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근대 올림픽 조직

다른 표기 언어

요약 고대 그리스의 올림피아 경기에서 유래, 세계적인 스포츠 대회가 된 근대 올림픽의 조직과 구조. 근대 올림픽을 이끄는 조직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이며, 그 산하에 각국별로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있다. 올림팩 대회는 국가가 아닌 도시와 지역을 기준으로 개최하며, 개최지의 선정은 IOC에 권한이 있다. 국가와 선수가 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IOC의 엄격한 기준에 부합해야 하며, 올림픽 대회의 모든 절차, 형식, 순서, 종목도 IOC에서 관장한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올림픽 위원회(Comité International Olympique/IOC)

국제올림픽 위원회 상기 최초 올림픽,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당시 모습

ⓒ Albert Meyer / wikipedia | Public Domain

1894년 파리 회의에서는 근대 올림픽 대회의 발전과 조정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Comité International Olympique/IOC)에 위임했고, 그 본부를 스위스에 두기로 결정했다.

IOC는 정기적으로 올림픽 대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며, 올림픽 대회가 그 부활을 고무시켰던 올림픽 정신에 따라 치러지는지를 감독하고, 전세계 아마추어 스포츠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 1894년에 구성된 최초의 위원회는 쿠베르탱과 14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이후로 위의 자격은 영구히 존속되어졌다. 쿠베르탱은 고대 올림픽 대회가 올림픽 정신을 좀먹었던 외부세력에 의해서 쇠퇴하게 되었다고 믿었다.

또 그는 아마추어 스포츠 정신의 유지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어떤 외부세력에도 책임을 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올림픽 대회를 맡아야만 부활된 올림픽 대회가 고대 올림픽과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 IOC의 위원들은 IOC로부터 그들의 국가 스포츠 조직에 파견된 대사들로 간주되게 되었다. 그들은 어떤 의미에서도 그들의 국가로부터 IOC에 파견된 사절이 아니며, 따라서 IOC의 위원들은 자국의 정부나 어떤 조직 및 개인으로부터 어떤 방법으로든지 그들의 독립에 영향을 주는 그 어떤 지시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IOC는 위원들을 자체 선출하는 영구 조직이다. IOC는 일반적으로 매년 집회를 가지며, 위원의 1/3 이상이 요구하는 경우 언제든지 집회를 가질 수 있다. 현재의 위원수는 약 70명인데, 각 위원은 영어나 프랑스어를 해야 하며,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있는 국가의 시민이거나 거주자여야만 한다. 몇 가지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1개국에 1명의 위원만을 둔다. IOC의 위원들은 초기에는 종신제로 선출되었으나, 1965년 이후로는 75세까지만 위원직을 역임할 수 있게 되었다. IOC는 8년마다 위원장을 선출하며, 임기말에 위원장은 각 4년간씩을 더 재임할 수 있는 피선거권을 가진다.

역대 위원장은 그리스의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1894~96),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1896~1925), 벨기에의 앙리 드 베예라투르 백작(1925~42), 스웨덴의 J.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1946~52), 미국의 에이버리 브런디지(1952~72), 아일랜드의 마이클 모리스 킬래닌 경(1972~80), 스페인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1980~2001), 벨기에의 자크 로게(2001~2013)이며, 2013년부터 독일의 토마스 바흐가 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11명의 위원들로 구성된 집행부는 국제경기연맹들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과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있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각 국가는 IOC가 승인하는 올림픽 위원회를 보유해야만 한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적어도 5개 이상의 국내 스포츠 연맹으로 구성되며, 각 스포츠 연맹은 적절한 국제경기연맹에 가입해 있다. 이러한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의 표면적인 목적은 올림픽 운동과 아마추어 스포츠를 발전시키고 장려하는 데 있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올림픽 경기에 참가할 자국의 대표단을 구성 및 수송하며, 대표단의 거처 등을 계획하고 준비한다. 2018년 기준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206개이다.

IOC의 규정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은 비영리조직이어야 하며, 정치성이나 사업성을 띤 일과 연루되어서는 안 됨을 천명하고 있다. 또한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자치적이어야 하며, 모든 정치적·종교적·상업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과거에 직업선수로서 경기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대가를 받고 선수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사람 또는 사적인 이해를 위해 스포츠에 종사하거나 관여하고 있는 사람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없다. IOC의 규정과 규칙을 따르지 않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올림픽 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할 수 있는 출전권을 박탈당하며, IOC로부터의 승인도 취소당하게 된다.

올림픽 메달과 IOC의 상

올림픽 경기 개인종목에서, 1등에게는 은을 6g의 순금으로 도금한 금메달이, 2등에게는 은메달이, 3등에게는 동메달이 각각 수여된다. 금메달의 경우, 1912년까지는 도금하지 않은 금메달이 수여되었다. 4~8등을 한 선수에게는 상장이 수여된다. 하계 올림픽 메달은 앞면에 승리의 여신인 니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동계 올림픽 메달에는 그런 제한 규정이 없어 대회마다 독특한 메달 디자인이 채택되어 왔다.

모든 참가선수와 임원들은 기념 메달을 받게 된다. IOC는 올림픽 컵과 올림픽 훈장 등 2개의 비경쟁 상패를 수여한다. 올림픽 컵은 1906년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서 제정되었다. 이 상은 공적과 성실성에 있어서 전반적인 호평을 얻고 있으며, 아마추어 스포츠 진흥에 혁혁한 공헌을 했고, 올림픽 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 협회나 단체에 수여된다. 이 올림픽 컵을 최초로 수상한 단체는 프랑스의 투어링 클럽이었다.

올림픽 훈장은 1974년에 제정되었고, 현직 IOC 위원들을 제외한 생존해 있는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상에는 금과 은의 2등급이 있으며, 활동을 통해서 올림픽 이상을 실현했거나, 스포츠계에 괄목할 만한 공적을 쌓은 사람에게 수여된다. 또한 개인적 달성을 통해서나 스포츠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올림픽의 대의를 이루는 데 탁월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최초의 금메달은 20년간 IOC 위원장직을 역임했던 에이버리 브런디지에게 그가 죽은 뒤에 수여되었다.

올림픽 대회와 참가자

하계 올림픽 대회는 4년마다 개최된다. 국제 스포츠 연맹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출전선수에 대한 연령제한은 없다. 또한 인종·종교·정치신념 등의 배경에 있어서 어떠한 차별도 없다. 올림픽 경기는 선수 개인들간의 경쟁일 뿐 국가간의 경쟁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계 올림픽과는 별도로 동계 올림픽 대회는 1924년 이후 계속 개최되고 있다. 올림픽 대회는 한 올림피아 제전에서 다음 제전까지의 4년기를 의미하기도 하는 올림피아드를 기념한다. 최초의 근대 올림피아드는 1896년에 거행되었고, 이후로 계속해서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1916, 1940, 1944년 등과 같은 해에는 올림픽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하계 및 동계 올림픽의 개최기간은 모두 15일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개인종목의 경우 허용되는 최대참가인원은 한 국가당 3명으로 되어 있다. 이 수치는 관련된 국제연맹과의 합의하에 IOC에 의해서 정해진 것이지만, 변경할 수도 있다. 단체경기의 경우는 1개 국가에서 1개 팀의 출전만이 허용된다. 일반적으로,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당해 국가의 국민만을 선수로 참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때로 국가 단위가 아닌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여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IOC는 조직적으로 자행된 약물 복용에 대한 징계의 의미로 러시아 선수단의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을 금지했다. 대신 약물 검사를 통과한 러시아 선수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게 했으나, 러시아 국기를 달지 못하게 했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lympic Athlete from Russia·OAR)'라고 불렀으며, 금메달을 딴 경우에는 러시아 국가 대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었다.

자격

선수가 경기에 참가하려면 특정한 국제 스포츠 연맹과 IOC에 의해 규정된 자격규정에 부합되어야만 한다. IOC의 규정은 1976년에 대폭 개정되었으며, 현재 IOC 규칙에 의해서 허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선수도 경기참가와 관련하여 금전적 대가 또는 물질적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IOC 규칙은 선수들이 개인 경기장비 및 운동복, 여행·호텔 경비, 그리고 국가 올림픽 위원회나 국가의 특정 경기연맹에 의해 공인된 보상 등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프로그램 및 경기종목

공식적인 하계 올림픽의 프로그램은 아래 경기 중 최소한 15종목을 포함해야 한다. 해당 경기종목들에는 양궁, 트랙·필드를 포함한 육상, 농구, 복싱, 카누, 사이클, 다이빙, 승마, 펜싱, 필드 하키, 축구, 체조, 핸드볼, 유도, 근대5종경기, 조정, 사격, 수영, 탁구, 테니스, 배구, 수구, 역도, 레슬링, 요트 등이 있다. 올림픽 프로그램에는 또한 2개까지의 시범종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축, 문학, 음악, 미술, 조각, 사진, 스포츠 우표 등 예술 측면의 전시회 등도 포함해야 한다.

양궁

한국 여자 양궁 기보배 선수의 올림픽 경기 모습

ⓒ wikimedia commons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도

한국 여자 역도 장미란 선수의 올림픽 경기 모습

ⓒ wikipedia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열거한 경기종목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경기종목은 IOC와 국제 스포츠 연맹 간의 합의에 의해 올림픽 프로그램에 포함되기도 한다. 수년 동안 남자 트랙 및 필드 경기에서 24개 종목이 치러졌다. 그러나 1976년 전체 올림픽 참가선수의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이유로 남자 5만m 경보 종목이 제외되었다. 반면 여자 조정 경기가 1976년에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올림픽 종목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자 경기가 포함되었다.

올림픽 선수촌

올림픽 선수촌은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조직위원회가 선수들과 임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함께 숙식할 수 있는 선수촌을 제공한다. 선수촌은 가능한 한 주경기장 및 여러 편의시설 인근에 위치하며, 남녀가 구분된 수용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기참가 선수들과 임원들만이 선수촌에 입촌할 수 있으며, 임원수는 제한되어 있다. 국가나 선수에 따라서는 조직위원회가 제공하는 선수촌에 입촌하지 않고 외부에 따로 숙소를 두는 경우도 있다.

올림픽 기

올림픽(olympic)

올림픽 기

ⓒ Makaristos / wikipedia | Public Domain

주경기장과 경기장 인근 주변에는 참가국들의 국기와 함께 올림픽 가 게양된다. 1914년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소개된 올림픽 기가 그 원형이 되었다. 이 기는 흰색 바탕에다 중앙에 파랑·노랑·검정·초록·빨강의 5색 고리가 맞물린 모양으로 되어 있다. 파랑색 고리가 깃대 옆 왼쪽에 오도록 게양된다. 이 5개의 고리들은 올림픽 운동에 함께 참여한 5개 대륙을 나타낸다. 올림픽의 표어는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Citius-Altius-Fortius)이다.

개회식

제 1회 아테네 올림픽

1896년, 그리스 아테네의 파나티네코 경기장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

ⓒ wikimedia | Public Domain

개회식은 주최국의 올림픽 위원회에서 기획하지만, 개회식의 형식은 주최 국가의 원수가 IOC 위원장과 조직위원회의 환영을 받으며 주경기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마지막 팀이 주경기장에서 퇴장하는 식순의 마지막까지 IOC에 의해 세부적으로 관장된다.

IOC 규칙은 개회식 참가자들이 경기장 안으로 사진기를 가지고 입장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언제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주최국의 국가 원수가 본부석에 있는 그의 자리에 이르렀을 때 주최국의 국가가 연주된다. 그러고 나서 선수단이 입장하기 시작한다. 그리스 선수단이 언제나 맨 처음으로 경기장에 입장하며, 언제나 주최국 선수단이 가장 마지막에 입장한다.

나머지 참가국 선수단은 주최국의 언어에 의해 결정된 국명 알파벳 순서로 입장하게 된다. 국가명이 표기된 푯말에 뒤이어 공식 유니폼을 입은 각 선수단이 입장하며, 각 선수단 중 한 선수가 자국의 국기를 들고 입장한다. 선수들은 경기장 트랙을 돈 뒤, 운동장 중앙에 본부석을 향해 정렬해 선다. 조직위원회의 위원장이 간단한 환영사를 하고, 곧 이어 IOC 위원장이 연설을 하며 주최국 국가원수에게 요청해서 올림픽 대회 개회선언을 하도록 한다.

올림픽 기가 서서히 게양되면서 트럼펫 팡파르가 울려퍼진다. 그리고 비둘기들이 하늘로 날려지는데, 이것은 올림픽 경기가 개최되었음을 세계 각국에 알린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비둘기를 날리는 것이 동물 보호에 위배된다는 관점에 따라, 대회에 따라서 비둘기를 대신하는 다른 방식으로 기념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그리스 올림피아로부터 여러 주자들에 의해서 운반된 올림픽 성화가 마지막 주자에 의해서 주경기장 안으로 운반된다.

마지막 주자는 트랙을 1바퀴 돌고, 계단을 올라 올림픽 대회 기간중에 주야로 불을 밝힐 올림픽 성화대에 성화를 점화하는데, 트랙을 도는 마지막 주자가 몇 명인지, 누구인지 그리고 성화대에 불을 붙이는 최종 점화자는 누구이며 점화는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등은 거의 모든 대회에서 극적인 효과를 위해 최종 순간까지 비밀에 붙이는 경향이 있다.

시상식

하계 올림픽 시상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팀 시상식 장면

ⓒ EOZyo / wikipedia | CC BY 2.0

올림픽 대회 기간중 여러 종목의 경기장에서 일반적으로 경기가 거행된 직후에 메달이 수여된다. 경기에서 1·2·3위를 한 선수들이 시상대에 오르는데, 우승자인 금메달 수상자가 시상대의 중앙에 서며, 은메달 수상자와 동메달 수상자는 각각 금메달 수상자의 오른편과 왼편에 서게 된다. IOC의 위원이 리본이나 사슬에 매달린 메달을 우승자들의 목에 걸어주며, 금메달 수상자의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기가 게양된다. 3명의 메달 수상자들과 마찬가지로 관중들도 금메달 수상자의 국기가 게양되는 동안 자리에서 일어나 경의를 표한다.

폐막식

하계 올림픽 폐막식

2008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 장면

ⓒ Jmex60 / wikipedia | CC BY-SA 3.0

폐막식은 마지막 경기가 끝난 이후 거행된다. 1956년에 거행된 멜버른 올림픽 이후 폐막식은 덜 형식적인 행사가 되었으며, 몇 가지 공식행사가 끝나면 참가선수들은 자유롭게 어울린다. 폐막식에서는 각국으로부터 6명의 선수들이 행진을 한다. 이 행진에서는 국적의 구별 없이 8~10명의 선수들이 열을 지어 행진하는데, 이는 올림픽 경기의 우호적 유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선수들과 관계자가 모두 입장하면 IOC 위원장은 4년 뒤 다음 개최지에서 올림픽을 거행하기 위해 세계의 젊은이들이 다시 모일 것을 요청한다. 팡파르가 울려퍼지고, 올림픽 성화가 꺼진다.그리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는 동안 올림픽 기가 내려진다. 그러면 올림픽 대회는 막을 내리게 된다.

올림픽 대회 개최지 선정

올림픽 대회를 유치하는 영광은 한 국가에 위임되는 것이 아니고 한 도시나 지역에 위임된다. 개최도시는 IOC에서 결정하며, 올림픽 경기 유치신청은 한 국가정부의 지지하에 시 당국이 하게 된다. 신청서에는 주경기장과 부속 경기장들, 올림픽 선수촌에서 어떠한 정치적 집회나 시위도 열리지 않도록 할 것 등을 상술해야만 한다. 또한 모든 선수들이 종교·피부색 또는 정치적 신념 등에 연루되어 어떤 차별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경기에 참가할 수 있음도 약정해야 한다. 또한 유치신청서에는 개최국 정부가 어떤 선수의 비자도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증을 포함해야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스포츠 일반

스포츠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근대 올림픽 조직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