 딱딱한 딱지가 생기며 결국에는 궤양이 생겨 유두가 파괴된다.

급성염증성암종은 유방이 처진 젊은 여성에게서 나타난다. 갑자기 생기며 붓고 붉어지며 만지면 아프다. 그뒤로는 색깔이 보랏빛으로 변하며 퍼지기 시작한다. 피부는 뜨겁고 건조하며 비늘 같은 것이 일어난다. 유두는 대개 딱딱해지고 퇴축된다. 유방에서 몽우리가 발견되면 암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검사가 필요하다. 만일 제거한 몽우리가 암이라고 판단되면 치료를 목적으로 유방을 제거하기도 한다(유방절제술). 때로는 종양만 제거하는데 방사선치료와 병행하면 유방암 초기에는 근치유방절제술만큼 효과적이다. 유방절제술을 시행하고 나서 난소나 부신을 제거하거나 방사선요법, 호르몬 조작요법, 화학면역요법 등을 쓰기도 한다.→ , 유방절제술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유방암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