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올림픽 대회

다른 표기 언어 Olympic Games

요약 고대 그리스의 올림피아 경기에서 유래된 국제적인 운동 경기. 1896년 제1회 아테네 올림픽을 시작으로 부활되었다.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주관 아래 2년마다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이 번갈아 개최된다. 1924년부터는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으며, 1960년에는 장애인 올림픽이 시작되었다.

올림픽 대회

ⓒ kovop58/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올림픽 대회의 기원

고대 그리스에서는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BC 776년에 열린 첫 경기를 시작으로 올림피아 경기를 치렀다.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행사의 일부분이었으며, 이 제전은 4년마다 8월 6일부터 9월 19일까지 개최되었다. 경기가 개최되었던 간격인 4년마다 표준시가 조정되어질 만큼 그리스인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후 BC 468~400년경에 절정에 이르렀으며, AD 393년 테오도시우스 황제가 이교도 숭배를 금하면서 쇠퇴하게 되었다.

1796년 프랑스에서 열린 공화국 올림픽(L'Olympiade de la République)을 시작으로 올림피아 경기의 부활이 시도되었다. 1870년 그리스의 아테네 파나티네코 경기장에서는 자파스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한편, 잉글랜드 웬록에서는 1850년부터 올림픽급의 운동 경기가 열리기 시작했으며. 후에 웬록 올림픽으로 명명되었다. 자파스 올림픽과 웬록 올림픽은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 피에르 드 쿠베르탱(Pierre de Coubertin)에게 올림픽 부활이라는 열망을 갖게 했다.

근대 올림픽 대회의 부활

쿠베르탱은 올림픽 대회를 부활시키려는 생각을 가지고, 1892년 11월 25일 파리에서 개최된 스포츠 경기연맹(Union des Sport Athletiques) 회의에서 국제경기의 신기원을 열고자 하는 그의 의지를 표명했으나, 그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2년 뒤인 1894년 6월 파리에서 개최된 '국제 경기에 관한 협의'에 참석한 쿠베르탱은 또다시 올림픽 대회 부활의 가능성을 개진했다. 당시 어느 누구도 올림픽 대회의 부활에 진정한 관심을 갖지 않았으나 회의가 끝났을 때에는, 올림픽 대회의 부활이 만장일치로 합의되었다. 마침내 1896년 4월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제1회 올림픽을 시작으로 올림픽이 부활했다.

1896년 첫 올림픽 당시에는 14개국에서 241명의 선수단이 참여했으나, 100여 년이 지난 2012년 런던에서 열린 제30회 하계 올림픽에는 전 세계 204개국에서 1만 500여 명의 선수단이 참여하여 세계적인 규모로 성장했다. 경기의 종목도 9개 종목, 43개 세부 종목에서 26개 종목, 302개 세부 종목으로 다양해졌다. 한편 1924년에는 프랑스 샤모니에서 첫 동계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또한 1960년 로마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에서는 제1회 장애인 올림픽인 패럴림픽(Parallel Olympics)이 시작되어,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부터는 하계 올림픽의 개최 도시에서 패럴림픽도 함께 열리게 되었다.

올림픽 대회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에서 관할한다. 참가를 원하는 국가는 IOC가 승인하는 국가올림픽위원회(NOC, National Olympic Committee)를 보유해야만 한다. 국가올림픽위원회는 참가국의 대표단을 구성 및 수송하며, 대표단 거처 등을 계획하고 준비한다. 또한 국가올림픽위원회는 비영리조직이어야 하며, 모든 정치적·종교적·상업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올림픽 대회의 행사

각각의 올림픽 대회는 경기를 제외하고 개막식·폐막식·시상식 등의 행사를 치루게 된다.

개막식

개막식은 흔히 개최국의 국기 게양과 국가로 시작되며, 다음으로 개최국의 문화를 자랑할 만한 대표적인 춤과 노래, 공연 등이 진행된다. 상연 및 공연 이후에는 선수단이 입장하는데, 전통적으로 올림픽의 발상지인 그리스가 첫 번째로 입장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주최국의 언어에 의해 결정된 국명 알파벳 순서로 입장하며, 주최국의 선수단은 마지막으로 입장한다.

선수들은 경기장 트랙을 돈 뒤, 운동장 중앙에 본부석을 향해 정렬해 선다. 조직위원회의 위원장이 간단한 환영사를 하고, 곧 이어 IOC 위원장이 연설을 하며 주최국 국가원수에게 요청해서 올림픽 대회 개회선언을 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여러 주자들에 의해서 운반된 올림픽 성화가 주경기장 안으로 운반된다. 마지막 주자는 트랙을 1바퀴 돌고, 계단을 올라 올림픽 대회 기간 중 주야로 불을 밝힐 올림픽 성화대에 점화한다.

시상식

시상식은 각 종목의 경기가 끝날 때마다 진행된다. 경기에서 1·2·3위를 한 선수들이 시상대에 오르는데, 우승자인 금메달 수상자가 시상대의 중앙에 서며, 은메달 수상자와 동메달 수상자는 각각 금메달 수상자의 오른편과 왼편에 서게 된다. 메달이 수여될 때에는 1위 선수의 국가가 울려퍼지며 1·2·3위 선수들의 국기가 함께 게양된다.

폐막식

마지막 경기가 끝난 이후에는 폐막식이 거행된다. 폐막식에서는 모든 선수들이 국적의 구별 없이 8~10명의 선수들이 열을 지어 행진하는데, 이는 올림픽 경기의 우호적 유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개최국의 국가가 울려퍼지는 동안 그리스의 국기, 개최국의 국기, 다음 개최국의 국기 이 3개 기가 게양된다. IOC의 위원장이 공식적으로 폐막 선언을 하면 올림픽 성화가 점화된다. 이후 다음 개최지를 안내하는 홍보 영상과 퍼포먼스가 이어진다.

올림픽 대회 초기 역사

올림픽은 그리스 시대의 경기들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경기로 제우스를 기리기 위해 올림피아에서 치러졌다. 이 제전은 4년마다 8월 6일부터 9월 19일까지 개최되었는데, 경기가 개최되었던 간격인 4년마다 표준시가 조정되어질 만큼 그리스인들의 생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다른 모든 그리스의 경기들과 마찬가지로 이 경기도 본질적으로 종교적인 행사의 일부분이었다. 이 제전은 도시국가인 엘리스에 있는 올림피아에서 열렸으며, 너비 32m의 트랙에서 경기들이 치루어졌다. 경주 거리는 1스테이드로 대략 192m였는데, 초기 올림픽에서 스테이드라고 불렸던 경기는 1스테이드 길이의 트랙을 사용하는 경기였다. 나중에 경마도 고대경기의 일부가 되었는데, 경마는 스타디움 남쪽의 경마장에서 열렸다.

BC 776년에 열렸던 올림픽에서는 스테이드라는 1가지 경기만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후 수십 년이 지나면서 여러 가지 다른 경기들이 더해졌다. BC 724년에는 근대의 400m 경기와 유사한 디아울로스라는 경기가 포함되었으며, 4년 뒤에는 근대의 1,500m 또는 5,000m에 비유될 수 있는 장거리 경기인 돌리코스가 포함되었다. BC 708년에는 레슬링과 5종경기가 선보였다. 5종경기는 종합적인 경기로 멀리뛰기·창던지기·원반던지기·달리기·레슬링 등 5가지 경기로 구성되었다.

BC 668, 680년에는 각각 권투와 전차경주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BC 648년에는 격렬한 레슬링 경기의 일종인 판크라티온이 포함되었다. 이 경기에서는 발로 차기와 손으로 치기 등이 허용되었고, 입으로 물거나 손가락으로 상대방의 눈을 찌르는 행위는 금지되었다. BC 632~616년에는 소년들을 위한 경기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그외에도 완전군장한 군인과 진행자 나팔수들을 위한 경기들을 포함해서 여러 경기들이 추가되었다. 경기종목들이 트랙 및 필드 경기 등으로 한정되어 있기는 했지만, 근대 올림픽 대회만큼 다양한 종목이 있었다. 그러나 높이뛰기 종목은 없었으며, 5종경기를 제외하고는 개인 필드 경기도 없었다.

BC 472년에 개최되었던 제77회 올림픽까지 모든 경기는 하루에 행해졌다. 이후에 약간의 변동이 있기는 했지만, 올림픽 대회는 4일간에 걸쳐서 행해졌고, 5일째 되는 날의 폐막식에서 우승자들에 대한 시상과 향연이 베풀어졌다. 여러 문헌들을 통해서 살펴볼 때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경기에 출전할 수 없었으며, 테메테르의 성직자들을 제외하고는 경기관람도 허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경기에서 참가선수들은 옷을 완전히 벗은 상태로 경기에 참가했다.

초기에는 그리스 자유민들에게만 경기의 관람이 허용되었다. 그리스 식민지 출신의 선수들을 포함해서 경기자들이 받는 유일한 상은 화환이나 화관뿐이었으므로 그들은 아마추어였다. 그러나 그들은 엄격한 감독하에 힘겨운 훈련과정을 거친 선수들이었으며, 엄밀하게 본다면 참가선수들 모두가 프로 선수라고 할 수 있었다. 우승자는 물질적인 부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출신 도시로부터 찬사와 함께 무한한 특권을 부여받았다. 운동선수들은 전문적으로 운동에만 전념하게 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근대 올림픽 경기에서 아마추어 정신에 관한 격렬하고도 오랜 논쟁을 야기시켰다.

그리스인들은 경기자들을 위해서, 그리고 로마인들은 대중을 위해서 올림픽 경기를 조직했다. 그리스인들의 올림픽 경기는 근본적으로 경쟁 자체였으며, 로마인들의 올림픽 경기는 대중의 여흥을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리스인들은 스포츠를 아마추어적인 견지에서, 로마인들은 프로적인 견지에서 보았다.

부활

피에르 드 쿠베르탱(Pierre, baron de Coubertin)

근대 올림픽 대회를 창시하는 데 가장 큰 역할을 한 프랑스의 교육자

ⓒ Materialscientist / wikipedia | Public Domain

근대 올림픽의 창시자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으로, 그는 1863년 1월 1일 파리에서 출생했다. 그는 올림픽 대회를 부활시키려는 생각을 가지고, 1892년 11월 25일 파리에서 개최된 스포츠 경기연맹(Union des Sport Athletiques) 회의에서 국제경기의 신기원을 열고자 하는 그의 열망을 표명했다. 그러나 그의 제안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1894년 6월 파리에서 개최된 국제경기에 관한 협의에는 9개국 49개 조직을 대표하는 79명의 대표자들이 참석했고, 이 회의에서 쿠베르탱 남작은 올림픽 대회 부활의 가능성을 개진했다. 후일 쿠베르탱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이 된 그리스의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와 뉴저지대학(후에 프린스턴대학교)의 교수인 미국의 윌리엄 M. 슬론 등의 협력자들을 제외하고는 어느 누구도 올림픽 대회의 부활에 진정한 관심을 갖지 않았다고 피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회의가 끝났을 때, 올림픽 대회의 부활을 둔 투표가 만장일치의 찬성으로 끝나 나를 매우 기쁘게 했다"고 쿠베르탱은 덧붙였다.

처음에는 1900년 파리에서 올림픽 대회를 개최하는데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6년이라는 기간은 기다리기에는 너무 긴 시간이었다. 그래서 개최지와 개최 날짜를 변경하여 가장 적합한 장소로 여겨지는 그리스의 수도 아테네에서 1896년 4월에 올림픽 경기를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비록 반대는 없었지만 아테네인들의 개최 거절 등을 포함하여 상당한 무관심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들이 남아 있었다.

쿠베르탱과 14명의 신임 올림픽 위원회 위원들은 이러한 어려움을 이겨냈고, 1896년 4월 첫주에 그리스 왕에 의해 올림픽 대회가 개막되었다.

근대 올림픽 조직

국제 올림픽 위원회
국제올림픽 위원회(Comité International Olympique/IOC)

국제올림픽 위원회 상기 최초 올림픽, 1896년 아테네 올림픽 당시 모습

ⓒ Albert Meyer / wikipedia | Public Domain

1894년 파리 회의에서는 근대 올림픽 대회의 발전과 조정을 국제 올림픽 위원회(Comité International Olympique/IOC)에 위임했고, 그 본부를 스위스에 두기로 결정했다.

IOC는 정기적으로 올림픽 대회를 개최할 수 있도록 하며, 올림픽 대회가 그 부활을 고무시켰던 올림픽 정신에 따라 치러지는지를 감독하고, 전세계 아마추어 스포츠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맡고 있다. 1894년에 구성된 최초의 위원회는 쿠베르탱과 14명의 위원들로 구성되었으며, 그 이후로 위의 자격은 영구히 존속되어졌다. 쿠베르탱은 고대 올림픽 대회가 올림픽 정신을 좀먹었던 외부세력에 의해서 쇠퇴하게 되었다고 믿었다.

또 그는 아마추어 스포츠 정신의 유지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어떤 외부세력에도 책임을 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이 올림픽 대회를 맡아야만 부활된 올림픽 대회가 고대 올림픽과 다른 길을 걸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결과 IOC의 위원들은 IOC로부터 그들의 국가 스포츠 조직에 파견된 대사들로 간주되게 되었다. 그들은 어떤 의미에서도 그들의 국가로부터 IOC에 파견된 사절이 아니며, 따라서 IOC의 위원들은 자국의 정부나 어떤 조직 및 개인으로부터 어떤 방법으로든지 그들의 독립에 영향을 주는 그 어떤 지시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있다.

IOC는 위원들을 자체 선출하는 영구 조직이다. IOC는 일반적으로 매년 집회를 가지며, 위원의 1/3 이상이 요구하는 경우 언제든지 집회를 가질 수 있다. 현재의 위원수는 약 70명인데, 각 위원은 영어나 프랑스어를 해야 하며,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있는 국가의 시민이거나 거주자여야만 한다. 몇 가지 예외가 있기는 하지만, 1개국에 1명의 위원만을 둔다. IOC의 위원들은 초기에는 종신제로 선출되었으나, 1965년 이후로는 75세까지만 위원직을 역임할 수 있게 되었다. IOC는 8년마다 위원장을 선출하며, 임기말에 위원장은 각 4년간씩을 더 재임할 수 있는 피선거권을 가진다.

역대 위원장은 그리스의 디미트리오스 비켈라스(1894~96), 피에르 드 쿠베르탱 남작(1896~1925), 벨기에의 앙리 드 베예라투르 백작(1925~42), 스웨덴의 J. 시그프리드 에드스트룀(1946~52), 미국의 에이버리 브런디지(1952~72), 아일랜드의 마이클 모리스 킬래닌 경(1972~80), 스페인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1980~2001), 벨기에의 자크 로게(2001~2013)이며, 2013년부터 독일의 토마스 바흐가 위원장직을 맡고 있다. 11명의 위원들로 구성된 집행부는 국제경기연맹들 및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과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있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고자 하는 각 국가는 IOC가 승인하는 올림픽 위원회를 보유해야만 한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적어도 5개 이상의 국내 스포츠 연맹으로 구성되며, 각 스포츠 연맹은 적절한 국제경기연맹에 가입해 있다. 이러한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의 표면적인 목적은 올림픽 운동과 아마추어 스포츠를 발전시키고 장려하는 데 있다.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올림픽 경기에 참가할 자국의 대표단을 구성 및 수송하며, 대표단의 거처 등을 계획하고 준비한다. 2018년 기준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206개이다.

IOC의 규정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들은 비영리조직이어야 하며, 정치성이나 사업성을 띤 일과 연루되어서는 안 됨을 천명하고 있다. 또한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자치적이어야 하며, 모든 정치적·종교적·상업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있어야만 한다. 과거에 직업선수로서 경기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대가를 받고 선수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사람 또는 사적인 이해를 위해 스포츠에 종사하거나 관여하고 있는 사람은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위원이 될 수 없다. IOC의 규정과 규칙을 따르지 않는 국가 올림픽 위원회는 올림픽 대회에 선수단을 파견할 수 있는 출전권을 박탈당하며, IOC로부터의 승인도 취소당하게 된다.

올림픽 메달과 IOC의 상

올림픽 경기 개인종목에서, 1등에게는 은을 6g의 순금으로 도금한 금메달이, 2등에게는 은메달이, 3등에게는 동메달이 각각 수여된다. 금메달의 경우, 1912년까지는 도금하지 않은 금메달이 수여되었다. 4~8등을 한 선수에게는 상장이 수여된다. 하계 올림픽 메달은 앞면에 승리의 여신인 니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나, 동계 올림픽 메달에는 그런 제한 규정이 없어 대회마다 독특한 메달 디자인이 채택되어 왔다.

모든 참가선수와 임원들은 기념 메달을 받게 된다. IOC는 올림픽 컵과 올림픽 훈장 등 2개의 비경쟁 상패를 수여한다. 올림픽 컵은 1906년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서 제정되었다. 이 상은 공적과 성실성에 있어서 전반적인 호평을 얻고 있으며, 아마추어 스포츠 진흥에 혁혁한 공헌을 했고, 올림픽 운동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 협회나 단체에 수여된다. 이 올림픽 컵을 최초로 수상한 단체는 프랑스의 투어링 클럽이었다.

올림픽 훈장은 1974년에 제정되었고, 현직 IOC 위원들을 제외한 생존해 있는 사람들에게 수여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 상에는 금과 은의 2등급이 있으며, 활동을 통해서 올림픽 이상을 실현했거나, 스포츠계에 괄목할 만한 공적을 쌓은 사람에게 수여된다. 또한 개인적 달성을 통해서나 스포츠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올림픽의 대의를 이루는 데 탁월한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된다. 최초의 금메달은 20년간 IOC 위원장직을 역임했던 에이버리 브런디지에게 그가 죽은 뒤에 수여되었다.

올림픽 대회와 참가자

하계 올림픽 대회는 4년마다 개최된다. 국제 스포츠 연맹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아니면 출전선수에 대한 연령제한은 없다. 또한 인종·종교·정치신념 등의 배경에 있어서 어떠한 차별도 없다. 올림픽 경기는 선수 개인들간의 경쟁일 뿐 국가간의 경쟁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계 올림픽과는 별도로 동계 올림픽 대회는 1924년 이후 계속 개최되고 있다. 올림픽 대회는 한 올림피아 제전에서 다음 제전까지의 4년기를 의미하기도 하는 올림피아드를 기념한다. 최초의 근대 올림피아드는 1896년에 거행되었고, 이후로 계속해서 4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1916, 1940, 1944년 등과 같은 해에는 올림픽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하계 및 동계 올림픽의 개최기간은 모두 15일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 개인종목의 경우 허용되는 최대참가인원은 한 국가당 3명으로 되어 있다. 이 수치는 관련된 국제연맹과의 합의하에 IOC에 의해서 정해진 것이지만, 변경할 수도 있다. 단체경기의 경우는 1개 국가에서 1개 팀의 출전만이 허용된다. 일반적으로,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당해 국가의 국민만을 선수로 참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때로 국가 단위가 아닌 개인 자격으로 올림픽에 참여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IOC는 조직적으로 자행된 약물 복용에 대한 징계의 의미로 러시아 선수단의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출전을 금지했다. 대신 약물 검사를 통과한 러시아 선수들에게 개인 자격으로 출전하게 했으나, 러시아 국기를 달지 못하게 했고,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lympic Athlete from Russia·OAR)'라고 불렀으며, 금메달을 딴 경우에는 러시아 국가 대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었다.

자격

선수가 경기에 참가하려면 특정한 국제 스포츠 연맹과 IOC에 의해 규정된 자격규정에 부합되어야만 한다. IOC의 규정은 1976년에 대폭 개정되었으며, 현재 IOC 규칙에 의해서 허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어떤 선수도 경기참가와 관련하여 금전적 대가 또는 물질적 혜택을 받을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IOC 규칙은 선수들이 개인 경기장비 및 운동복, 여행·호텔 경비, 그리고 국가 올림픽 위원회나 국가의 특정 경기연맹에 의해 공인된 보상 등을 받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프로그램 및 경기종목

공식적인 하계 올림픽의 프로그램은 아래 경기 중 최소한 15종목을 포함해야 한다. 해당 경기종목들에는 양궁, 트랙·필드를 포함한 육상, 농구, 복싱, 카누, 사이클, 다이빙, 승마, 펜싱, 필드 하키, 축구, 체조, 핸드볼, 유도, 근대5종경기, 조정, 사격, 수영, 탁구, 테니스, 배구, 수구, 역도, 레슬링, 요트 등이 있다. 올림픽 프로그램에는 또한 2개까지의 시범종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축, 문학, 음악, 미술, 조각, 사진, 스포츠 우표 등 예술 측면의 전시회 등도 포함해야 한다.

양궁

한국 여자 양궁 기보배 선수의 올림픽 경기 모습

ⓒ wikimedia commons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도

한국 여자 역도 장미란 선수의 올림픽 경기 모습

ⓒ wikipedia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위에서 열거한 경기종목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경기종목은 IOC와 국제 스포츠 연맹 간의 합의에 의해 올림픽 프로그램에 포함되기도 한다. 수년 동안 남자 트랙 및 필드 경기에서 24개 종목이 치러졌다. 그러나 1976년 전체 올림픽 참가선수의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이유로 남자 5만m 경보 종목이 제외되었다. 반면 여자 조정 경기가 1976년에 처음으로 포함되었다. 대부분의 올림픽 종목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여자 경기가 포함되었다.

올림픽 선수촌

올림픽 선수촌은 1932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다. 조직위원회가 선수들과 임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함께 숙식할 수 있는 선수촌을 제공한다. 선수촌은 가능한 한 주경기장 및 여러 편의시설 인근에 위치하며, 남녀가 구분된 수용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기참가 선수들과 임원들만이 선수촌에 입촌할 수 있으며, 임원수는 제한되어 있다. 국가나 선수에 따라서는 조직위원회가 제공하는 선수촌에 입촌하지 않고 외부에 따로 숙소를 두는 경우도 있다.

올림픽 기
올림픽(olympic)

올림픽 기

ⓒ Makaristos / wikipedia | Public Domain

주경기장과 경기장 인근 주변에는 참가국들의 국기와 함께 올림픽 가 게양된다. 1914년 쿠베르탱 남작에 의해 소개된 올림픽 기가 그 원형이 되었다. 이 기는 흰색 바탕에다 중앙에 파랑·노랑·검정·초록·빨강의 5색 고리가 맞물린 모양으로 되어 있다. 파랑색 고리가 깃대 옆 왼쪽에 오도록 게양된다. 이 5개의 고리들은 올림픽 운동에 함께 참여한 5개 대륙을 나타낸다. 올림픽의 표어는 '더 빨리 더 높이 더 힘차게'(Citius-Altius-Fortius)이다.

개회식
제 1회 아테네 올림픽

1896년, 그리스 아테네의 파나티네코 경기장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

ⓒ wikimedia | Public Domain

개회식은 주최국의 올림픽 위원회에서 기획하지만, 개회식의 형식은 주최 국가의 원수가 IOC 위원장과 조직위원회의 환영을 받으며 주경기장에 입장하는 순간부터 마지막 팀이 주경기장에서 퇴장하는 식순의 마지막까지 IOC에 의해 세부적으로 관장된다.

IOC 규칙은 개회식 참가자들이 경기장 안으로 사진기를 가지고 입장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은 언제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주최국의 국가 원수가 본부석에 있는 그의 자리에 이르렀을 때 주최국의 국가가 연주된다. 그러고 나서 선수단이 입장하기 시작한다. 그리스 선수단이 언제나 맨 처음으로 경기장에 입장하며, 언제나 주최국 선수단이 가장 마지막에 입장한다.

나머지 참가국 선수단은 주최국의 언어에 의해 결정된 국명 알파벳 순서로 입장하게 된다. 국가명이 표기된 푯말에 뒤이어 공식 유니폼을 입은 각 선수단이 입장하며, 각 선수단 중 한 선수가 자국의 국기를 들고 입장한다. 선수들은 경기장 트랙을 돈 뒤, 운동장 중앙에 본부석을 향해 정렬해 선다. 조직위원회의 위원장이 간단한 환영사를 하고, 곧 이어 IOC 위원장이 연설을 하며 주최국 국가원수에게 요청해서 올림픽 대회 개회선언을 하도록 한다.

올림픽 기가 서서히 게양되면서 트럼펫 팡파르가 울려퍼진다. 그리고 비둘기들이 하늘로 날려지는데, 이것은 올림픽 경기가 개최되었음을 세계 각국에 알린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비둘기를 날리는 것이 동물 보호에 위배된다는 관점에 따라, 대회에 따라서 비둘기를 대신하는 다른 방식으로 기념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그리스 올림피아로부터 여러 주자들에 의해서 운반된 올림픽 성화가 마지막 주자에 의해서 주경기장 안으로 운반된다.

마지막 주자는 트랙을 1바퀴 돌고, 계단을 올라 올림픽 대회 기간중에 주야로 불을 밝힐 올림픽 성화대에 성화를 점화하는데, 트랙을 도는 마지막 주자가 몇 명인지, 누구인지 그리고 성화대에 불을 붙이는 최종 점화자는 누구이며 점화는 어떤 방식으로 할 것인지 등은 거의 모든 대회에서 극적인 효과를 위해 최종 순간까지 비밀에 붙이는 경향이 있다.

시상식
하계 올림픽 시상식

2008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 남자팀 시상식 장면

ⓒ EOZyo / wikipedia | CC BY 2.0

올림픽 대회 기간중 여러 종목의 경기장에서 일반적으로 경기가 거행된 직후에 메달이 수여된다. 경기에서 1·2·3위를 한 선수들이 시상대에 오르는데, 우승자인 금메달 수상자가 시상대의 중앙에 서며, 은메달 수상자와 동메달 수상자는 각각 금메달 수상자의 오른편과 왼편에 서게 된다. IOC의 위원이 리본이나 사슬에 매달린 메달을 우승자들의 목에 걸어주며, 금메달 수상자의 국가가 연주되는 동안 해당 국가의 국기가 게양된다. 3명의 메달 수상자들과 마찬가지로 관중들도 금메달 수상자의 국기가 게양되는 동안 자리에서 일어나 경의를 표한다.

폐막식
하계 올림픽 폐막식

2008년 하계 올림픽 폐막식 장면

ⓒ Jmex60 / wikipedia | CC BY-SA 3.0

폐막식은 마지막 경기가 끝난 이후 거행된다. 1956년에 거행된 멜버른 올림픽 이후 폐막식은 덜 형식적인 행사가 되었으며, 몇 가지 공식행사가 끝나면 참가선수들은 자유롭게 어울린다. 폐막식에서는 각국으로부터 6명의 선수들이 행진을 한다. 이 행진에서는 국적의 구별 없이 8~10명의 선수들이 열을 지어 행진하는데, 이는 올림픽 경기의 우호적 유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선수들과 관계자가 모두 입장하면 IOC 위원장은 4년 뒤 다음 개최지에서 올림픽을 거행하기 위해 세계의 젊은이들이 다시 모일 것을 요청한다. 팡파르가 울려퍼지고, 올림픽 성화가 꺼진다.그리고 올림픽 찬가가 연주되는 동안 올림픽 기가 내려진다. 그러면 올림픽 대회는 막을 내리게 된다.

올림픽 대회 개최지 선정

올림픽 대회를 유치하는 영광은 한 국가에 위임되는 것이 아니고 한 도시나 지역에 위임된다. 개최도시는 IOC에서 결정하며, 올림픽 경기 유치신청은 한 국가정부의 지지하에 시 당국이 하게 된다. 신청서에는 주경기장과 부속 경기장들, 올림픽 선수촌에서 어떠한 정치적 집회나 시위도 열리지 않도록 할 것 등을 상술해야만 한다. 또한 모든 선수들이 종교·피부색 또는 정치적 신념 등에 연루되어 어떤 차별도 받지 않고 자유롭게 경기에 참가할 수 있음도 약정해야 한다. 또한 유치신청서에는 개최국 정부가 어떤 선수의 비자도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증을 포함해야 한다.

근대 올림픽의 역사

제1기(1896~1912)
제 1회 아테네 올림픽

1896년, 그리스 아테네의 파나티네코 경기장에서 열린 하계 올림픽의 개막식

ⓒ wikimedia | Public Domain

올림픽 대회가 지금과 같은 지속적인 형태를 갖게 된 데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초기에 거행된 5회의 올림픽 경기중 1896년 아테네 대회, 1900년 파리 대회, 1904년 세인트루이스 대회 등 초반의 세 대회는 다소 무계획한 행사였다. 그러나 참가선수들은 광범위했고, 각국의 가장 훌륭한 선수들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대회에 포함된 경기종목은 상당히 다양했으나, 어떤 경기가 정말로 올림픽 대회의 의미를 갖고 있었는지 확연하게 단정짓기는 불가능하다.

1900년 파리 대회에서는 골프와 테니스 종목에 여자 선수들이 참가했고 세인트루이스 대회에서는 양궁에도 여자 선수들이 참가했다. 1908년 런던 대회는 여러 관련 스포츠 단체들에 의해 조직된 최초의 대회였다. 올림픽이 세계박람회의 한 부분으로 취급되지 않았고, 많은 장려자들에 의해 관리되었다. 비록 런던 세퍼드부시에서 열린 영국-프랑스 박람회가 6만 6,000명의 수용시설을 갖춘 새로운 주경기장인 화이트시티의 건설을 가능하게 했지만, 스포츠 이사회가 이 모든 일들을 관장했다.

1908년 런던 대회에는 22개국에서 2,000명 이상의 선수가 파견되었고 17개 경기, 100여개 이상의 종목이 치러졌다. 그러나 여자 선수는 겨우 36명만이 참가했다. 런던 대회에는 양궁과 테니스가 포함되었다. 1912년 스톡홀름 대회는 참가국 수가 28개국으로 증가했고 참가선수도 2,500명을 넘어섰다. 그리고 처음으로 3개의 여자수영 종목이 포함되었다. 1916년에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서 올림픽 경기가 개최되지 않았다.

제2기(1920~36)
암스테르담 올림픽,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 주경기장 모습

ⓒ Soerfm/wikipedia | Public Domain

이 시기는 중·장 거리 경주 부문에서 핀란드가 독주한 시기이며, 특히 제시 오언의 성적을 포함한 단거리 경주 부문에서의 기록이 놀랍게 성장한 시기로 육상에 있어서 황금기였다. 이 시기에는 5차례의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1918년 11월 휴전협정이 체결된 후 2년이 안 되서, 벨기에가 전후 처음으로 올림픽을 개최했다. 이 대회는 국왕 알베르트 1세의 개회사와 함께 안트웨르펜에서 거행되었다.

1918년 벨기에 대회에는 많은 새로운 참가국들을 포함해서 29개국이 2,500명 이상의 선수들을 파견했고, 이들은 19개 경기, 150개가 넘는 종목에서 기량을 겨루었다. 참가선수 중 여자 선수는 여전히 적어서 60여 명만이 참가했다. 4년 후 파리 대회에서는 참가국이 44개국으로 증가했고, 참가선수도 3,000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사격과 요트 경기에서 지나치게 종목 수를 많이 줄여 137개 종목으로 축소되었다. 파리 대회의 경우는 100명이 넘는 여자 선수들이 참가했고, 수영과 테니스뿐만 아니라 펜싱 경기도 가졌다.

1924년 이후 테니스 경기부문에 있어서 출전선수의 자격이 문제시되었고, 이로 인해 IOC는 이후에 거행된 올림픽에서 테니스 경기를 제외시켰다. 1928년 암스테르담 대회에는 여자 트랙 및 필드 경기 5개 종목과 여자 체조 1개 종목이 선보였다. 46개국에서 이전 대회처럼 3,000명 이상의 선수가 참가했고, 그중 여자 선수는 파리 대회 136명의 2배가 넘는 290명이 참가했다.

4년 뒤의 올림픽 대회는 두번째로 대서양을 건너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에는 37개국에서 1,500명도 안 되는 선수가 참가했다. 대서양을 건너는 먼 거리와 당시 대공황으로 인해 참가선수가 감소한 것이었다. 1936년 대회는 다시 유럽으로 돌아와 베를린에서 개최되었으며 4,0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했다.

제3기(1948~68)
1964년 도쿄 올림픽

도쿄 하계 올림픽 참가국들의 지도상 위치

ⓒ Sensini / wikipedia | CC BY-SA 3.0

이 시기에는 여자 선수의 수와 여자 경기종목 수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그리고 트랙 및 필드 경기보다 수영과 같은 경기가 인기종목이 되었다. 무엇보다 동계 및 하계 올림픽 경기의 텔레비전 중계방송 범위가 넓어짐으로써 올림픽 경기 시청자 수가 증가했다. 1940, 1944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서 올림픽이 개최되지 못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오랜만에 열린 1948년 대회는 단지 3년간의 준비기간만으로 런던에서 개최하게 되었다. 비록 전후의 어려운 상황이었지만, 많은 용구들과 물자를 국가들이 효과적으로 분담함으로써 많지 않은 비용으로 거행될 수 있었다. 참가국의 수는 59개국이었으며 참가선수의 수는 4,000여 명이었고, 그중 여자 선수는 385명이었다. 이 대회에서는 여자 필드 및 트랙 경기종목에서 200m 달리기, 멀리뛰기, 포환던지기 등의 종목이 추가되어, 여자 육상종목은 모두 9개 종목으로 증가했다.

1952년 대회는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개최되었으며, 참가국의 수가 69개국으로 증가했다. 참가선수도 총 5,900여 명에 달했으며, 그중 여자 선수의 수도 500명을 넘어섰다. 1956년에는 처음으로 남반구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멜버른에서 치러진 1956년 올림픽은 11~12월에 행해졌으며, 처음으로 경기 중 1개 종목이 다른 국가에서 치러져야 했다. 말 수입을 금지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의 검역규정으로 인해서, 승마경기는 스톡홀름에서 치러지게 되었다. 멜버른 대회도 유럽으로부터의 거리상의 문제로 참가선수의 수가 줄어들어 1,500여 명만이 참가했다.

그러나 4년 뒤 로마 대회에서는 참가선수의 수가 5,000명을 넘어섰고, 참가국 수도 80개국을 넘었으며 경기종목도 150개 종목에 달했다. 1964년에는 처음으로 올림픽이 아시아에서 개최되었다. 개최지는 도쿄(東京)였는데 이 도시는 1940년 올림픽을 유치했다가 개최하지 못한 곳이었다. 도쿄 대회는 참가국·참가인원·경기종목 수에서 기록적인 수치를 보여 94개국에서 5,500여명이 162개 종목에서 경기를 가졌다.

1968년 대회는 멕시코 시에 유치되었는데 이 대회는 상당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논쟁은 2,300m가 넘는 고도 때문에 대다수 장거리 선수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비난을 둘러싼 것이었다. 그러나 125개국에서 총 6,500여 명이 넘는 선수가 이 대회에 참가했고, 여자 선수도 800여 명이나 되었다. 경기종목 수는 크게 늘어 총 172개에 달했다.

제4기(1972~1984)
서울 올림픽 개막식

성화 점화 장면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시기는 정치적 분열과 폭력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1972년 뮌헨 올림픽에는 124개국 8,000여 명의 선수들이 참가해 거의 200개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그러나 아랍의 팔레스타인 테러 분자들이 올림픽 선수촌을 습격, 이스라엘에 있는 아랍포로 200명의 석방을 요구하며, 2명을 사살하고 9명의 이스라엘 선수들을 인질로 잡았다. 경찰이 구출작전을 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 이로 인해서 9명의 인질과 인질범들 중 5명, 서독 경찰 1명이 목숨을 잃었다.

1976년 몬트리올 대회는 인종차별정책을 펴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던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뉴질랜드의 대회 참가를 반대했던 여러 국가들이 마지막 순간에 선수단을 철수시킴으로써 참가선수의 수는 400여 명 가량이 줄어들었다. 제22회 올림픽은 1980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되었다. 그러나 이 대회는 1979년 12월 발생한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에 항의해 60여 개 국이 참가를 거부함으로써 오점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81개국에서 총 5,923명의 선수가 참가했으나, 동구권 출신의 심판들이 경기판정에 편견을 두었고,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선수들이 스테로이드 약물을 복용하는 등 2가지 중요한 문제점들이 나타나 이 대회의 권위는 더욱 실추되었다. 약물복용 문제는 1979년 약물복용으로 검거되었던 7명의 선수에게 국제 아마추어 경기연맹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올림픽 출전자격이 주어짐으로써 대회 개최 직전에 더욱 악화되었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개최준비는 여러 문제들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 문제들에는 악명 높은 로스앤젤레스의 스모그 현상이 선수들에게 미칠 생리적 영향, 여러 법집행기관들의 안전문제에 관한 관할권분쟁, 인내력을 요구하는 여자 경기종목의 진행절차에 관한 법정소송 문제, 그리고 소련과 많은 소련 동맹국들의 대회 불참결정 등이 있었다.

제5기(1988~ )

이 시기부터 분열과 갈등을 극복하고 다시 평화로 향하는 올림픽 정신이 드러나게 되었다. 1988년의 올림픽은 아시아에서는 2번째로 서울에서 열렸다. 인종차별과 종교적 갈등, 냉전의 영향을 받았던 앞서 몇 차례 올림픽의 불운을 씻고 동·서 화합의 분위기 속에서 양 진영의 160개국에서 1만 3,000명 이상이 참가하고, 경기종목도 237개 종목에 달하는 등 사상 최대규모의 대회로 기록되었다(→ 서울 올림픽 대회).

1992년의 올림픽은 스페인의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되었다. 소련의 붕괴에 따라 동구권에 새로운 나라들이 탄생하여 첫 출전을 하면서 169개국에서 9,000여 명이 참가했으며, 소련에 속했던 연방 공화국이 연합한 독립국가연합이 45개의 금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한국의 황영조는 이 대회에서 손기정 이후 56년만에 올림픽 마라톤 경기를 제패했다.

1996년 대회는 미국의 애틀랜타에서 열렸다. 사상 처음으로 IOC 전 회원국 197개국에서 1만 명이 넘는 선수가 참가하여 26개 종목에서 271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했는데, 민간 기업이 스폰서로 대거 참여하여 엄청난 흑자를 기록했으나 올림픽에서 상업주의가 지나치게 나타나는 계기가 되었던 대회이기도 했다. 4년 후 2000년 대회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개최되었다.

2004년 대회는 ‘올림픽 정신으로의 복귀’를 주제로 삼아 고대 올림픽의 발상지이자 첫 근대 올림픽이 시작되었던 그리스 아테네에서 개최되었다. 201개국에서 1만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28개 경기 종목에 모두 301개의 금메달을 놓고 역대 최대 규모로 치러졌다. 개막식부터 그리스의 신화와 철학, 올림픽의 순수한 정신을 현대의 첨단기술과 접목한 행사로 펼쳐 많은 호응을 받았다.

2008년 대회는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서 열렸으며, 올림픽 사상 최다인 204개국 1만 6000여 명이 참여했다. 중국에서 행운의 숫자로 여겨지는 8이 강조된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에 개막하였으며, 28개 종목에 302개의 금메달을 놓고 경쟁했고, 개최국 중국이 금메달 51개로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2012년 대회는 영국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는 올림픽 역사상 최초로 남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된 대회였다. 브라질의 이미지에 알맞은 구호인 ‘열정적으로 살자'는 슬로건 아래 206개국 1만여 명의 선수가 참가하였으며 골프와 럭비가 정식 종목으로 부활하여 경기 종목은 28개, 세부종목은 306개였다. 미국은 금메달 47개로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고, 영국과 중국이 그 뒤를 이었다.

올림픽 개최지와 기록
연도개최지
하계
11896아테네(그리스)
21900파리(프랑스)
31904세인트루이스(미국)
41908런던(영국)
51912스톡홀름(스웨덴)
61916 각주1) -
71920안트웨르펜(벨기에)
81924파리(프랑스)
91928암스테르담(네덜란드)
101932로스앤젤레스(미국)
111936베를린(독일)
121940 각주2) -
131944 각주3) -
141948런던(영국)
151952헬싱키(핀란드)
161956멜버른(오스트레일리아)
171960로마(이탈리아)
181964도쿄(일본)
191968멕시코시티(멕시코)
201972뮌헨(독일)
211976몬트리올(캐나다)
221980모스크바(러시아연방)
231984로스앤젤레스(미국)
241988서울(대한민국)
251992바르셀로나(스페인)
261996애틀란타(미국)
272000시드니(오스트레일리아)
282004아테네(그리스)
292008베이징(중국)
302012런던(영국)
312016리우데자네이루(브라질)
동계
11924샤모니(프랑스)
21928장크트모리츠(스위스)
31932레이크플래시드(미국)
41936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독일)
1940 각주4) -
1944 각주5) -
51948장크트모리츠(스위스)
61952오슬로(노르웨이)
71956코르티나담페초(이탈리아)
81960스쿼밸리(미국)
91964인스브루크(오스트리아)
101968그르노블(프랑스)
111972삿포로(일본)
121976인스브루크(오스트리아)
131980레이크플래시드(미국)
141984사라예보(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151988캘거리(캐나다)
161992알베르빌(프랑스)
171994 각주6) 릴레함메르(노르웨이)
181998나가노(일본)
192002솔트레이크시티(미국)
202006토리노(이탈리아)
212010밴쿠버(캐나다)
222014소치(러시아)
232018평창(대한민국)
역대올림픽 개최 현황
연도남자 개인전남자 단체전
1912G. 릴리회크스웨덴--
1920G. 뒤르센스웨덴--
1924B. 린드만스웨덴--
1928S. 토펠트스웨덴--
1932J. 옥센셰르나스웨덴--
1936G. 한드리크독일--
1948W. 그루트스웨덴--
1952L. 할스웨덴1952헝가리
1956L. 할스웨덴1956소련
1960F. 네메트헝가리1960헝가리
1964F. 토로크헝가리1964소련
1968B. 페름스웨덴1968헝가리
1972A. 볼초헝가리1972소련
1976J. 피치아크 페치아크폴란드1976영국
1980A. 스타로스틴소련1980소련
1984D. 마살라이탈리아1984이탈리아
1988J. 모르티네크헝가리1988헝가리
1992A. 스크지파셰크폴란드1992폴란드
1996A. 파리긴카자흐스탄--
2000D. 사트코프스키러시아--
2004A. 모이세예프러시아--
2008A. 모이세예프러시아--
2012D. 스포보다체코--
2016A. 레순러시아--
연도여자 개인전여자 단체전
2000S. 쿡영국--
2004Z. 보로스헝가리--
2008L. 쇼네보른독일--
2012L. 아사다우스카이테리투아니아--
2016C. 에스포시토호주--
올림픽 근대5종경기 우승
연도남자연도여자
1936미국--
1948미국--
1952미국--
1956미국--
1960미국--
1964미국--
1968미국--
1972소련--
1976미국1976소련
1980유고슬라 비아1980소련
1984미국1984미국
1988소련1988미국
1992미국1992독립국가연합 각주7)
1996미국1996미국
2000미국2000미국
2004아르헨티나2004미국
2008미국2008미국
2012미국2012미국
2016미국2016미국
올림픽 대회 농구 우승
남자
연도스프링보드플랫폼(하이)다이빙
1908A. 취르너독일H. 요한손스웨덴
1912P. 귄터독일E. 아들레르스스웨덴
1920L. 퀸미국C. 핑크스턴미국
1924A. 화이트미국A. 화이트미국
1928R. 데자르댕미국P. 데자르댕미국
1932M. 갈리첸미국H. 스미스미국
1936R. 더제너미국M. 웨인미국
1948B. 할런미국S. 리미국
1952D. 브라우닝미국S. 리미국
1956R. 클로트워디미국J. 카피야멕시코
1960G. 토비언미국R. 웹스터미국
1964K. 시츠버거미국R. 웹스터미국
1968R. 라이트슨미국K. 디비아시이탈리아
1972V. 바신소련K. 디비아시이탈리아
1976P. 보그스미국K. 디비아시이탈리아
1980A. 포르트노프소련F. 호프만동독
1984G. 루가니스미국G. 루가니스미국
1988G. 루가니스미국G. 루가니스미국
1992M. 렌지미국S. 쑨중국
1996N. 슝중국D. 사우틴러시아연방
2000시옹니중국티안리앙중국
2004펑보중국후지아중국
2008허총중국M. 밋쳄호주
2012일리아 자하로프러시아D. 보우디아미국
2016카오 유안중국천아이선중국
여자
연도스프링보드플랫폼(하이)다이빙
1912--G. 요한손스웨덴
1920A. 리긴미국S. 프릴란 클라우센덴마크
1924E. 베커미국C. 스미스미국
1928H. 미니미국E. 베커 핑크스턴미국
1932G. 콜먼미국D. 포인턴미국
1936M. 제스트링미국D. 포인턴 힐미국
1948V. 드레이브스미국V. 드레이브스미국
1952P. 매코믹미국P. 매코믹미국
1956P. 매코믹미국P. 매코믹미국
1960I. 크라머독일 각주8) I. 크라머독일 각주9)
1964I. 엥겔 크라머독일 각주10) L. 부시미국
1968S. 고식미국M. 두흐코바체코슬로바키아
1972M. 킹미국U. 크나페스웨덴
1976J. 챈들러미국Y. 바이체호프스카야소련
1980I. 칼리니나소련M. 야슈케동독
1984S. 베르니에캐나다J. 저우중국
1988G. 민중국Y. 쉬중국
1992G. 민중국M. 푸중국
1996M. 푸중국M. 푸중국
2000푸밍시아중국L. 윌킨슨미국
2004궈징징중국C. 뉴베리오스트레일리아
2008궈징징중국천뤄린중국
2012우민샤중국천뤄린중국
2016스팅마오중국런첸중국
올림픽 대회 다이빙 우승
자유형 각주11)
연도라이트플라이급(48kg)플라이급(52kg)
1904--R. 커리미국
1948--L. 비탈라핀란드
1952--H. 게미지터키
1956--M. 찰칼라마니제소련
1960--A. 빌레크터키
1964--요시다 Y.일본
1968--나카타 S.일본
1972R. 드미트리예프소련가토 K.일본
1976K. 이사에프불가리아다카다 Y.일본
1980C. 폴리오이탈리아A. 벨로글라조프소련
1984R. 위버미국S. 트르스테나유고슬라비아
1988고바야시 T.일본사토 M.일본
1992김일북한이학선북한
1996김일북한V. 요르다노프불가리아
연도밴텀급(57kg)페더급(62kg)
1900G. 메네트미국--
1904--I. 니플롯미국
1908G. 메네트미국G. 돌미국
1920--C. 애컬리미국
1924K. 피흘라야메키핀란드R. 리드미국
1928K. 마키넨핀란드A. 모리슨미국
1932R. 피어스미국H. 피흘라야메키핀란드
1936O. 좀보리헝가리K. 피흘라야메키핀란드
1948N. 아카르터키G. 빌게터키
1952이시이 I.일본B. 시트터키
1956M. 다기스탄리터키사사하라 S.일본
1960T. 매캔미국M. 다기스탄리터키
1964우에타케 Y.일본와타나베 O.일본
1968우에타케 Y.일본가네코 M.일본
1972야나기다 H.일본Z. 아브둘베코프소련
1976V. 유민소련양정모한국
1980S. 벨로글라조프소련M. 아부셰프소련
1984도미야마 H.일본R. 루이스미국
1988S. 벨로글라조프소련J. 스미스미국
1992A. 푸에르토쿠바J. 스미스미국
1996K. 크로스미국T. 브랜즈미국
연도라이트급(68kg)웰터급(74kg)
1904B. 브래드쇼미국O. 롬미국
1908G. 렐뤼스코영국--
1920R. 안틸라핀란드--
1924R. 비스미국H. 게흐리스위스
1928O. 케프에스토니아A. 하비스토핀란드
1932C. 파콤프랑스J. 밴 베버미국
1936K. 카르파티헝가리F. 루이스미국
1948C. 아티크터키J. 도우터키
1952O. 안데르베리스웨덴W. 스미스미국
1956E. 하비비이란이케다 M.일본
1960S. 윌슨미국D. 블루바우미국
1964E. 디모프불가리아I. 오안터키
1968A. 모바헤드이란M. 아탈라이터키
1972D. 게이블미국W. 웰스미국
1976P. 피니긴소련다테 J.일본
1980S. 아프살도프소련V. 라이체프불가리아
1984유인탁한국D. 슐츠미국
1988A. 파자예프소련K. 먼데이미국
1992A. 파자예프독립국가연합 각주12) 박장순한국
1996V. 보기예프러시아연방B. 사이티예프러시아연방
연도미들급(82kg)라이트헤비급(90kg)
1908S. 베이컨영국--
1920E. 레이노핀란드A. 라르손스웨덴
1924F. 하그만스위스J. 스펠먼미국
1928E. 키부르츠스위스T. 시웨스테트스웨덴
1932I. 요한손스웨덴P. 메링어미국
1936E. 푸알베프랑스K. 프리델스웨덴
1948G. 브랜드미국H. 비텐베르크미국
1952D. 치마쿠리제소련W. 팔름스웨덴
1956N. 스탄체프불가리아G.-R. 타흐티이란
1960H. 귀노르터키I. 아틀리터키
1964P. 가르드체프불가리아A. 메드베트소련
1968B. 구레비치소련A. 아유크터키
1972L. 테디아슈빌리소련B. 피터슨미국
1976J. 피터슨미국L. 테디아슈빌리소련
1980I. 아빌로프불가리아S. 오가네샨소련
1984M. 슐츠미국E. 배내치미국
1988한명우한국M. 하다르체프소련
1992K. 잭슨미국M. 하다르체프독립국가연합 각주13)
1996K. 마고메도프러시아연방R. 하뎀이란
연도헤비급(100kg)슈퍼헤비급(100kg 이상)
1896K. 슈만독일--
1904B. 핸슨미국--
1908G. 오켈리영국--
1920R. 로테스위스--
1924H. 스틸미국--
1928J. 리크토프스웨덴--
1932J. 리크토프스웨덴--
1936K. 팔루살루에스토니아--
1948G. 보비슈헝가리--
1952A. 메코키슈빌리소련--
1956H. 카플란터키--
1960W. 디트리히독일 각주14) --
1964A. 이바니츠키소련--
1968A. 메드베트소련--
1972I. 야리긴소련A. 메드베트소련
1976I. 야리긴소련S. 안디예프소련
1980I. 마테소련S. 안디예프소련
1984L. 배내치미국B. 봄가트너미국
1988V. 푸스카수루마니아D. 고베지치빌리소련
1992L. 하벨로프독립국가연합 각주15) B. 봄가트너미국
1996K. 앵글미국M. 데미르터키
레슬링/그레코로만형 각주16)
연도라이트플라이급(48kg)플라이급(52kg)
1948--P. 롬바르디이탈리아
1952--B. 구레비치소련
1956--N. 소로비예프소련
1960--D. 피르불레스쿠루마니아
1964--하나하라 T.일본
1968--P. 키로프불가리아
1972G. 베르체아누루마니아P. 키로프불가리아
1976A. 슈마코프소련V. 콘스탄티노프소련
1980Z. 우슈켐피로프소련V. 블라기제소련
1984V. 마엔차이탈리아미야하라 A.일본
1988V. 마엔차이탈리아J. 로닝겐노르웨이
1992O. 쿠체렌코독립국가연합 각주17) J. 로닝겐노르웨이
1996심권호한국A. 나자르얀아르메니아
연도벤텀급(57kg)페더급(62kg)
1912--K. 코스켈로핀란드
1920--O. 프리만핀란드
1924E. 퓌체프에스토니아K. 안틸라핀란드
1928C. 로이히트독일V. 벨리에스토니아
1932J. 브렌델독일G. 고치이탈리아
1936M. 로린츠헝가리Y. 에르칸터키
1948K. 페테르센스웨덴M. 옥타브터키
1952I. 호도스헝가리Ya. 푼킨소련
1956K. 비루파예프소련R. 매키넨핀란드
1960O. 카라바예프소련M. 실레터키
1964이치구치 M.일본I. 폴리야크헝가리
1968J. 보르고헝가리R. 루루아소련
1972R. 카자코프소련G. 마르코프불가리아
1976P. 우콜라핀란드K. 리피엔폴란드
1980Sh. 세리코프소련S. 미기아키스그리스
1984P. 파사렐리서독김원기한국
1988S. 시케헝가리K. 마지도프소련
1992안한봉한국A. 피림터키
1996Y. 멜니첸코카자흐스탄W. 자바트스키폴란드
연도라이트급(68kg)웰터급(74kg)
1908E. 포로이탈리아--
1912E. 베레핀란드--
1920E. 베레핀란드--
1924O. 프리만핀란드E. 베르테르룬트핀란드
1928L. 케레스테슈헝가리V. 코키넨핀란드
1932E. 말름베리스웨덴I. 요한손스웨덴
1936L. 코스켈라핀란드R. 스베드베리스웨덴
1948G. 프라이스웨덴G. 안데르손스웨덴
1952C. 사핀소련M. 실바시헝가리
1956K. 레토넨핀란드M. 바이라크터키
1960A. 코리제소련M. 바이라크터키
1964K. 아이바즈터키A. 콜레소프소련
1968무메무라 M.일본R. 페스퍼동독
1972Sh. 히사무트디노프소련V. 마하체코슬로바키아
1976S. 날반댠소련A. 비코프소련
1980S. 루수루마니아F. 코치슈헝가리
1984V. 리시아크유고슬라비아J. 살로마키핀란드
1988L. 줄팔라키안소련김영남한국
1992A. 레프카헝가리M. 이스칸다리안독립국가연합 각주18)
1996R. 볼니폴란드F. 아스쿠이쿠바
연도미들급(82kg)라이트헤비급(90kg)
1908F. 마르텐손스웨덴V. 베크만핀란드
1912C. 요한손스웨덴C. 요한손스웨덴
1920C. 베스테르그렌스웨덴C. 베스테르그렌스웨덴
1928I. 무스타파이집트I. 무스타파이집트
1932V. 코키넨핀란드R. 스벤손스웨덴
1936I. 요한손스웨덴A. 카디르스웨덴
1948A. 그뢴베리스웨덴K. 닐손스웨덴
1952A. 그뢴베리스웨덴K. 그뢴달핀란드
1956G. 카르토지야소련V. 니콜라예프소련
1960D. 도브레프불가리아T. 키스터키
1964B. 시마츠유고슬라비아B. 라데프불가리아
1968L. 메츠동독B. 라데프불가리아
1972C. 헤게두슈헝가리V. 레잔체프소련
1976M. 페트코비츠유고슬라비아V. 레잔체프소련
1980G. 코르반소련N. 노트니헝가리
1984I. 드라이카루마니아S. 프레이저미국
1988M. 마미아치빌리소련A. 콤체프불가리아
1992P. 포르코슈헝가리M. 불만독일
1996H. 예를리키야터키V. 올레이니크우크라이나
연도헤비급(100kg)슈퍼헤비급(100kg 이상)
1908R. 베이스헝가리--
1912Y. 사렐리핀란드--
1920A. 린드포르스핀란드--
1924H. 데글란프랑스--
1928R. 스벤손스웨덴--
1932C. 베스테르그렌스웨덴--
1936K. 팔루살루에스토니아--
1948A. 키레지터키--
1952J. 코트카스소련--
1956A. 파르페노프소련--
1960I. 보그단소련--
1964I. 코즈모헝가리--
1968I. 코즈모헝가리--
1972N. 마르티네스쿠루마니아A. 로신소련
1976N. 발보신소련A. 콜친스키소련
1980G. 라이코프불가리아A. 콜친스키소련
1984V. 안드레이루마니아J. 블래트닉미국
1988A. 브론스키폴란드A. 카렐린소련
1992H. 밀리안쿠바A. 카렐린독립국가연합 각주19)
1996A. 브론스키폴란드A. 카렐린러시아연방
올림픽 대회 레슬링 우승 (1900~1996)
연도 55kg 이하각주20) 57kg각주21)
2004 M. 바티로브 러시아 - -
2008 H. 체주도 미국 - -
2012 D. 오타르설타노브 러시아 - -
2016 - - V. 킨체가쉬빌리 그루지야
연도 60kg각주22) 65kg각주23)
2004 Y. 퀸타나 쿠바 - -
2008 M. 바티로브 러시아 - -
2012 T. 아스가로브 아제르바이잔 - -
2016 - - S. 라모노브 러시아
연도 66kg각주24) 74kg각주25)
2004 E. 테데예브 우크라이나 B. 사이티에브 러시아
2008 R. 사힌 터키 B. 사이티에브 러시아
2012 타츠히로 Y. 일본 J. 버로스 미국
2016 - - H. 야즈다니차라티 이란
연도 84kg각주26) 86kg각주27)
2004 C. 샌더슨 미국 - -
2008 R. 민도라쉬빌리 그루지야 - -
2012 S. 샤리포브 아제르바이잔 - -
2016 - - A. 사둘라에브 러시아
연도 96kg각주28) 97kg각주29)
2000 - - S. 무타살리예브 러시아
2004 K. 가트살로브 러시아 - -
2008 S. 무라도브 러시아 - -
2012 J. 바너 미국 - -
2016 - K. 스나이더 미국
연도 120kg각주30) 125kg각주31)
2004 A. 타이마조브 우즈베키스탄 - -
2008 B. 아크메도브 러시아 - -
2012 A. 타이마조브 우즈베키스탄 - -
2016 - - T. 악굴 터키
올림픽 대회 레슬링/자유형 (남자) 우승 (2004~2016)
연도 55kg 이하각주32) 59kg각주33)
2004각주34) I. 마조로스 헝가리 - -
2008 N. 만키에브 러시아 - -
2012 H. 소르얀 레이한푸어 이란 - -
2016 - - I. 보레로 몰리나 쿠바
연도 60kg각주35) 66kg각주36)
2004 정지현 한국 F. 만수로브 아제르바이잔
2008 I. 알비에브 러시아 S. 구에노트 프랑스
2012 O. 노루지 이란 김현우 한국
2016 - - D. 스테파네크 세르비아
연도 74kg각주37) 75kg각주38)
2004 A. 독투리쉬빌리 우즈베키스탄 - -
2008 M. 크버켈리아 그루지야 - -
2012 R. 블라소브 러시아 - -
2016 - - R. 블라소브 러시아
연도 84kg각주39) 85kg각주40)
2004 A. 미쉰 러시아 - -
2008 A. 밍구치 이탈리아 - -
2012 A. 쿠가에브 러시아 - -
2016 - - D. 차크베타드제 러시아
연도 96kg각주41) 98kg각주42)
2004 K. 가버 이브라힘 이집트 - -
2008 A. 쿠쉬토브 러시아 - -
2012 G. 레자에이 이란 - -
2016 - - A. 알렉산얀 아르메니아
연도 120kg각주43) 130kg각주44)
2004 K. 바로에브 러시아 - -
2008 M. 로페즈 누네즈 쿠바 - -
2012 M. 로페즈 누네즈 쿠바 - -
2016 - - M. 로페즈 누네즈 쿠바
올림픽 대회 레슬링/그레코로만형 (남자) 우승 (2004~2016)
연도 48kg 이하 53kg각주45)
2004 I. 멀레니 우크라이나 - -
2008 C. 후인 캐나다 - -
2012 히토미 O. 일본 - -
2016 에리 T. 일본 H. 마룰리스 미국
연도 55kg각주46) 58kg각주47)
2004 사오리 Y. 일본 - -
2008 사오리 Y. 일본 - -
2012 사오리 Y. 일본 - -
2016 - - 카오리 I. 일본
연도 63kg 69kg각주48)
2004 카오리 I. 일본 - -
2008 카오리 I. 일본 - -
2012 카오리 I. 일본 - -
2016 리사코 K. 일본 사라 D. 일본
연도 72kg각주49) 75kg각주50)
2004 수 W. 중국 - -
2008 지아오 W. 중국 - -
2012 N. 보로비에바 러시아 - -
2016 - - E. 위베 캐나다
올림픽 대회 레슬링 자유형 (여자) 우승
연도리듬체조(개인)리듬체조(단체)
1984L. 펑캐나다-
1988M. 로바치소련-
1992A. 티모셴코독립국가연합 각주51) -
1996E. 세레브랸스카야우크라이나스페인
2000Yu. 브라수코바러시아러시아
2004A. 카나예바러시아러시아
2008A. 카나예바러시아러시아
2012A. 카나예바러시아러시아
2016D. 프린스호주러시아
올림픽 대회 리듬체조 우승
연도남자연도여자
1964소련1964일본
1968소련1968소련
1972일본1972소련
1976폴란드1976일본
1980소련1980소련
1984미국1984중국
1988미국1988소련
1992브라질1992쿠바
1996네덜란드1996쿠바
2000유고슬라비아2000쿠바
2004브라질2004중국
2008미국2008브라질
2012러시아2012브라질
2016브라질2016중국
올림픽 대회 배구 우승
연도 남자단식 여자단식
1992 A. B. 쿠수마 인도네시아 S. 수산티 인도네시아
1996 P. E. 호이어 라르센 덴마크 방수현 한국
2000 지신펑 중국 공지차오 중국
2004 T. 히다야트 인도네시아 장닝 중국
2008 린단 중국 장닝 중국
2012 린단 중국 수에루이 L. 중국
2016 천룽 중국 C. 마린 스페인
연도 남자복식 여자복식 혼합복식
1992 한국 한국 -
1996 인도네시아 중국 한국
2000 인도네시아 중국 중국
2008 인도네시아 중국 한국
2012 중국 중국 중국
2016 중국 일본
올림픽 대회 배드민턴 우승
연도라이트플라이급(48kg)플라이급(51kg)
1904--G. 피네건미국
1920--F. 드 제나로미국
1924--F. 라 비바미국
1928--A. 코치슈헝가리
1932--I. 에네케슈헝가리
1936--W. 카이저독일
1948--P. 페레스아르헨티나
1952--N. 브룩스미국
1956--T. 스핑크스영국
1960--G. 퇴뢰크헝가리
1964--F. 아트초리이탈리아
1968F. 로드리게스베네수엘라R. 델가도멕시코
1972G. 게도헝가리G. 코스타디노프불가리아
1976J. 에르난데스쿠바L. 랜돌프미국
1980Sh. 사비로프소련P. 레소프불가리아
1984P. 곤잘레스미국S. 매크로리미국
1988I. 흐리스토프불가리아김광선한국
1992R. 마르셀로쿠바최철수북한
1996D. 보질로프불가리아M. 로메로쿠바
2000B. 아슬룸프랑스W. 폰리드타이
2004Y. 바르텔레비쿠바Y. 감보아쿠바
연도밴텀급(54kg)페더급(57kg)
1904O. 커크미국O. 커크미국
1908H. 토머스영국R. 건영국
1920C. 워커남아프리카공화국P. 프리치프랑스
1924W. 스미스남아프리카공화국J. 필즈미국
1928V. 타마니니이탈리아L. 반 클레베렌네덜란드
1932H. 그윈캐나다C. 로블레도아르헨티나
1936U. 세르고이탈리아G. 카소노바스아르헨티나
1948T. 치크헝가리E. 포르멘티이탈리아
1952P. 헤멜레이넨핀란드J. 자하라체코슬로바키아
1956W. 베렌트독일 각주52) V. 사프로노프소련
1960O. 그리고리예프소련F. 무소이탈리아
1964사쿠라이 T.일본S. 스테파슈킨소련
1968V. 소콜로프소련A. 롤단멕시코
1972O. 마르티네스쿠바B. 쿠즈네초프소련
1976Y. J. 구북한A. 에레라쿠바
1980J. 에르난데스쿠바R. 핑크동독
1984M. 스테카이탈리아M. 테일러미국
1988K. 매키니미국G. 파리시이탈리아
1992J. 카사마요르쿠바A. 테브스독일
1996I. 코바치헝가리S. 캄싱타이
2000G. 리곤데아욱스 오르티스쿠바B. 사타르하노프카자흐스탄
2004G. 리곤데아욱스 오르티스쿠바A. 티시첸코러시아
연도라이트급(60kg)라이트웰터급(63.5kg:2004년 64kg) 각주53)
1904H. 스팽어미국--
1908F. 그레이스영국--
1920S. 모즈버그미국--
1924H. 닐센덴마크--
1928C. 오를란디이탈리아--
1932L. 스티븐스남아프리카공화국--
1936I. 호론기헝가리--
1948G. 드라이어남아프리카공화국--
1952A. 볼로녜시이탈리아C. 애드킨스미국
1956R. 맥태거트영국V. 엥기바랸소련
1960K. 파즈지오르폴란드B. 네메체크체코슬로바키아
1964G. 그루지엔폴란드J. 쿨레이폴란드
1968R. 해리스미국J. 쿨레이폴란드
1972J. 슈체판스키폴란드R. 실스미국
1976H. 데이비스미국R. 레너드미국
1980A. 에레라쿠바P. 올리바이탈리아
1984P. 휘터커미국J. 페이지미국
1988A. 추엘로브동독V. 야노프스키소련
1992O. 드 라 호야미국H. 비넨트쿠바
1996H. 솔타니알제리H. 비넨트쿠바
2000M. 킨델란쿠바M. 압둘라예프우즈베키스탄
2004M. 킨델란쿠바M. 부늄농타이
연도웰터급(67kg)라이트미들급(71kg)
1904A. 영미국--
1920T. 슈나이더캐나다--
1924J. 들라르주벨기에--
1928E. 모건뉴질랜드--
1932E. 플린미국--
1936S. 수비오핀란드--
1948J. 토르마체코슬로바키아--
1952Z. 히흘라폴란드L. 포프헝가리
1956N. 린카루마니아L. 포프헝가리
1960G. 벤베누티이탈리아W. 매클루미국
1964M. 카스프지크폴란드B. 라구틴소련
1968M. 볼케동독B. 라구틴소련
1972E. 코레아쿠바D. 코티슈서독
1976J. 바흐펠트동독J. 리피츠키폴란드
1980A. 알다마쿠바A. 마르티네스쿠바
1984M. 브렐런드미국F. 테이트미국
1988R. 왕길라케냐박시헌한국
1992M. 커러스아일랜드J. 레무스쿠바
1996O. 사이토프러시아연방D. 리드미국
2000O. 사이토프러시아Y. 이브라이모프카자흐스탄
연도웰터급(69kg)
2004B. 아르타예프카자흐스탄
연도미들급(75kg)라이트헤비급(81kg)
1904C. 메이어미국--
1908J. 더글러스영국--
1920H. 맬린영국E. 이건미국
1924H. 맬린영국H. 미첼영국
1928P. 토스카니이탈리아V. 아벤다노아르헨티나
1932C. 바스미국D. 카스턴스남아프리카공화국
1936J. 데포프랑스R. 미셸로프랑스
1948L. 포프헝가리G. 헌티남아프리카공화국
1952F. 패터슨미국N. 리미국
1956G. 샤트코프소련J. 보이드미국
1960E. 크룩미국C. 클레이미국
1964V. 포펜첸코소련C. 핀토이탈리아
1968C. 피네건영국D. 포즈니아크소련
1972V. 레메셰프소련M. 파를로브유고슬라비아
1976M. 스핑크스미국L. 스핑크스미국
1980J. 고메스쿠바S. 카차르유고슬라비아
1984신준섭한국A. 요시포비츠유고슬라비아
1988H. 마스케동독A. 메이너드미국
1992A. 에르난데스쿠바T. 마이독일
1996A. 에르난데스쿠바V. 지로프카자흐스탄
2000J. 구티에레스쿠바A. 레프지아크러시아
2004G. 가이다르베코프러시아A. 와드미국
연도헤비급(81kg 이상:1984년 이후 91kg)슈퍼헤비급(91kg 이상)
1904S. 버거미국--
1908A. 올드먼영국--
1920R. 로슨영국--
1924O. 본 포라트노르웨이--
1928R. 후라도아르헨티나--
1932A. 로베이아르헨티나--
1936H. 룽게독일--
1948R. 이글레시아스아르헨티나--
1952E. 샌더스미국--
1956P. 라더마커미국--
1960F. 데 피콜리이탈리아--
1964J. 프레이저미국--
1968G. 포먼미국--
1972T. 스티븐슨쿠바--
1976T. 스티븐슨쿠바--
1980T. 스티븐슨쿠바--
1984H. 틸먼미국T. 빅스미국
1988R. 머서미국L. 루이스캐나다
1992F. 사본쿠바R. 발라도쿠바
1996F. 사본쿠바V. 클리츠코우크라이나
2000F. 사본쿠바A. 해리슨영국
2004O. 솔리스 폰테쿠바A. 포베트킨러시아
올림픽 대회 복싱 (남자) 우승 (1904~2004)
연도 라이트플라이급(48kg) 플라이급(51kg)
2008 쉬밍 Z. 중국 S. 종조호르 타이
연도 라이트플라이급(49kg) 플라이급(52kg)
2012 쉬밍 Z. 중국 R. 라미레즈 쿠바
2016 H. 두스마토브 우즈베키스탄 S. 조이로브 우즈베키스탄
연도 벤텀급(54kg) 페더급(57kg)
2008 B. 엔크바트 몽골 V. 로마첸코 우크라이나
2012 - - - -
2016 - - - -
연도 페더급(56kg) 라이트급(60kg)
2008 - - A. 티쉬첸코 러시아
2012 L. 캠프벨 영국 V. 로마첸코 우크라이나
2016 R. 라미레즈 쿠바 R. 콘체이카오 브라질
연도 라이트웰터급(64kg) 웰터급(69kg)
2008 F. 디아즈 도미니카 공화국 B. 사르세크바예브 카자흐스탄
2012 R. 이글레시아스 소토롱고 쿠바 S. 사피예브 카자흐스탄
2016 F. 가이브나자로브 우즈베키스탄 D. 옐레우시노브 카자흐스탄
연도 미들급(75kg) 라이트헤비급(81kg)
2008 J. 드게일 영국 샤오핑 Z. 중국
2012 료타 M. 일본 E. 메콘트체브 러시아
2016 A. 로페즈 쿠바 J. 크루즈 쿠바
연도 헤비급(91kg) 슈퍼헤비급(91kg 이상)
2008 R. 차크키에브 러시아 R. 카마렐레 이탈리아
2012 O. 우시크 우크라이나 A. 조슈아 영국
2016 E. 티쉬첸코 러시아 T. 요카 프랑스
올림픽 대회 복싱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플라이급(51kg) 라이트급(60kg)
2012 N. 아담스 영국 K. 테일러 아일랜드
2016 N. 아담스 영국 E. 모슬리 프랑스
연도 미들급(75kg) -
2012 C. 쉴즈 미국 -
2016 C. 쉴즈 미국 -
올림픽 대회 복싱 (여성) 우승
연도남자여자
1996미국브라질
2000미국오스트레일리아
2004브라질미국
2008미국미국
2012독일미국
2016브라질독일
올림픽 대회 비치발리볼 우승
남자
연도 트랩 사격(오픈) 스키트 사격(오픈)
1900W. 유잉캐나다--
1908W. 유잉캐나다--
1912J. 그레이엄미국--
1920M. 애리미국--
1924G. 홀로시헝가리--
1952G. 제네뢰캐나다--
1956G. 로시니이탈리아--
1960I. 두미트레스쿠루마니아--
1964E. 마타렐리이탈리아--
1968J. 브레이스웨이트영국E. 페트로프소련
1972A. 스칼초네이탈리아K. 비른히어서독
1976D. 홀더먼미국J. 파나체크체코슬로바키아
1980L. 조반네티이탈리아H. 라스무센덴마크
1984L. 조반네티이탈리아M. 드라이크미국
1988D. 모나코프소련A. 베그너동독
1992P. 흐르들리츠카체코슬로바키아S. 장중국
1996M. 다이아몬드오스트레일리아E. 팔코이탈리아
2000M. 다이아몬드오스트레일리아M. 밀체프우크라이나
2004A. 알리포프러시아A. 베넬리이탈리아
연도 자유권총 속사권총
1936T. 울만스웨덴--
1948E. 바스케스 캄페루K. 토카치헝가리
1952H. 베너미국K. 토카치헝가리
1956P. 린노스부오핀란드S. 페트레스쿠루마니아
1960A. 구시친소련T. 맥밀런미국
1964V. 마르카넨핀란드P. 린노스보우프핀란드
1968G. 코시흐소련J. 자페츠키폴란드
1972R. 스카나케르스웨덴J. 자페츠키폴란드
1976U. 포테크동독N. 클라어동독
1980A. 멜렌테프소련C. 이온루마니아
1984H. 쉬중국가마치 T.일본
1988S. 바비루마니아A. 코우즈미네소련
1992K. 로우카치크독립국가연합 각주54) R. 슈만독일
1996B. 코코레프러시아연방R. 슈만독일
2000T. 키리야코프불가리아S. 알리피렌코러시아
2004M. 네스트루예프러시아R. 슈만독일
연도 소구경 복사 소구경 3자세
1900A. 카넬영국--
1908A. 카넬영국--
1912F. 허드미국--
1920L. 네즐렌미국--
1924C. 코켈랭 드 리즐프랑스--
1932B.뢴마르크스웨덴--
1936W. 뢰게베르노르웨이--
1948A. 콕미국--
1952I. 사르부루마니아E. 콩스호이그노르웨이
1956G. 켈레트캐나다A. 보그다노프소련
1960P. 콘케독일 각주55) V. 샴부르킨소련
1964L. 호메를헝가리L. 위거미국
1968J. 쿠르카체코슬로바키아B. 클링거서독
1972이호준북한J. 라이터미국
1976K. 스미스체크서독L. 비삼미국
1980K. 보르고헝가리V. 블라소프소련
1984E. 에첼미국M. 쿠퍼영국
1988M. 바르가체코슬로바키아M. 쿠퍼영국
1992이은철한국G. 페티키아네독립국가연합 각주56)
1996C. 클레스독일J.-P. 아마프랑스
2000J. 에드만스웨덴R. 데베베크슬로베니아
2004M. 에먼스미국지아잔보중국
연도 러닝 타겟 경기 공기총
1900L. 드브레프랑스--
1972L. 젤레즈니아크소련--
1976A. 가조프소련--
1980I. 소콜로프소련--
1984Y. 리중국P. 에베를프랑스
1988T. 헤이에스타노르웨이G. 막시모비츠유고슬라비아
1992M. 야코지츠독일Y. 페트킨독립국가연합 각주57)
1996양링중국A. 하드지베코프러시아연방
2000양링중국카이얄린중국
2004M. 쿠르저독일주키난중국
연도 더블트랩 공기소총
1988--T. 키리아코프불가리아
1992--Y. 왕중국
1996R. 마크오스트레일리아R. D. 도나이탈리아
2000R. 파울스영국F. 두물린프랑스
2004A. 알마크토움아랍에미리트왕이푸중국
여자
연도 스포츠 권총 소구경 3자세
1984L. 톰캐나다X. 후중국
1988N. 살로우크바제소련S. 슈페르버서독
1992M. 로그비넨코독립국가연합 각주58) L. 메일리미국
1996D. 리중국A. 이보세프유고슬라비아
2000M. 그로츠데바불가리아R. 마우에르-로잔스카폴란드
2004M. 그로츠데바불가리아L. 갈키나러시아
연도 공기총 공기소총
1984P. 스퍼진미국--
1988I. 칠로바소련J. 세카리츠유고슬라비아
1992여갑순한국M. 로그비넨코독립국가연합 각주59)
1996R. 마우어폴란드O. 클로치네바러시아연방
2000N. 존슨미국타오루나중국
2004두리중국O. 코스테비치우크라이나
연도 더블트랩 
1996K. 로드미국 
2000P. 한센스웨덴
2004K. 로드미국
올림픽 대회 사격 우승 (1900~2004)
연도 트랩 사격(오픈) 스키트 사격(오픈)
2008 D. 코스텔렉키 체코 V. 핸콕 미국
2012 - - - -
2016 J. 글라스노빅 크로아티아 G. 로제티 이탈리아
연도 자유권총 속사권총
2008 진종오 한국 O. 페트리브 우크라이나
2012 진종오 한국 - -
2016 진종오 한국 C. 리츠 독일
연도 소구경 복사 소구경 3자세
2008 A. 아이바지안 우크라이나 지안 Q. 중국
2012 - - - -
2016 H. 정하에넬 독일 N. 캄프리아니 이탈리아
연도 공기총 더블트랩
2008 A. 빈드라 인도 W. 엘러 미국
2012 - - - -
2016 N. 캄프리아니 이탈리아 F. 알디하니 올림픽 독립 선수단
연도 공기소총 -
2008 웨이 P. 중국 - -
2012 진종오 한국 - -
2016 X. 호앙 베트남 - -
올림픽 대회 사격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트랩 사격(오픈) 스키트 사격(오픈)
2008 S. 마켈라 누멜라 핀란드 C. 카이네로 이탈리아
2012 - - K. 로드 미국
2016 C. 스키너 호주 D. 바코시 이탈리아
연도 스포츠 권총 소구경 3자세
2008 양 C. 중국 리 D. 중국
2012 김장미 한국 J. 그레이 미국
2016 A. 코라카키 그리스 B. 잉그레더 독일
연도 공기총 공기소총
2008 K. 에몬스 체코 웬준 G. 중국
2012 - - - -
2016 V. 트라셔 미국 밍수에 Z. 중국
올림픽 대회 사격 (여자) 우승
남자
연도 1,000m 스프린트
1900G. 텔랑디에프랑스
1920M. 페테르스네덜란드
1924L. 미샤르프랑스
1928R. 보프랑프랑스
1932J. 반 에그몬트네덜란드
1936T. 메르켄스독일
1948M. 겔라이탈리아
1952E. 사키이탈리아
1956M. 루소프랑스
1960S. 가이아르도니이탈리아
1964G. 페테넬라이탈리아
1968D. 모렐롱프랑스
1972D. 모렐롱프랑스
1976A. 트카츠체코슬로바키아
1980L. 헤슬리히동독
1984M. 고스키미국
1988L. 헤슬리히동독
1992J. 피들러독일
1996J. 피들러독일
2000M. 노스스테인미국
2004R. 베이레이오스트레일리아
연도 1,000m 타임트라이얼 기록(분:초)
1928W. 팔크 한센덴마크 1:14.4
1932E. 그레이오스트레일리아 1:13.0
1936A. 반 블리트네덜란드 1:12.0
1948J. 뒤퐁프랑스 1:13.5
1952R. 모크리지오스트레일리아 1:11.1
1956L. 파긴이탈리아 1:09.8
1960S. 가이아르도니이탈리아 1:07.27
1964P. 세르쿠벨기에 1:09.59
1968P. 트랑탱프랑스 1:03.91
1972N. 프레드보르그덴마크 1:06.44
1976K. J. 그륀케동독 1:05.927
1980L. 톰스동독 1:02.955
1984F. 슈미트케서독 1:06.104
1988A. 키르첸코소련 1:04.499
1992J. 모레노스페인 1:03.342
1996F. 루소프랑스 1:02.712
2000J. 퀼리영국1:01.609
2004C. 호이영국1:00.711 각주60)
연도 4,000m 개인추발 4,000m 단체추발
1920-- 이탈리아
1924-- 이탈리아
1928-- 이탈리아
1932-- 이탈리아
1936-- 프랑스
1948-- 프랑스
1952-- 이탈리아
1956-- 이탈리아
1960-- 이탈리아
1964J. 달레르체코슬로바키아 독일 각주61)
1968D. 레비야르프랑스 덴마크
1972K. 크누드센노르웨이 서독
1976G. 브라운서독 서독
1980R. 딜 본디스위스 소련
1984S. 헤그미국 오스트레일리아
1988G. 우마라스소련 소련
1992C. 보드먼영국 독일
1996A. 콜리넬리이탈리아 프랑스
2000R. 바르트코독일 독일
2004B. 위긴스영국오스트레일리아
연도크로스컨트리 기록(시:분:초)
1996B. 브렌트옌스네덜란드 2:17:38
연도 도로경기(개인) 각주62) 기록(시:분:초)
1896A. 콘스탄티니디스그리스 3:22:31.0
1912R. 루이스남아프리카공화국 10:42:39.0
1920H. 스텐크비스트스웨덴 4:40:01.8
1924A. 블랑쇼네프랑스 6:20:48.0
1928H. 한센덴마크 4:47:18.0
1932A. 파베시이탈리아 2:28:05.6
1936R. 샤르팡티에프랑스 2:33:05.0
1948J. 베야에르프랑스 5:18:12.6
1952A. 노옐레벨기에 5:06:03.4
1956E. 발디니이탈리아 5:21:17.0
1960V. 카피토노프소련 4:20:37.0
1964M. 자닌이탈리아 4:39:51.63
1968P. 비아넬리이탈리아 4:41:25.24
1972H. 코이페르네덜란드 4:14:37.0
1976B. 요한손스웨덴 4:46:52.0
1980S. 수호르첸코프소련 4:48:28.90
1984A. 그루얼미국 4:59:57.0
1988O. 루트비히동독 4:32:22.0
1992F. 카사르텔리이탈리아 4:35:21.0
1996P. 리하르트스위스 4:53:56.0
2000J. 울리흐독일5:29:08.0
2004P. 베티니이탈리아5:41:44.0
연도 100km(단체 타임트라이얼) 각주63) 기록(시:분:초)
1960이탈리아2:14:33.53
1964네덜란드2:26:31.19
1968네덜란드2:07:49.06
1972소련2:11:17.8
1976소련2:08:53.00
1980소련2:01:21.70
1984이탈리아1:58:28.00
1988동독1:57:47.70
1992독일2:01:39.00
연도 도로타임트라이얼(개인) 기록(시:분:초)
1996M. 인두라인스페인 1:04:05
2000V. 예키모프러시아 
2004T. 해밀턴미국 
연도 포인트레이스
1984R. 일레겜스벨기에
1988D. 프로스트덴마크
1992G. 롬바르디이탈리아
1996S. 마르티넬로이탈리아
2000J. 야네라스스페인
2004M. 이그나트예프러시아
여자
연도 도로경기(개인) 기록(시:분:초)
1984C. 카펜터 피니미국 2:11:14.0
1988M. 크놀네덜란드 2:00:52.0
1992K. 와트오스트레일리아 2:04:42.0
1996J. 롱고 시프렐리프랑스 2:36:13.0
2000L. 제이라트 반 모르셀네덜란드 3:06:31.0
2004S. 캐리건오스트레일리아 3:24:24
연도 포인트레이스
1996N. 랑시앵프랑스
2000A. 벨루티이탈리아
2004O. 실류사레바러시아
연도 크로스컨트리 기록(시:분:초)
1996P. 페초이탈리아 1:50:51
연도 도로타임트라이얼(개인) 기록(분:초)
1996Z. 줄피야러시아연방 36:40
2000L. 제이라트 반 모르셀네덜란드 42:00.781
2004L. 제이라트 반 모르셀네덜란드 31:11.53
연도 1,000m 스프린트 3,000m 개인추발
1988E. 살루메소련--
1992E. 살루메에스토니아P. 로스터독일
1996F. 발랑저프랑스A. 벨루티이탈리아
2000F. 발랑저프랑스L. 제이라트 반 모르셀네덜란드
2004L. 무엔저캐나다S. 울머뉴질랜드
올림픽 대회 사이클 우승 (1900~2004)
연도 개인
2008 M. 스트롬벅스 라트비아
2012 M. 스트롬벅스 라트비아
2016 C. 필즈 미국
올림픽 대회 사이클 BMX (남자) 우승
연도 크로스컨트리 기록(시:분:초)
2008 J. 압살론 프랑스 1:55:59
2012 J. 쿨라비 체코 1:29:07
2016 N. 스쿠터 스위스 1:33:28
올림픽 대회 사이클 산악 자전거 (남자) 우승
연도 개인 기록(시:분:초)
2008 S. 산체스 곤잘레스 에스파냐 6:23:49
2012 A. 비노쿠로브 카자흐스탄 5:45:57
2016 G. 반 아버마에트 벨기에 6:10:05
연도 개인 타임트라이얼 기록(시:분:초)
2008 F. 칸첼라라 스위스 02:11.4
2012 B. 위긴스 영국 50:39.5
2016 F. 칸첼라라 스위스 12:15.4
올림픽 대회 도로 사이클 (남자) 우승
연도 개인추발 단체추발
2008 B. 위긴스 영국 영국
2012 - - 영국
2016 - - 영국
연도 매디슨 경륜
2008 아르헨티나   C. 호이
2012 - - C. 호이
2016 - - J. 케니
연도 1000m 스프린트 단체
2008 C. 호이 영국 영국
2012 J. 케니 영국 영국
2016 J. 케니 영국 영국
연도 포인트레이스 옴니엄
2008 J. 라네라스 스페인 -
2012 - - L. 한센
2016 - - E. 비비아니
올림픽 대회 사이클 트랙 (남자) 우승
연도 개인
2008 A. 샤우송 프랑스
2012 M. 파존 콜롬비아
2016 M. 파존 콜롬비아
올림픽 대회 사이클 BMX (여자) 우승
연도 크로스컨트리 기록(시:분:초)
2008 S. 스피츠 독일 1:45:11
2012 J. 브레셋 프랑스 1:30:52
2016 J. 리스베즈 스웨덴 1:30:15
올림픽 대회 사이클 산악 자전거 (여자) 우승
연도 개인 기록(시:분:초)
2008 N. 쿠케 영국 3:32:24
2012 M. 보스 네덜란드 3:35:29
2016 A. 반 더 브레겐 네덜란드 3:51:27
연도 개인 타임트라이얼 기록(분:초)
2008 K. 암스트롱 미국 34:51.7
2012 K. 암스트롱 미국 37:34.8
2016 K. 암스트롱 미국 44:26.4
올림픽 대회 도로 사이클 (여자) 우승
연도 개인추발 단체추발
2008 R. 로메로 영국 -
2012 - - 영국
2016 - - 영국
연도 1000m 스프린트 단체 스프린트
2008 - - -
2012 - - 독일
2016 K. 보겔 독일 중국
연도 경륜 포인트레이스
2008 - - M. 보스 네덜란드
2012 V. 펜드레톤 영국- - -
2016 E. 리그틀리 네덜란드 - -
연도 옴니엄 -
2008 - - -
2012 L. 트로트 영국 -
2016 L. 트로트 영국 -
올림픽 대회 사이클 트랙 (여자) 우승
연도 남자 여자
1900영국 -
1904미국 -
1908영국 -
1912영국 -
1920영국 -
1924프랑스 -
1928독일 -
1932헝가리 -
1936헝가리 -
1948이탈리아 -
1952헝가리 -
1956헝가리 -
1960이탈리아 -
1964헝가리 -
1968유고슬라비아 -
1972소련 -
1976헝가리 -
1980소련 -
1984유고슬라비아 -
1988유고슬라비아 -
1992이탈리아 -
1996스페인 -
2000헝가리 오스트레일리아
2004헝가리 이탈리아
2008헝가리 네덜란드
2012크로아티아 미국
2016세르비아 미국
올림픽 대회 수구 우승
남자
연도 50m 자유형기록(초)
1988M. 비욘디미국22.14
1992A. 포포프독립국가연합 각주64) 21.91
1996A. 포포프러시아연방22.13
2000A. 어빈, G. 홀미국 각주65) 21.98
2004G. 홀미국21.93
연도 100m 자유형기록(분:초)
1896A. 호조슈헝가리1:22.2
1904Z. 홀모이헝가리1:02.8 각주66)
1908C. 다니엘스미국1:05.6
1912D. 카하나모쿠미국1:03.4
1920D. 카하나모쿠미국1:00.4
1924J. 헤이스물러미국59.0
1928J. 헤이스물러미국58.6
1932미야자키 Y.일본58.2
1936F. 치크헝가리57.6
1948W. 리스미국57.3
1952C. 스콜스미국57.4
1956J. 헨릭스오스트레일리아55.4
1960J. 데비트오스트레일리아55.2
1964D. 숄랜더미국53.4
1968M. 웬던오스트레일리아52.2
1972M. 스피츠미국51.22 각주67)
1976J. 몽고메리미국49.99
1980J. 보이테동독50.40
1984A. 게인스미국49.80
1988M. 비욘디미국48.63
1992A. 포포프독립국가연합 각주68) 49.02
1996A. 포포프러시아연방48.74
2000P. 반 덴 호헨반트네덜란드48.30
2004P. 반 덴 호헨반트네덜란드48.17
연도 200m 자유형기록(분:초)
1900F. 레인오스트레일리아2:25.2
1904C. 다니엘스미국2:44.2 각주69)
1968M. 웬던오스트레일리아1:55.2
1972M. 스피츠미국1:52.78 각주70)
1976B. 퍼니스미국1:50.29
1980S. 코플리아코프소련1:49.81
1984M. 그로스서독1:47.44
1988D. 암스트롱오스트레일리아1:47.25
1992Ye. 사도비독립국가연합 각주71) 1:46.70
1996D. 로더뉴질랜드1:47.63
2000P. 반 덴 호헨반트네덜란드1:45.35
2004I. 소프오스트레일리아1:44.71
연도 400m 자유형기록(분:초)
1904C. 다니엘스미국6:16.2 각주72)
1908H. 테일러영국5:36.8
1912G. 호지슨캐나다5:24.4
1920N. 로스미국5:26.8
1924J. 웨이스물러미국5:04.2
1928A. 소리야아르헨티나5:01.6
1932C. 크래브미국4:48.4
1936J. 메디카미국4:44.5
1948W. 스미스미국4:41.0
1952J. 부아퇴프랑스4:30.7
1956M. 로즈오스트레일리아4:27.3
1960M. 로즈오스트레일리아4:18.3
1964D. 숄랜더미국4:12.2
1968M. 버턴미국4:09.0
1972B. 쿠퍼오스트레일리아4:00.27 각주73)
1976B. 구델미국3:51.93
1980V. 살니코프소련3:51.31
1984G. 디칼로미국3:51.23
1988U. 다슬러동독3:46.95
1992Ye. 사도비독립국가연합 각주74) 3:45.00
1996D. 로더뉴질랜드3:47.97
2000I. 소프오스트레일리아3:40.59
2004I. 소프오스트레일리아3:43.10
연도1,500m 자유형기록(분:초)
1904E. 라우슈독일27:18.2 각주75)
1908H. 테일러영국22:48.4
1912G. 호지슨캐나다22:00.0
1920N. 로스미국22:23.2
1924A. 샬턴오스트레일리아20:06.6
1928A. 보리스웨덴19:51.8
1932기타무라 K.일본19:12.4
1936데라다 N.일본19:13.7
1948J. 매클레인미국19:18.5
1952F. 코노미국18:30.0
1956M. 로즈오스트레일리아17:58.9
1960J. 콘래즈오스트레일리아17:19.6
1964R. 윈들로오스트레일리아17:01.7
1968M. 버턴미국16:38.9
1972M. 버턴미국15:52.58 각주76)
1976B. 구델미국15:02.40
1980V. 살니코프소련14:58.27
1984M. 오브라이언미국15:05.20
1988V. 살니코프소련15:00.40
1992K. 퍼킨스오스트레일리아14:43.48
1996K. 퍼킨스오스트레일리아14:56.40
2000G. 해켓오스트레일리아14:48.33
2004G. 해켓오스트레일리아14:43.40
연도 100m 접영기록(초)
1968D. 러셀미국55.9
1972M. 스피츠미국54.27 각주77)
1976M. 보걸미국54.35
1980P. 아르비드손스웨덴54.92
1984M. 그로스서독53.08
1988A. 네스티수리남53.00
1992P. 모랄레스미국53.32
1996D. 로더뉴질랜드3:47.97
2000L. 프뢸란데르스웨덴52.00
2004M. 펠프스미국51.25
연도 200m 접영기록(분:초)
1956W. 요지크미국2:19.3
1960M. 트로이미국2:12.8
1964K. 베리오스트레일리아2:06.6
1968C. 로비미국2:08.7
1972M. 스피츠미국2:00.70 각주78)
1976M. 브루너미국1:59.23
1980S. 페센코소련1:59.76
1984J. 시벤오스트레일리아1:57.04
1988M. 그로스서독1:56.94
1992M. 스튜어트미국1:56.26
1996D. 판크라토프러시아연방1:56.51
2000T. 맬초미국1:55.35
2004M. 펠프스미국1:54.04
연도100m 배영기록(분:초)
1904W. 브라크독일1:16.8 각주79)
1908A. 비버슈타인독일1:24.6
1912H. 호브너미국1:21.2
1920W. 키알로하미국1:15.2
1924W. 키알로하미국1:13.2
1928G. 코작미국1:08.2
1932기요카와 M.일본1:08.6
1936A. 키퍼미국1:05.9
1948A. 스택미국1:06.4
1952오야카와 Y.일본1:05.4
1956D. 타일오스트레일리아1:02.2
1960D. 타일오스트레일리아1:01.9
1968R. 마테스동독58.7
1972R. 마테스동독56.58 각주80)
1976J. 네이버미국55.49
1980B. 바론스웨덴56.53
1984R. 케어리미국55.79
1988스즈키 D.일본55.05
1992M. 툭스베리캐나다53.98
1996J. 루스미국54.10
2000L. 크레이젤버그미국53.72
2004A. 페어솔미국54.06
연도200m 배영기록(분:초)
1900E. 호펜베르크독일2:47.0
1964J. 그래프미국2:10.3
1968R. 마테스동독2:09.6
1972R. 마테스동독2:02.82 각주81)
1976J. 네이버미국1:59.19
1980S. 블로도르헝가리2:01.93
1984R. 캐어리미국2:00.23
1988I. 폴랸스키소련1:59.37
1992M. 로페스 수베로스페인1:58.47
1996B. 브리지워터미국1:58.54
2000L. 크레이젤버그미국1:56.76
2004A. 페어솔미국1:54.95
100m 평영기록(분:초)
1968D. 매켄지미국1:07.7
1972다구시 N.일본1:04.94 각주82)
1976J. 헹컨미국1:03.11
1980D. 굿휴영국1:03.34
1984S. 런드퀴스트미국1:01.65
1988A. 무어하우스영국1:02.04
1992N. 디벨미국1:01.50
1996F. 데부르그그라베벨기에1:00.65
2000D. 피오라반티이탈리아1:00.46
2004기타지마 고스케일본1:00.08
연도200m 평영기록(분:초)
1908F. 홀먼영국3:09.2
1912W. 바테독일3:01.8
1920H. 말름로트스웨덴3:04.4
1924R. 스켈턴미국2:56.6
1928쓰루타 Y.일본2:48.8
1932쓰루타 Y.일본2:45.4
1936하무로 T.일본2:42.5
1948J. 버더미국2:39.3
1952J. 데이비스오스트레일리아2:34.4
1956후루카와 M.일본2:34.7
1960W. 멀리컨미국2:37.4
1964I. 오브라이언오스트레일리아2:27.8
1968F. 무뇨스멕시코2:28.7
1972J. 헹컨미국2:21.55 각주83)
1976D. 윌키영국2:15.11
1980R. 줄파소련2:15.85
1984V. 데이비스캐나다2:13.34
1988J. 소보헝가리2:13.52
1992M. 배로먼미국2:10.16
1996N. 로자헝가리2:12.57
2000D. 피오라반티이탈리아2:10.87
2004기타지마 고스케일본2:09.44
연도200m 개인혼영 각주84) 기록(분:초)
1968C. 히콕스미국2:12.0
1972G. 라르손스웨덴2:07.17 각주85)
1984A. 보먼캐나다2:01.42
1988T. 도르니헝가리2:00.17
1992T. 도르니헝가리2:00.76
1996A. 첸헝가리1:59.91
2000M. 로솔리노이탈리아1:58.98
2004M. 펠프스미국1:57.14
연도400m 개인혼영기록(분:초)
1964R. 로스미국4:45.4
1968C. 히콕스미국4:48.4
1972G. 라르손스웨덴4:31.98 각주86)
1976R. 스트론미국4:23.68
1980A. 시도렌코소련4:22.89
1984A. 보먼캐나다4:17.41
1988T. 도르니헝가리4:14.75
1992T. 도르니헝가리4:14.23
1996T. 돌란미국4:14.90
2000T. 돌란미국4:11.76
2004펠프스미국4:08.26
연도400m 혼계영 기록(분:초)
1960 미국4:05.4
1964 미국3:58.4
1968 미국3:54.9
1972 미국3:48.16 각주87)
1976 미국3:42.22
1980 오스트레일리아3:45.70
1984 미국3:39.30
1988 미국3:36.93
1992 미국3:36.93
1996 미국3:34.84
2000 미국3:33.73
2004 미국3:30.68
연도400m 자유형계영 각주88) 기록(분:초)
1964 미국3:33.2
1968 미국3:31.7
1972 미국3:26.42 각주89)
1984 미국3:19.03
1988 미국3:16.53
1992 미국3:16.74
1996 미국3:15.41
2000 오스트레일리아3:13.67
2004 남아프리카공화국3:13.17
연도800m 자유형계영기록(분:초)
1908 영국10:55.6
1912 오스트레일리아10:11.2
1920 미국10:04.4
1924 미국9:53.4
1928 미국9:36.2
1932 일본8:58.4
1936 일본8:51.5
1948 미국8:46.0
1952 미국8:31.1
1956 오스트레일리아8:23.6
1960 미국8:10.2
1964 미국7:52.1
1968 미국7:52.3
1972 미국7:35.78 각주90)
1976 미국7:23.22
1980 소련7:23.50
1984 미국7:15.69
1988 미국7:12.51
1992 독립국가연합 각주91) 7:11.95
1996 미국7:14.84
2000 오스트레일리아7:07.05
2004 미국7:07.33
여자
연도50m 자유형기록(초)
1988K. 오토동독25.49
1992W. 양중국24.79
1996A.V. 다이켄미국24.87
2000I. 드 브루에인네덜란드24.32
2004I. 드 브루에인네덜란드24.58
연도100m 자유형기록(분:초)
1912F. 더랙오스트레일리아1:22.2
1920E. 블라이브트레이미국1:13.6
1924E. 래키미국1:12.4
1928A. 오시포위치미국1:11.0
1932H. 매디슨미국1:06.8
1936H. 마스텐브루크네덜란드1:05.9
1948G. 안데르센덴마크1:06.3
1952K. 쇠케헝가리1:06.8
1956D. 프레이저오스트레일리아1:02.0
1960D. 프레이저오스트레일리아1:01.2
1964D. 프레이저오스트레일리아59.5
1968J. 헨미국1:00.0
1972S. 닐슨미국58.59 각주92)
1976K. 엔더동독55.65
1980B. 크라우제동독54.79
1984C. 스타인사이퍼 N. 호그셰드(동점)미국55.92
1988K. 오토동독54.93
1992Y. 좡중국54.64
1996J. 러중국54.50
2000I. 드 브루에인네덜란드53.83
2004J. 헨리오스트레일리아53.84
연도200m 자유형기록(분:초)
1968D. 메이어미국2:10.5
1972S. 굴드오스트레일리아2:03.56 각주93)
1976K. 엔더동독1:59.26
1980B. 크라우제동독1:58.33
1984M. 웨이트미국1:59.23
1988H. 프리드리히동독1:57.65
1992N. 헤이즐릿미국1:57.90
1996C. 폴코스타리카1:58.16
2000S. 오닐오스트레일리아1:58.24
2004C. 포테크루마니아1:58.03
연도400m 자유형기록(분:초)
1924M. 노렐리우스미국6:02.2
1928M. 노렐리우스미국5:42.8
1932H. 메디슨미국5:28.5
1936H. 마스텐브루크네덜란드5:26.4
1948A. 커티스미국5:17.8
1952V. 디엔게헝가리5:12.1
1956L. 크랩오스트레일리아4:54.6
1960C. 폰살차미국4:50.6
1964V. 덩컬미국4:43.3
1968D. 메이어미국4:31.8
1972S. 굴드오스트레일리아4:19.04 각주94)
1976P. 튀머동독4:09.89
1980I. 디르스동독4:08.76
1984T. 코언미국4:07.10
1988J. 에번스미국4:03.85
1992D. 하제독일4:07.18
1996M. 스미스아일랜드4:07.25
2000B. 베넷미국4:05.80
2004L. 마노두프랑스4:05.34
연도800m 자유형기록(분:초)
1968D. 메이어미국9:24.0
1972K. 로스해머미국8:53.68 각주95)
1976P. 튀머동독8:37.14
1980M. 포드오스트레일리아8:28.90
1984T. 코언미국8:24.95
1988J. 에번스미국8:20.20
1992J. 에번스미국8:25.52
1996B. 베넷미국8:27.89
2000B. 베넷미국8:19.67
2004시바타 아이일본8:24.54
연도100m 접영기록(분:초)
1956S. 만미국1:11.0
1960C. 슐러미국1:09.5
1964S. 스토너미국1:04.7
1968L. 매클레멘츠오스트레일리아1:05.5
1972아오키 M.일본1:03.34 각주96)
1976K. 엔더동독1:00.13
1980C. 메추크동독1:00.42
1984M. 미거미국59.26
1988K. 오토동독59.00
1992H. 첸훙중국58.62
1996A.V. 다이켄미국59.13
2000I. 드 브루에인네덜란드56.61
2004P. 토마스오스트레일리아57.72
연도200m 접영기록(분:초)
1968A. 코크네덜란드2:24.7
1972K. 모미국2:15.57 각주97)
1976A. 폴라크동독2:11.41
1980I. 가이슬러동독2:10.44
1984M. 미거미국2:06.90
1988K. 노르트동독2:09.51
1992S. 샌더스미국2:08.67
1996S. 오닐오스트레일리아2:07.76
2000M. 하이먼미국2:05.88
2004O. 영제이차크폴란드2:06.05
연도100m 배영기록(분:초)
1924S. 보어미국1:23.2
1928M. 브로운네덜란드1:22.0
1932E. 홈미국1:19.4
1936D. 센프네덜란드1:18.9
1948K. 하루프덴마크1:14.4
1952J. 해리슨남아프리카공화국1:14.3
1956J. 그린엄영국1:12.9
1960L. 버크미국1:09.3
1964C. 퍼거슨미국1:07.7
1968K. 홀미국1:06.2
1972M. 벨로트미국1:05.78 각주98)
1976U. 리히터동독1:01.83
1980R. 라이니슈동독1:00.86
1984T. 앤드루스미국1:02.55
1988K. 오토동독1:00.89
1992K. 에게르세기헝가리1:00.68
1996B. 밧스퍼드미국1:01.19
2000D. 모카누루마니아1:00.21
2004N. 커플린미국1:00.37
연도200m 배영기록(분:초)
1968L. 웟슨미국2:24.8
1972M. 벨로트미국2:19.19 각주99)
1976U. 리히터동독2:13.43
1980R. 라이니슈동독2:11.77
1984J. 데 로베르네덜란드2:12.38
1988K. 에게르세기헝가리2:09.29
1992K. 에게르세기헝가리2:07.06
1996K. 에게르세기헝가리2:07.83
2000D. 모카누루마니아2:08.16
2004K. 코벤트리짐바브웨2:09.19
연도100m 평영기록(분:초)
1968B. 볘도프유고슬라비아1:15.8
1972C. 카미국1:13.58 각주100)
1976H. 앙케동독1:11.16
1980U. 게베니거동독1:10.22
1984P. 반 스타베렌네덜란드1:09.88
1988T. 당갈라코바불가리아1:07.95
1992Y. 루드코프스카야독립국가연합 각주101) 1:08.00
1996P. 하인스남아프리카공화국1:07.73
2000M. 콴미국1:07.05
2004루오 쉐주안중국1:06.64
연도200m 평영기록(분:초)
1924L. 모턴영국3:33.2
1928H. 슈라더독일3:12.6
1932C. 데니스오스트레일리아3:06.3
1936마에하타 H.일본3:03.6
1948P. 반 블리트네덜란드2:57.2
1952E. 세케치헝가리2:51.7
1956U. 하페독일 각주102) 2:53.1
1960A. 론즈브러프영국2:49.5
1964G. 프로주멘슈치코바소련2:46.4
1968S. 위치먼미국2:44.4
1972B. 휫필드오스트레일리아2:41.71 각주103)
1976M. 코셰바야소련2:33.35
1980L. 카추시테소련2:29.54
1984A. 오턴브라이트캐나다2:30.38
1988S. 회르너동독2:26.71
1992이와사키 K.일본2:26.65
1996P. 하인스남아프리카공화국2:25.41
2000A. 코바츠헝가리2:24.35
2004A. 비어드미국2:23.37
연도200m 개인혼영 각주104) 기록(분:초)
1968C. 코브미국2:24.7
1972S. 굴드오스트레일리아2:23.07 각주105)
1984T. 콜킨스미국2:12.64
1988D. 훙거동독2:12.59
1992L. 린중국2:11.65
1996M. 스미스아일랜드2:13.93
2000Ya. 클로츠코바우크라이나2:10.68
2004Ya. 클로츠코바우크라이나2:11.14
연도400m 개인혼영기록(분:초)
1964D. 드 배로나미국5:18.7
1968C. 코브미국5:08.5
1972G. 닐오스트레일리아5:02.97 각주106)
1976U. 타우버동독4:42.77
1980P. 슈나이더동독4:36.29
1984T. 콜킨스미국4:39.24
1988J. 에번스미국4:37.76
1992K. 에게르세기헝가리4:36.54
1996M. 스미스아일랜드4:39.18
2000Ya. 클로츠코바우크라이나4:33.59
2004Ya. 클로츠코바우크라이나4:34.84
연도400m 혼계영기록(분:초)
1960 미국4:41.1
1964 미국4:33.9
1968 미국4:28.3
1972 미국4:20.75 각주107)
1976 동독4:07.95
1980 동독4:06.67
1984 미국4:08.34
1988 동독4:03.74
1992 미국4:02.54
1996 미국4:02.88
2000 미국3:58.30
2004 오스트레일리아3:57.32
연도 400m 자유형계영기록(분:초)
1912 영국5:52.8
1920 미국5:11.6
1924 미국4:58.8
1928 미국4:47.6
1932 미국4:38.0
1936 네덜란드4:36.0
1948 미국4:29.2
1952 헝가리4:24.4
1956 오스트레일리아4:17.1
1960 미국4:08.9
1964 미국4:03.8
1968 미국4:02.5
1972 미국3:55.19 각주108)
1976 미국3:44.82
1980 동독3:42.71
1984 미국3:43.43
1988 동독3:40.63
1992 미국3:39.46
1996 미국3:39.29
2000 미국3:36.61
2004 오스트레일리아3:35.94
연도 800m 자유형계영기록(분:초)
1996 미국7:59.87
2000 미국7:57.80
2004 미국7:53.42
연도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개인) 각주109)
1984T. 루이즈 미국
1988C. 왈도 캐나다
1992K. 밥 스프레이그 미국
 S. 프레셰트 각주110) 캐나다
연도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듀엣) 각주111)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
(단체)
1984미국-
1988캐나다-
1992미국-
1996- 미국
2000러시아 러시아
2004러시아 러시아
올림픽 대회 수영 우승 (1900~2004)
연도 50m 자유형 기록(초)
2008 C. 씨엘로 필호 브라질 21.3
2012 F. 마나우두 프랑스 21.34
2016 A. 얼빈 미국 21.4
연도 100m 자유형 기록(초)
2008 A. 버나드 프랑스 47.21
2012 - - -
2016 K. 카머스 호주 47.58
연도 2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M. 펠프스 미국 01:43.0
2012 - - -
2016 양 S. 중국 1.44.65
연도 4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박태환 한국 03:41.9
2012 - - -
2016 M. 호튼 호주 03:41.6
연도 1,5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O. 멜로울리 튀니지 14:40.8
2012 - - -
2016 G. 팔트리니에리 이탈리아 14:34.6
연도 100m 접영 기록(초)
2008 M. 펠프스 미국 50.58
2012 M. 펠프스 미국 51.21
2016 J. 스쿨링 싱가포르 50.39
연도 200m 접영 기록(분:초)
2008 M. 펠프스 미국 01:52.0
2012 - - -
2016 M. 펠프스 미국 1.53.36
연도 100m 배영 기록(초)
2008 A. 페어솔 미국 52.54
2012 M. 그레버스 미국 52.16
2016 R. 머피 미국 51.97
연도 200m 배영 기록(분:초)
2008 R. 록테 미국 01:53.9
2012 - - -
2016 R. 머피 미국 01:53.6
연도 100m 평영 기록(초)
2008 코스케 K. 일본 58.91
2012 - - -
2016 A. 피티 영국 57.13
연도 200m 평영 기록(분:초)
2008 코스케 K. 일본 02:07.6
2012 - - -
2016 D. 바란인 카자흐스탄 02:07.5
연도 200m 개인혼영 기록(분:초)
2008 M. 펠프스 미국 01:54.2
2012 - - -
2016 M. 펠프스 미국 01:54.7
연도 400m 개인혼영 기록(분:초)
2008 M. 펠프스 미국 04:03.8
2012 - - -
2016 코스케 H. 일본 04:06.0
연도 400m 혼계영 기록(분:초)
2008 미국 04:05.4
2012 - -
2016 미국 03:27.9
연도 400m 자유형계영 기록(분:초)
2008 미국 03:08.2
2012 프랑스 03:09.9
2016 미국 03:09.9
연도 800m 자유형계영 기록(분:초)
2008 미국 06:59.0
2012 미국 06:59.7
2016 미국 07:00.7
연도 10km 마라톤 기록(시:분:초)
2008 M. 반 더 웨이젠 네덜란드 51:51.6
2012 O. 멜로울리 튀니지 49:55.1
2016 - - -
올림픽 대회 수영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50m 자유형 기록(초)
2008 B. 스테펜 영국 24.06
2012 R. 크로모위드조조 네덜란드 24.05
2016 P. 블룸 덴마크 24.07
연도 100m 자유형 기록(초)
2008 B. 스테펜 영국 53.12
2012 - - -
2016 P. 올렉시악 캐나다 52.7
연도 2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F. 펠레그리니 이탈리아 01:54.8
2012 - - -
2016 K. 레덱키 미국 01:53.7
연도 4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R. 아들링톤 영국 04:03.2
2012 - - -
2016 K. 레덱키 미국 03:56.4
연도 800m 자유형 기록(분:초)
2008 R. 아들링톤 영국 08:14.1
2012 - - -
2016 K. 레덱키 미국 08:04.8
연도 100m 접영 기록(초)
2008 L. 트릭케트 호주 56.73
2012 D. 볼머 미국 55.98
2016 S. 스조스트롬 스웨덴 55.48
연도 200m 접영 기록(분:초)
2008 지제 L. 중국 02:04.2
2012 - - -
2016 M. 벨몬테 가르시아 스페인 02:04.9
연도 100m 배영 기록(초)
2008 N. 코플린 미국 58.96
2012 - - -
2016 K. 호스주 헝가리 58.45
연도 200m 배영 기록(분:초)
2008 K. 코벤트리 짐바브웨 02:05.2
2012 - - -
2016 M. 디라도 미국 02:06.0
연도 100m 평영 기록(분:초)
2008 L. 존스 호주 01:05.2
2012 R. 메이루타이테 리투아니아 01:05.5
2016 L. 킹 미국 01:04.9
연도 200m 평영 기록(분:초)
2008 R. 소니 미국 02:20.2
2012 R. 소니 미국 02:19.6
2016 리에 K. 일본 02:20.3
연도 200m 개인혼영 기록(분:초)
2008 S. 라이스 호주 02:08.4
2012 - - -
2016 K. 호스주 헝가리 02:06.6
연도 400m 개인혼영 기록(분:초)
2008 S. 라이스 호주 04:29.5
2012 시웬 Y. 중국 04:28.4
2016 K. 호스주 헝가리 04:26.4
연도 400m 혼계영 기록(분:초)
2008 호주 03:52.7
2012 - -
2016 미국 03:53.1
연도 400m 자유형계영 기록(분:초)
2008 네덜란드 03:33.8
2012 - -
2016 호주 03:30.7
연도 800m 자유형계영 기록(분:초)
2008 호주 07:44.3
2012 - -
2016 미국 07:43.0
연도 10km 마라톤 기록(시:분:초)
2008 L. 일첸코 러시아 59:27.7
2012 E. 리츠토브 헝가리 57:38.2
2016 - - -
연도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듀엣) 싱크로나이즈드스위밍(단체)
2008 러시아 러시아
2012 - -
2016 러시아 러시아
올림픽 대회 수영 (여자) 우승
연도 그랑프리(고등마술) 개인그랑프리(고등마술) 단체
1900C. 하게만벨기에-
1912C. 본데스웨덴-
1920J. 룬드블라드스웨덴-
1924E. 린데르스웨덴-
1928C. 폰 랑겐독일독일
1932F. 르사주프랑스프랑스
1936H. 폴라이독일독일
1948H. 모제르스위스프랑스
1952H. 산크트 시르스웨덴스웨덴
1956H. 산크트 시르스웨덴스웨덴
1960S. 필라토프소련-
1964H. 샤마틴스위스독일 각주112)
1968I. 키지모프소련서독
1972L. 린젠호프서독소련
1976C. 슈투에켈베르거스위스서독
1980E. 토이러오스트리아소련
1984R. 클림케서독서독
1988N. 웁호프서독서독
1992N. 웁호프독일독일
1996I. 베어트독일독일
2000A. 반 흐룬스벤네덜란드독일
2004A. 반 흐룬스벤네덜란드독일
연도 그랑프리(점프) 개인그랑프리(점프) 단체 각주113)
1912J. 카리우프랑스스웨덴
1920T. 레퀴오이탈리아스웨덴
1924A. 겜무조이스스위스스웨덴
1928F. 벤투라체코슬로바키아스페인
1932니시 T.일본-
1936K. 하세독일독일
1948H. 마릴레스 코르테스멕시코멕시코
1952P. 종케르 도리올라프랑스영국
1956H. 빈클러독일 각주114) 독일 각주115)
1960R. 딘체오이탈리아독일 각주116)
1964P. 종케르 도리올라프랑스독일 각주117)
1968W. 스타인크로스미국캐나다
1972G. 만치넬리이탈리아서독
1976A. 쇼케묄레서독프랑스
1980J. 코발치크폴란드소련
1984J. 파기스미국미국
1988P. 뒤랑프랑스서독
1992L. 베어바움독일네덜란드
1996U. 키르호프독일독일
2000J. 두벨담네덜란드독일
2004C. 오코노아일랜드미국
연도 3일경기(개인)3일경기(단체)
1912A. 노르들란데르스웨덴스웨덴
1920H. 뫼르네르스웨덴스웨덴
1924A. 반 데르 보르트 반 제이프네덜란드네덜란드
1928F. 파후드 데 모르탕게스네덜란드네덜란드
1932F. 파후드 데 모르탕게스네덜란드미국
1936L. 슈투벤도르프독일독일
1948B. 슈발리에프랑스미국
1952H. 본 블릭센 피네케스웨덴스웨덴
1956P. 카스텐만스웨덴영국
1960L. 모건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1964M. 케콜리이탈리아이탈리아
1968J. 고용프랑스영국
1972R. 미드영국영국
1976E. 코핀미국미국
1980F. 로만이탈리아소련
1984M. 토드뉴질랜드미국
1988M. 토드뉴질랜드서독
1992M. 라이언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1996B. 테이트뉴질랜드오스트레일리아
2000D. 오코노미국오스트레일리아
2004L. 로영국프랑스
올림픽 대회 승마 우승 (1900~2004)
연도 그랑프리(고등마술) 개인 그랑프리(고등마술) 단체
2008 네덜란드 영국
2012 - 영국
2016 영국 독일
연도 그랑프리(점프) 개인 그랑프리(점프) 단체
2008 - 캐나다 미국
2012 S. 거닷 스위스 영국
2016 - 영국 프랑스
연도 3일경기(개인) 3일경기(단체)
2008 독일 독일
2012 - 독일
2016 독일 프랑스
올림픽 대회 승마 우승 (2008~2016)
/tr>
연도 남자(개인)남자(단체)
1972J. 윌리엄스미국-
1976D. 페이스미국-
1980T. 포이콜라이넨핀란드-
1984D. 페이스미국-
1988J. 바스미국한국
1992S. 플뤼트프랑스스페인
1996J. 호이시미국미국
2000S. 페어웨더오스트레일리아한국
2004M. 갈리아초이탈리아한국
2008V. 루반우크라이나한국
2012오진혁한국이탈리아
2016구본찬한국한국
연도 여자(개인)여자(단체)
1972D. 윌버트미국-
1976L. 라이언미국-
1980K. 로사베리제소련-
1984서향순한국-
1988김수녕한국한국
1992조윤정한국한국
1996김경욱한국한국
2000윤미진한국한국
2004박성현한국한국
2008장 쥐안쥐안중국한국
2012기보배한국한국
2016장혜진한국한국
올림픽 대회 양궁 우승
연도 플라이급(54kg)기록(kg) 밴텀급(59kg)기록(kg)
1948---J. 피에트로미국307.5
1952---I. 우도도프소련315.0
1956---C. 빈시미국342.5
1960---C. 빈시미국345.0
1964---A. 바호닌소련357.5
1968---M. 나시리이란367.5
1972Z. 스말체슈폴란드337.5I. 포엘디헝가리377.5
1976A. 바로닌소련242.5N. 누리키안불가리아262.5
1980K. 오스마날리예프소련245.0D. 누녜스쿠바275.0
1984G. 쩡중국235.0S. 우중국267.5
1988S. 마리노프불가리아270.0O. 미르조이안소련292.5
1992I. 이바노프불가리아265.0전병관한국287.5
1996H. 무틀루터키287.5N. 탕중국307.5
연도 페더급(64kg)기록(kg) 라이트급(70kg)기록(kg)
1920F. 데 하스벨기에220.0A. 네일란트에스토니아257.5
1924P. 가베티이탈리아402.5 각주118) E. 데코티니에프랑스440.0 각주119)
1928F. 안드리세크오스트리아287.5K. 헬비크 H. 하스(동점)독일 오스트리아322.5
1932R. 수비니프랑스287.5R. 뒤베르제프랑스325.0
1936A. 털라조미국312.5M. 메스바 R. 파인(동점)이집트 오스트리아342.5
1948M. 파야드이집트332.5I. 샴스이집트360.0
1952R. 치마슈칸소련337.5T. 코노미국362.5
1956I. 버거미국352.5I. 리바크소련380.0
1960Y. 마나에프소련372.5V. 부슈예프소련397.5
1964미야케 Y.일본397.5W. 바샤노프스키폴란드432.5
1968미야케 Y.일본392.5W. 바샤노프스키폴란드437.5
1972N. 누리키안불가리아402.5M. 키르지노프소련460.0
1976N. 콜레스니코프소련285.0P. 코롤소련305.0
1980V. 마진소련290.0Ya. 루세프불가리아342.5
1984W. 천중국282.5J. 야오중국320.0
1988N. 술레이마놀루터키342.5J. 쿤츠동독340.0
1992N. 술레이마놀루터키320.0I. 밀리토시안독립국가연합 각주120) 337.5
1996N. 술레이마놀루터키335.0X. 잔중국357.5
연도 미들급(76kg)기록(kg) 라이트헤비급(83kg)기록(kg)
1920B. 강스프랑스245.0E. 카딘프랑스290.0
1924C. 갈림베르티이탈리아492.5 각주121) C. 리굴로프랑스502.5 각주122)
1928F. 로제프랑스335.0S. 노이세르이집트355.0
1932R. 이스마이르독일345.0L. 오스탱프랑스365.0
1936K. 엘 토우니이집트387.5L. 오스탱프랑스372.5
1948F. 스펠먼미국390.0S. 스탠치크미국417.5
1952P. 조지미국400.0T. 로마킨소련417.5
1956F. 보그다노프스키소련420.0T. 코노미국447.5
1960A. 쿠리노프소련437.5I. 팔린스키폴란드442.5
1964H. 즈드라질라체코슬로바키아445.0R. 플류크펠데르소련475.0
1968V. 쿠렌초프소련475.0B. 셀리츠키 V. 벨라예프(동점)소련485.0
1972Y. 비코프불가리아485.0L. 옌센노르웨이507.5
1976Y. 미트코프불가리아335.0V. 샤리소련365.0
1980A. 즐라테프불가리아360.0Y. 바르다냔소련400.0
1984K.-H. 라친스키서독340.0P. 베체루루마니아355.0
1988B. 구이디코프불가리아375.0I. 아르사마코프소련377.5
1992F. 카사푸독립국가연합 각주123) 357.5P. 디마스그리스370.0
1996P. 라라쿠바367.5P. 디마스그리스392.5
연도 미들헤비급(91kg)기록(kg) (1차)헤비급(99kg)기록(kg)
1952N. 셰먼스키미국445.0---
1956A. 보로비예프소련462.5---
1960A. 보로비예프소련472.5---
1964V. 골로바노프소련487.5---
1968K. 캉가스니에미핀란드517.5---
1972A. 니콜로프불가리아525.0---
1976D. 리게르트소련382.5---
1980P. 보초코헝가리377.5O. 자렘바체코슬로바키아395.0
1984N. 블라드루마니아392.5R. 밀저서독385.0
1988A. 흐라파티소련412.5P. 코우즈네초프소련425.0
1992K. 카히아슈빌리독립국가연합 각주124) 412.5V. 트레구보프독립국가연합 각주125) 410.0
1996A. 페트로프러시아연방402.5A. 카키아스빌리스그리스420.0
연도 (2차)헤비급(108kg)기록(kg) 슈퍼헤비급(108kg 이상)기록(kg)
1896V. 옌센덴마크111.5---
1904P. 카쿠시스그리스111.58---
1920F. 보티노이탈리아270.0---
1924G. 토나니이탈리아517.5 각주126) ---
1928J. 슈트라스베르거독일372.5---
1932J. 스코비아체코슬로바키아380.0---
1936J. 망거독일410.0---
1948J. 데이비스미국452.5---
1952J. 데이비스미국460.0---
1956P. 앤더슨미국500.0---
1960Y. 블라소프소련537.5---
1964L. 자보틴스키소련572.5---
1968L. 자보틴스키소련572.5---
1972Y. 탈츠소련580.0V. 알렉세예프소련640.0
1976Y. 자이체프소련385.0V. 알렉세예프소련440.0
1980L. 타라넨코소련422.5S. 라흐마노프소련440.0
1984N. 오베르부르게르이탈리아390.0D. 류킨오스트레일리아412.5
1988Y. 자하레비치소련455.0A. 쿠를로비치소련462.5
1992R.벨러독일432.5A. 쿠를로비치독립국가연합 각주127) 450.0
1996I. 이아이마조프우크라이나430.0A. 체메르킨러시아연방457.5
올림픽 대회 역도 우승각주128) (1920~1996)
연도 밴텀급(56kg 이하)각주129) 페더급(62kg)각주130)
2000 H. 멋루 터키 N. 페샤로브 크로아티아
2004 H. 멋루 터키 자이용 S. 중국
2008 킹쿠안 L. 중국 씨앙씨앙 Z. 중국
2012 엄윤철 북한 김은국 북한
2016 킹쿠안 L. 중국 O. 피구에로아 모스쿠에라 콜롬비아
연도 69kg각주131) 77kg각주132)
2000 G. 보에브스키 불가리아 쑤강 Z. 중국
2004 궈젱 Z. 중국 T. 사지르 터키
2008 후이 L. 중국 사재혁 한국
2012 킹펭 L. 중국 씨아오준 L. 중국
2016 자이용 S. 중국 N. 라히모브 카자흐스탄
연도 85kg각주133) 94kg각주134)
2000 P. 디마스 그리스 A. 카키아스빌리스 그리스
2004 G. 아사니드제 조지아 M. 도브레브 불가리아
2008 용 L. 중국 S. 콜렉키 폴란드
2012 A. 지에린스키 폴란드 - -
2016 K. 로스타미 이란 S. 모라디 이란
연도 헤비급(105kg)각주135) 수퍼헤비급(105kg 이상)각주136)
2000 H. 타바콜리 이란 H. 레자 자데흐 이란
2004 D. 베레스토브 러시아 H. 레자 자데흐 이란
2008 A. 아람나우 벨라루스 M. 스테이너 독일
2012 O. 토로크타이 우크라이나 B. 살리미 코르다시아비 이란
2016 R. 누루디노브 우즈베키스탄 L. 타라카드제 조지아
올림픽 대회 역도 (남자) 우승 (2000~2016)
연도 48kg각주137) 53kg각주138)
2000 T. 노트 미국 시아 Y. 중국
2004 N. 타이란 터키 U. 폴삭 타이
2008 W. 첸 타이완 P. 자로엔라타나타라쿤 타이
2012 밍주안 W. 중국 - -
2016 S. 타나산 타이 S. 수 타이완
연도 58kg각주139) 63kg각주140)
2000 S. 지메네즈 멕시코 씨아오민 C. 중국
2004 얀킹 C. 중국 N. 스카쿤 우크라이나
2008 얀킹 C. 중국 박현숙 북한
2012 쑤에잉 L. 중국 - -
2016 S. 스리수라트 타이 웨이 D. 중국
연도 69kg각주141) 75kg각주142)
2000 웨이닝 L. 중국 M. 우루티아 콜롬비아
2004 춘홍 L. 중국 P. 통숙 타이
2008 O. 슬리벤코 러시아 A. 바제니아 카자흐스탄
2012 임종심 북한 - -
2016 얀메이 X. 중국 임종심 북한
연도 75kg 이상 -
2000 - - - -
2004 공홍 T. 중국 - -
2008 장미란 한국 - -
2012 룰루 Z. 중국 - -
2016 수핑 M. 중국 - -
올림픽 대회 역도 (여자) 우승
연도 윈드글라이더급 각주143)
1984S. 반 덴 베르흐 네덜란드
1988B. 켄덜 뉴질랜드
연도 윈드글라이더급(남자)
1992F. 다비드 프랑스
1996N. 카클라마나키스 그리스
2000C. 시베르 오스트리아
2004G. 프리드만 이스라엘
연도 윈드글라이더급(여자)
1992B. 켄덜 뉴질랜드
1996L. S. 리 홍콩
2000A. 센시니 이탈리아
2004F. 메르 프랑스
연도 핀급 1인승 각주144)
1952P. 엘브스트룀 덴마크
1956P. 엘브스트룀 덴마크
1960P. 엘브스트룀 덴마크
1964W. 쿠바이데 독일 각주145)
1968V. 만킨 소련
1972S. 모리 프랑스
1976J. 슈만 동독
1980E. 레하르트 핀란드
1984R. 쿠츠 뉴질랜드
1988J.-L. 도레스테 스페인
1992J. 반 데르 플로에그 스페인
1996M. 큐슈니에레비치 폴란드
2000I. 퍼시 영국
2004B. 에인슬리 영국
연도470급 각주146) 470급(남자)470급(여자)
1976서독--
1980브라질--
1984스페인--
1988-프랑스미국
1992-스페인스페인
1996-우크라이나스페인
2000-오스트레일리아오스트레일리아
2004-미국그리스
연도플라잉더치맨급 스타급 각주147)
1932- 미국
1936- 독일
1948- 미국
1952- 이탈리아
1956- 미국
1960노르웨이 소련
1964뉴질랜드 바하마
1968영국 미국
1972영국 오스트레일리아
1976서독-
1980스페인 소련
1984미국 미국
1988덴마크 영국
1992스페인 미국
1996- 브라질
2000- 미국
2004- 브라질
연도토네이도급 솔링급
1972- 미국
1976영국 덴마크
1980브라질 덴마크
1984뉴질랜드 미국
1988프랑스 동독
1992프랑스 덴마크
1996스페인 독일
2000오스트리아 -
2004오스트리아 -
유럽급
1992L. 안데르센 노르웨이
1996K. 로우그 덴마크
2000S. 로버트슨 영국
2004S. 순드비 노르웨이
믹스드레이저급
1996R. 세이트 브라질
2000R. 에인슬리 영국
2004R. 세이트 브라질
올림픽 대회 요트 우승 (1932~2004)
연도 470급(남자) 470급(여자)
2008 호주 호주
2012 호주 뉴질랜드
2016 크로아티아 영국
연도 RSX급(남자) RSX급(여자)
2008 T. 애슐리 뉴질랜드 지안 Y. 중국
2012 D. 반 리젤버그 네덜란드 - -
2016 D. 반 리젤버그 네덜란드 C. 피콘 프랑스
연도 레이저급 레이저 레이디얼급
2008 P. 구디슨 영국 A. 투니클리프 미국
2012 T. 슬링스비 호주 - -
2016 T. 버튼 호주 M. 보우미스터 네덜란드
연도 49er급(남자) 49er FX급
2008 - -
2012 호주 -
2016 뉴질랜드 브라질
연도 혼합 49er급 혼합 나크라 17급
2008 덴마크 -
2012 - -
2016 - 아르헨티나
연도 스타급 잉링급
2008 영국 영국
2012 스웨덴 -
2016 - -
연도 토네이도급 엘리엇 6m급
2008 스페인 스페인
2012 - -
2016 - -
연도 핀급 1인승 -
2008 B. 아인슬리 영국 - -
2012 B. 아인슬리 영국 - -
2016 G. 스콧 영국 - -
올림픽 대회 요트 우승 (2008~2016)
남자 각주148)
연도 라이트급 라이트미들급 각주149)
1964니카타니 T.일본--
1972가와구치 T.일본노무라 T.일본
1976H. 로드리게스쿠바V. 네브조로프소련
연도 미들급 라이트헤비급
1964오카노 I.일본--
1972세키네 S.일본Sh. 초초슈빌리소련
1976소노다 I.일본니노미야 K.일본
연도 헤비급
1964이노쿠마 I. 일본
1972W. 뤼스카 네덜란드
1976S. 노비코프 소련
연도 60kg급 65kg급
1980T. 레프랑스N. 솔로두힌소련
1984호소카와 S.일본마쓰오카 Y.일본
1988김재엽한국이경근한국
1992N. 고우세이노프독립국가연합 각주150) R. 삼파이우브라질
1996노무라 T.일본U. 쿠엘말츠독일
연도 71Kg급 78kg급
1980E. 감바이탈리아Sh. 하바렐리소련
1984안병근한국F. 비네케서독
1988M. 알렉상드르프랑스W. 레기엔폴란드
1992고가 T.일본요시다 H.일본
1996나카무라 K.일본D. 부라프랑스
연도 86kg급 95kg급
1980J. 뢰틀리스베르거스위스R. 반 데 왈레벨기에
1984P. 자이젠바허오스트리아하형주한국
1988P. 자이젠바허오스트리아A. 미겔브라질
1992W. 레기엔폴란드A. 코바치헝가리
1996전기영한국P. 나스툴라폴란드
연도 95kg 이상급
1980A. 파리시 프랑스
1984사이토 H. 일본
1988사이토 H. 일본
1992D. 하할레이치빌리 독립국가연합 각주151)
1996D. 두예 프랑스
여자
연도 48kg급 52kg급
1992C. 노와크프랑스A. 무노스 마르티네스스페인
1996계순희북한M. -C. 레스토프랑스
연도 56kg급 61kg급
1992M. 블라스코 소토스페인C. 플뢰리프랑스
1996D. 곤살레스쿠바에모토 Y.일본
연도 66kg급 72kg급
1992O. 레베쿠바김미정한국
1996조민선한국U. 웨르브루크벨기에
연도 72kg 이상급
1992X. 좡 중국
1996F. 쑨 중국
올림픽 대회 유도 우승 (1964~1996)
연도 60kg 이하 하프라이트급
2004각주152) 타다히로 N. 일본 마사토 U. 일본
2008 최민호 한국 마사토 U. 일본
2012 A. 갈스타이안 러시아 L. 샤브다투아쉬빌리 조지아
2016 B. 무드라노브 러시아 F. 바실레 이탈리아
연도 라이트급 하프미들급
2004 이원희 한국 I. 일리아디스 그리스
2008 E. 마마드리 아제르바이젠 O. 비스코프 독일
2012 M. 이사에브 러시아 김재범 한국
2016 쇼헤이 O. 일본 K. 칼무르자에브 러시아
연도 미들급 하프헤비급
2004 Z. 즈비아다우리 조지아 I. 마카라우 벨라루스
2008 I. 트시레키드제 조지아 T. 나이단 몽골
2012 송대남 한국 T. 카이부라에브 러시아
2016 마슈 B. 일본 L. 크르파렉 체코
연도 헤비급 -
2004 케이지 S. 일본 - -
2008 사토시 I. 일본 - -
2012 T. 라이너 프랑스 - -
2016 T. 라이너 프랑스 - -
올림픽 대회 유도 (남자) 우승 (2004~2016)
연도 엑스트라라이트급 하프라이트급
2000 료코 T. 일본 - -
2004 료코 T. 일본 동메이 X. 중국
2008 A. 두미트루 루마니아 동메이 X. 중국
2012 S. 메네제스 브라질 안금애 북한
2016 P. 파레토 아르헨티나 M. 켈멘디 코소보
연도 라이트급 하프미들급
2004 Y. 보에니쉬 독일 아유미 T. 일본
2008 G. 퀸타발레 이탈리아 아유미 T. 일본
2012 카오리 M. 일본 U. 졸니르 슬로베니아
2016 R. 실바 브라질 T. 트르스텐자크 슬로베니아
연도 미들급 하프헤비급
2004 마사에 U. 일본 노리코 A. 일본
2008 마사에 U. 일본 시우리 Y. 중국
2012 L. 데코세 프랑스 K. 해리슨 미국
2016 하루카 T. 일본 K. 해리슨 미국
연도 헤비급 -
2004 마키 T. 일본 - -
2008 웬 T. 중국 - -
2012 I. 올티즈 쿠바 - -
2016 E. 안데올 프랑스 - -
올림픽 대회 유도 (여자) 우승 (2004~2016)
남자
100m기록(초)
1896T. 버크미국12.0
1900F. 자비스미국11.0
1904A. 한미국11.0
1908R. 워커남아프리카공화국10.8
1912R. 크레이그미국10.8
1920C. 패덕미국10.8
1924H. 에이브러햄스영국10.6
1928P. 윌리엄스캐나다10.8
1932E. 톨런미국10.3
1936J. 오언스미국10.3
1948H. 딜라드미국10.3
1952L. 레미지노미국10.4
1956R. 모로미국10.5
1960A. 하리독일 각주153) 10.2
1964R. 헤이스미국10.0
1968J. 하인스미국9.9
1972V. 보르조프소련10.14 각주154)
1976H. 크로퍼드트리니다드10.06
1980A. 웰스영국10.25
1984C. 루이스미국9.99
1988C. 루이스미국9.92
1992L. 크리스티영국9.96
1996D. 베일리캐나다9.84
2000M. 그린미국9.87
2004J. 개틀린미국9.85
200m기록(초)
1900J. 툭스버리미국22.2
1904A. 한미국21.6
1908R. 커캐나다22.6
1912R. 크레이그미국21.7
1920A. 우드링미국22.0
1924J. 스콜즈미국21.6
1928P. 윌리엄스캐나다21.8
1932E. 톨런미국21.2
1936J. 오언스미국20.7
1948M. 패턴미국21.1
1952A. 스탠필드미국20.7
1956R. 모로미국20.6
1960L. 베루티이탈리아20.5
1964H. 카미국20.3
1968T. 스미스미국19.8
1972V. 보르조프소련20.00 각주155)
1976D. 쿼리자메이카20.23
1980P. 멘네아이탈리아20.19
1984C. 루이스미국19.80
1988J. 덜로치미국19.75
1992M. 마시미국20.01
1996M. 존슨미국19.32
2000K. 켄테리스그리스20.09
2004S. 크로포드미국19.79
400m기록(초)
1896T. 버크미국54.2
1900M. 롱미국49.4
1904H. 힐먼미국49.2
1908W. 핼스웰영국50.0
1912C. 리드패스미국48.2
1920B. 루드남아프리카공화국49.6
1924E. 리델영국47.6
1928R. 바부티미국47.8
1932W. 카미국46.2
1936A. 윌리엄스미국46.5
1948A. 윈트자메이카46.2
1952G. 로든자메이카45.9
1956C. 젱킨스미국46.7
1960O. 데이비스미국44.9
1964M. 래러비미국45.1
1968L. 에번스미국43.8
1972V. 매슈스미국44.66 각주156)
1976A. 후안토레나쿠바44.26
1980V. 마르킨소련44.60
1984A. 바버스미국44.27
1988S. 루이스미국43.87
1992Q. 와츠미국43.50
1996M. 존슨미국43.49
2000M. 존슨미국43.84
2004J. 워리너미국44.00
800m기록(분:초)
1896E. 플랙오스트레일리아2:11.0
1900A. 티소영국2:01.2
1904J. 라이트보디미국1:56.0
1908M. 셰퍼드미국1:52.8
1912J. 메러디스미국1:51.9
1920A. 힐영국1:53.4
1924D. 로영국1:52.4
1928D. 로영국1:51.8
1932T. 햄슨영국1:49.7
1936J. 우드러프미국1:52.9
1948M. 휫필드미국1:49.2
1952M. 휫필드미국1:49.2
1956T. 코트니미국1:47.7
1960P. 스넬뉴질랜드1:46.3
1964P. 스넬뉴질랜드1:45.1
1968R. 더벨오스트레일리아1:44.3
1972D. 워틀미국1:45.9
1976A. 후안토레나쿠바1:43.50 각주157)
1980S. 오벳영국1:45.40
1984J. 크루스브라질1:43.00
1988P. 에렝케냐1:43.45
1992W. 타누이케냐1:43.66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N. 슈만독일1:45.08
2004Yu. 보르자코프스키러시아1:44.45
1,500m기록(분:초)
1896E. 플랙오스트레일리아4:33.2
1900C. 베넷영국4:06.2
1904J. 라이트보디미국4:05.4
1908M. 셰퍼드미국4:03.4
1912A. 잭슨영국3:56.8
1920A. 힐영국4:01.8
1924P. 누르미핀란드3:53.6
1928H. 라르바핀란드3:53.2
1932L. 베칼리이탈리아3:51.2
1936J. 러블록뉴질랜드3:47.8
1948H. 에릭손스웨덴3:49.8
1952J. 바르털룩셈부르크3:45.1
1956R. 덜레이니아일랜드3:41.2
1960H. 엘리엇오스트레일리아3:35.6
1964P. 스넬뉴질랜드3:38.1
1968K. 케이노케냐3:34.9
1972P. 바살라핀란드3:36.3
1976J. 워커뉴질랜드3:39.17 각주158)
1980S. 코영국3:38.40
1984S. 코영국3:32.53
1988P. 로노케냐3:35.96
1992F. 카초스페인3:40.12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N. 은게니케냐3:32.07 각주159)
2004H. 엘 게루즈모로코3:34.18
5,000m기록(분:초)
1912H. 콜레흐마이넨핀란드14:36.6
1920J. 기예모프랑스14:55.6
1924P. 누르미핀란드14:31.2
1928V. 리톨라핀란드14:38.0
1932L. 레흐티넨핀란드14:30.0
1936G. 회케트핀란드14:22.2
1948G. 라이프벨기에14:17.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14:06.6
1956V. 쿠츠소련13:39.6
1960M. 핼버그뉴질랜드13:43.4
1964R. 스컬미국13:48.8
1968M. 가무디튀니지14:05.0
1972L. 비렌핀란드13:26.4
1976L. 비렌핀란드13:24.76 각주160)
1980Y. 미루츠에티오피아13:21.00
1984S. 아우이타모로코13:05.59
1988J. 응구기케냐13:11.70
1992D. 바우만독일13:12.52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M. 월데에티오피아13:35.49
2004H. 엘 게루즈모로코13:14.39
1만m기록(분:초)
1912H. 콜레흐마이넨핀란드31:20.8
1920P. 누르미핀란드31:45.8
1924V. 리톨라핀란드30:23.2
1928P. 누르미핀란드30:18.8
1932J. 쿠소친스키폴란드30:11.4
1936I. 살미넨핀란드30:15.4
1948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9:59.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9:17.0
1956V.쿠츠소련28:45.6
1960P. 볼로트니코프소련28:32.2
1964W. 밀스미국28:24.4
1968N. 테무케냐29:27.4
1972L. 비렌핀란드27:38.4
1976L. 비렌핀란드27:40.38 각주161)
1980Y. 미루츠에티오피아27:42.70
1984A. 코바이탈리아27:47.54
1988B. 부타이브모로코27:21.46
1992K. 스카모로코27:46.70
1996H. 게브르실라시에에티오피아27:07.34
2000H. 게브르실라시에에티오피아27:18.20
2004K. 베켈레에티오피아27:05.10 각주162)
마라톤기록(시:분:초)
1896S. 루이스그리스2:58:50.0
1900M. 테아토프랑스2:59.45.0
1904T. 힉스미국3:28.53.0
1908J. 헤이즈미국2:55:18.4
1912K. 맥아더남아프리카공화국2:36:54.8
1920H. 콜레흐마이넨핀란드2:32:35.8
1924A. 스텐루스핀란드2:41:22.6
1928A. 엘 와피프랑스2:32:57.0
1932J. 자발라아르헨티나2:31:36.0
1936손기정한국2:29:19.2
1948D. 카브레라아르헨티나2:34:51.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23:03.2
1956A. 미문프랑스2:25:00.0
1960A. 비킬라에티오피아2:15:16.2
1964A. 비킬라에티오피아2:12:11.2
1968M. 월데에티오피아2:20:26.4
1972M. 쇼터미국2:12:19.8
1976W. 치르핀스키동독2:09:55.0
1980W. 치르핀스키동독2:11:03.0
1984C. 로페스포르투갈2:09:21.0
1988G. 보르딘이탈리아2:10:32.0
1992황영조한국2:13:23.0
1996J. 투과니남아프리카공화국2:12:36.0
2000G. 아베라에티오피아2:10:11.0
2004S. 발디니이탈리아2:10:55.0
110m 허들기록(초)
1896 각주163) T. 커티스미국17.6
1900A. 크레언즐라인미국15.4
1904F. 스큘미국16.0
1908F. 스미스슨미국15.0
1912F. 켈리미국15.1
1920E. 톰슨캐나다14.8
1924D. 킨지미국15.0
1928S. 앳킨슨남아프리카공화국14.8
1932G. 샐링미국14.6
1936F. 타운스미국14.2
1948W. 포터미국13.9
1952H. 딜러드미국13.7
1956L. 컬훈미국13.5
1960L. 컬훈미국13.8
1964H. 존스미국13.6
1968W. 대번포트미국13.3
1972R. 밀번미국13.24 각주164)
1976G. 드뤼프랑스13.30
1980T. 문켈트동독13.39
1984R. 킹덤미국13.20
1988R. 킹덤미국12.98
1992M. 매코이캐나다13.12
1996A. 존슨미국12.95
2000A. 가르시아쿠바13.00
2004라우시앙중국12.91
400m 허들기록(초)
1900J. 툭수버리미국57.6
1904 각주165) H. 힐먼미국53.0
1908C. 베이컨미국55.0
1920F. 루미스미국54.0
1924F. 테일러미국52.6
1928벌리 경영국53.4
1932R. 티스달아일랜드51.7
1936G. 하딘미국52.4
1948R. 코크런미국51.1
1952C. 무어미국50.8
1956G. 데이비스미국50.1
1960G. 데이비스미국49.3
1964W. 콜리미국49.6
1968D. 헤머리영국48.1
1972J. 아키 부아우간다47.82 각주166)
1976E. 모제스미국47.64
1980V. 베크동독48.70
1984E. 모제스미국47.75
1988A. 필립스미국47.19
1992K. 영미국46.78
1996D. 애드킨스미국47.54
2000A. 테일러미국47.50
2004F. 산체스도미니카공화국47.63
3,000m 장애물경주기록(분:초)
1920P. 호지영국10:00.4
1924V. 리톨라핀란드9:33.6
1928T. 로우콜라핀란드9:21.8
1932V. 이소 홀로핀란드10:33.4 각주167)
1936V. 이소 홀로핀란드9:03.8
1948T. 시외스트란드스웨덴9:04.6
1952H. 애션펠터미국8:45.4
1956C. 브래셔영국8:41.2
1960Z. 크지슈코비아크폴란드8:34.2
1964G. 룰란츠벨기에8:30.8
1968A. 비웟케냐8:51.0
1972K. 케이노케냐8:23.6
1976A. 가르데루드스웨덴8:08.02 각주168)
1980B. 말리노프스키폴란드8:09.70
1984J. 코리르케냐8:11.80
1988J. 카리우키케냐8:05.51
1992M. 비리르케냐8:08.84
1996J. 케터케냐8:07.12
2000R. 코스게이케냐8:21.43
2004E. 켐보이케냐8:05.81
4x100m 릴레이 기록(초)
1912영국 42.4
1920미국 42.2
1924미국 41.0
1928미국 41.0
1932미국 40.0
1936미국 39.8
1948미국 40.6
1952미국 40.1
1956미국 39.5
1960독일 각주169) 39.5
1964미국 39.0
1968미국 38.2
1972미국 38.19 각주170)
1976미국 38.33
1980소련 38.26
1984미국 37.83
1988소련 38.19
1992미국 37.40
1996캐나다 37.69
2000미국 37.61
2004영국 38.07
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1912미국 3:16.6
1920영국 3:22.2
1924미국 3:16.0
1928미국 3:14.2
1932미국 3:08.2
1936영국 3:09.0
1948미국 3:10.4
1952자메이카 3:03.9
1956미국 3:04.8
1960미국 3:02.2
1964미국 3:00.7
1968미국 2:56.1
1972케냐 2:59.8
1976미국 2:58.65 각주171)
1980소련 3:01.1
1984미국 2:57.91
1988미국 2:56.16
1992미국 2:55.74
1996미국 2:55.99
2000미국 2:56.35
2004미국 2:55.91
2만m 경보기록(시:분:초)
1956L. 스피린소련1:31:27.4
1960V. 골루프니치소련1:34:07.2
1964K. 매튜스영국1:29:34.0
1968V. 골루프니치소련1:33:58.4
1972P. 프렝켈동독1:26:42.6
1976D. 바우티스타멕시코1:24:40.6
1980M. 다밀라노이탈리아1:23:35.5
1984E. 칸토멕시코1:23:13.0
1988J. 프리빌리네츠체코슬로바키아1:19:57.0
1992D. 플라사 몬테로스페인1:21:45.0
1996J. 페레스에콰도르1:20:07.0
2000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1:18:59.0 각주172)
2004I. 브루녜티이탈리아1:19:40
5만m 경보 각주173) 기록(시:분:초)
1932T. 그린영국4:50:10.0
1936H. 휫록영국4:30:41.4
1948J. 융그렌스웨덴4:41:52.0
1952G. 도르도니이탈리아4:28:07.8
1956N. 리드뉴질랜드4:30:42.8
1960D. 톰슨영국4:25:30.0
1964A. 파미크이탈리아4:11:12.4
1968C. 호네동독4:20:13.6
1972B. 카넨베르크서독3:56:11.6
1980H. 가우더동독3:49:24.0
1984R. 곤살레스멕시코3:47:26.0
1988V. 이바넨코소련3:38:29.0
1992A. 페를로프독립국가연합 각주174) 3:50:13.0
1996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43:30.0
2000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42:22.0
2004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38:46.0
높이뛰기기록(m)
1896E. 클라크미국1.81
1900I. 백스터미국1.90
1904S. 존스미국1.80
1908H. 포터미국1.90
1912A. 리처즈미국1.93
1920R. 랜던미국1.93
1924H. 오즈번미국1.98
1928R. 킹미국1.94
1932D. 맥노턴캐나다1.97
1936C. 존슨미국2.03
1948J. 윈터오스트레일리아1.98
1952W. 데이비스미국2.04
1956C. 뒤마미국2.12
1960R. 샤블라카제소련2.16
1964V. 브루멜소련2.18
1968R. 포즈버리미국2.24
1972Yu. 타르마크소련2.23
1976J. 프숄라폴란드2.25
1980G. 베시크동독2.36
1984D. 뫼겐부르크서독2.35
1988G. 아브덴코소련2.38
1992J. 소토마요르쿠바2.34
1996C. 어스틴미국2.39
2000S. 클류긴러시아2.35
2004S. 홀름스웨덴2.36
장대높이뛰기기록(m)
1896W. 호이트미국3.30
1900I. 백스터미국3.30
1904C. 드보락미국3.50
1908E. 쿠크 A. 길버트(동점)미국3.71
1912H. 배브콕미국3.95
1920F. 포스미국4.09
1924L. 반스미국3.95
1928S. 카미국4.20
1932W. 밀러미국4.31
1936E. 메도스미국4.35
1948O. 스미스미국4.30
1952R. 리처즈미국4.55
1956R. 리처즈미국4.56
1960D. 브래그미국4.70
1964F. 핸슨미국5.10
1968B. 시그렌미국5.40
1972W. 노르트비히동독5.50
1976T. 슬루사르스키폴란드5.50
1980W. 코자키에비치폴란드5.78
1984P. 키농프랑스5.75
1988S. 부프카소련5.90
1992M. 타라소프독립국가연합 각주175) 5.80
1996J. 갈푠느프랑스5.92
2000N. 하이송미국5.90
2004T. 맥미국5.95 각주176)
멀리뛰기기록(m)
1896E. 클라크미국6.35
1900A. 크레언즐라인미국7.18
1904M. 프린스타인미국7.34
1908F. 아이언스미국7.48
1912A. 구터슨미국7.60
1920W. 페터슨스웨덴7.15
1924H. 드 허버드미국7.44
1928E. 햄미국7.73
1932E. 고든미국7.64
1936J. 오언스미국8.06
1948W. 스틸미국7.82
1952J. 비플미국7.57
1956G. 벨미국7.83
1960R. 보스턴미국8.12
1964L. 데이비스영국8.07
1968R. 비몬미국8.90
1972R. 윌리엄스미국8.24
1976A. 로빈슨미국8.35
1980L. 돔브로프스키동독8.54
1984C. 루이스미국8.54
1988C. 루이스미국8.72
1992C. 루이스미국8.67
1996C. 루이스미국8.50
2000I. 페드로소쿠바8.55
2004D. 필립스미국8.59
포환던지기기록(m)
1896R. 개럿미국11.22
1900R. 셸던미국14.10
1904R. 로즈미국14.81
1908R. 로즈미국14.21
1912R. 맥도널드미국15.34
1920V. 푀르횔레핀란드14.81
1924C. 하우저미국14.99
1928J. 쿡미국15.87
1932L. 섹스턴미국16.00
1936H. 뵐케독일16.20
1948W. 톰슨미국17.12
1952P. 오브라이언미국17.41
1956P. 오브라이언미국18.57
1960W. 니더미국19.68
1964D. 롱미국20.33
1968R. 맷슨미국20.54
1972W. 코마르폴란드21.18
1976U. 바이어동독21.05
1980V. 키젤료프소련21.35
1984A. 안드레이이탈리아21.26
1988U. 티머만동독22.47
1992M. 스털스미국21.70
1996C. 루이스미국8.50
2000A. 하르유핀란드21.29
2004Yu. 빌로노그우크라이나21.16
원반던지기기록(m)
1896R. 개럿미국29.15
1900R. 보우에르헝가리36.04
1904M. 셰리든미국39.28
1908M. 셰리든미국40.89
1912A. 타이팔레핀란드45.21
1920E. 니클란데르핀란드44.68
1924C. 하우저미국46.15
1928C. 하우저미국47.32
1932J. 앤더슨미국49.49
1936K. 카펜터미국50.48
1948A. 콘솔리니이탈리아52.78
1952S. 이네스미국55.03
1956A. 오터미국56.36
1960A. 오터미국59.18
1964A. 오터미국61.00
1968A. 오터미국64.78
1972L. 다네크체코슬로바키아64.40
1976M. 윌킨스미국67.50
1980V. 리사추프킨소련66.64
1984R. 다네베르크서독66.60
1988J. 슐트동독68.82
1992R. 우바르타스리투아니아65.12
1996L. 리델독일69.40
2000V. 알렉크나리투아니아69.30
2004V. 알렉크나리투아니아69.89 각주177)
창던지기기록(m)
1908E. 레밍스웨덴54.83
1912E. 레밍스웨덴60.64
1920J. 뮈이레핀란드65.78
1924J. 뮈이레핀란드62.96
1928E. 룬드크비스트스웨덴66.60
1932M. 예르비넨핀란드72.71
1936G. 슈퇴크독일71.84
1948T. 라우타바라핀란드69.77
1952C. 영미국73.78
1956E. 다니엘손노르웨이85.71
1960V. 치불렌코소련84.64
1964P. 네발라핀란드82.66
1968Ya. 루시스소련90.10
1972K. 볼페르만서독90.48
1976M. 네메트헝가리94.58
1980D. 쿨라소련91.20
1984A. 하이에르코에넨핀란드86.76
1988T. 코류스핀란드84.28
1992J. 젤레즈니체코슬로바키아89.66
1996J. 젤레즈니체크88.16
2000J. 젤레즈니체크90.17
2004A. 토르킬센노르웨이86.50
10종경기
1912J. 소프 미국 각주178)
 H. 비슬란데르 스웨덴
1920H. 뢰블란 노르웨이
1924H. 오즈번 미국
1928P. 위리욀레 핀란드
1932J. 보시 미국
1936G. 모리스 미국
1948R. 매시아스 미국
1952R. 매시아스 미국
1956M. 캠벨 미국
1960R. 존슨 미국
1964W. 홀도르프 독일 각주179)
1968W. 투메이 미국
1972N. 아빌로프 소련
1976B. 제너 미국
1980D. 톰슨 영국
1984D. 톰슨 영국
1988C. 솅크 동독
1992R. 즈멜리크 체코슬로바키아
1996D. 오브라이언 미국
2000E. 눌 에스토니아
2004R. 세브를레 체크
여자
100m기록(초)
1928E. 로빈슨미국12.2
1932S. 발라셰비치폴란드11.9
1936H. 스티번스미국11.5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11.9
1952M. 잭슨오스트레일리아11.5
1956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11.5
1960W. 루돌프미국11.0
1964W. 타이우스미국11.4
1968W. 타이우스미국11.0
1972R. 슈테허동독11.07 각주180)
1976A. 리히터서독11.08
1980L. 콘드라티예바소련11.06
1984E. 애슈퍼드미국10.97
1988F. 그리피스 조이너미국10.54
1992G. 데버스미국10.82
1996G. 데버스미국10.94
2000M. 존스미국10.75
2004Yu. 네스테렌코벨로루시10.93
200m기록(초)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24.4
1952M. 잭슨오스트레일리아23.7
1956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23.4
1960W. 루돌프미국24.0
1964E. 맥과이어미국23.0
1968I. 셰빈스카폴란드22.5
1972R. 슈테허동독22.40 각주181)
1976B. 에케르트동독22.37
1980B. 에케르트 보켈동독22.03
1984V. 브리스코 훅스미국21.81
1988F. 그리피스 조이너미국21.34
1992G. 토런스미국21.81
1996M.-J. 페레크프랑스22.12
2000M. 존스미국21.84
2004V. 캠프벨자메이카22.05
400m기록(초)
1964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52.0
1968C. 베송프랑스52.0
1972M. 체르트동독51.08 각주182)
1976I. 셰빈스카폴란드49.29
1980M. 코흐동독48.88
1984V. 브리스코 훅스미국48.83
1988O. 브리즈구이나소련48.65
1992M. -J. 페레크프랑스48.83
1996M. -J. 페레크프랑스48.25
2000C. 프리먼오스트레일리아49.11
2004T. 윌리엄스-달링바하마49.41
800m기록(분:초)
1928L. 라트케 바차우어독일2:16.8
1960L. 리센코 셰프초바소련2:04.3
1964A. 패커영국2:01.1
1968M. 매닝미국2:00.9
1972H. 팔크서독1:58.6
1976T. 카잔키나소련1:54.94 각주183)
1980N. 올리자렌코소련1:53.50
1984D. 멜린테루마니아1:57.60
1988S. 보다르스동독1:56.10
1992E. 반 랑겐네덜란드1:55.54
1996S. 마스테르코바러시아연방1:57.73
2000M. 무톨라모잠비크1:56.15
2004K. 홈스영국1:56.38
1,500m기록(분:초)
1972L. 브라기나소련4:01.4
1976T. 카란키나소련4:05.48 각주184)
1980T. 카란키나소련3:56.60
1984G. 도리오이탈리아4:03.25
1988P. 이반루마니아3:53.96
1992H. 부메르카알제리3:55.30
1996S. 마스테르코바러시아연방4:00.83
2000N. 메라-베니다알제리4:05.10
2004K. 홈스영국3:57.90
3,000m 각주185) 기록(분:초)
1984M. 푸이카루마니아8:35.96
1988T. 사몰렌코소련8:26.53
1992Y. 로마노바독립국가연합 각주186) 8:46.04
5,000m기록(분:초)
1996J. 왕중국14:59.88
2000G. 자보루마니아14:40.79 각주187)
2004M. 데파르에티오피아14:45.65
1만m기록(분:초)
1988O. 본다렌코소련31:05.21
1992D. 툴루에티오피아31:06.02
1996F. 리베이로포르투갈31:01.63
2000D. 툴루에티오피아30:17.49 각주188)
2004싱후이나중국30:24.36
마라톤기록(시:분:초)
1984J. 베노이트미국2:24:52.0
1988R. 모타포르투갈2:25:40.0
1992V. 예고로바독립국가연합 각주189) 2:32:41.0
1996F. 로바에티오피아2:26:05.0
2000다카하시 나오코일본2:23:14.0 각주190)
2004노구치 미즈키일본2:26:20.0
4x100m 릴레이 기록(초)
1928캐나다 48.4
1932미국 47.0
1936미국 46.9
1948네덜란드 47.5
1952미국 45.9
1956오스트레일리아 44.5
1960미국 44.5
1964폴란드 43.6
1968미국 42.8
1972서독 42.81 각주191)
1976동독 42.55
1980동독 41.60
1984미국 41.65
1988미국 41.98
1992미국 42.11
1996미국 41.95
2000바하마 41.95
2004자메이카 41.73
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1972동독 3:23.0
1976동독 3:19.23 각주192)
1980소련 3:20.2
1984미국 3:18.29
1988소련 3:15.18
1992독립국가연합 각주193) 3:20.20
1996미국 3:20.91
2000미국 3:22.62
2004미국 3:19.01
80m 허들(1972년 이후 100m)기록(초)
1932M. 디드릭슨미국11.7
1936T. 발라이탈리아11.7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11.2
1952S. 스트리클런드 드 라 헌티오스트레일리아10.9
1956S. 스트리클런드 드 라 헌티오스트레일리아10.7
1960I. 프레스소련10.8
1964K. 발처독일 각주194) 10.5
1968M. 케어드오스트레일리아10.3
1972A. 에어하르트동독12.59 각주195)
1976J. 샬러동독12.77
1980V. 코미소바소련12.56
1984B. 피츠제럴드 브라운미국12.84
1988J. 돈코바불가리아12.38
1992P. 파툴리두그리스12.64
1996L. 엥퀴스트스웨덴12.58
2000O. 시시기나카자흐스탄12.65
2004J. 헤이스미국12.37 각주196)
400m 허들기록(초)
1984N. 엘 무타와켈모로코54.61
1988D. 플린토프 킹오스트레일리아53.17
1992S. 거넬영국53.23
1996D. 헤밍스자메이카52.82
2000I. 프리발로바러시아53.02
2004F. 할키아그리스52.82
1만m 경보(2000년부터 2만m 경보로 바뀜)기록(분:초)
1992Y. 천중국44:32
1996Y. 니콜라예바러시아연방41:49
2만m 경보(2000년부터 신설)기록(분:초)
2000왕리핑중국1:29:05
2004A. 추멜레카그리스1:29:12
3단 뛰기기록(m)
1996I. 크라베츠우크라이나15.33
2000T. 마리노바불가리아15.20
2004F. 음방고 에토네카메룬15.30
높이뛰기기록(m)
1928E. 캐서우드캐나다1.59
1932J. 실리미국1.66
1936I. 차크헝가리1.60
1948A. 코치먼미국1.68
1952E. 브랜드남아프리카공화국1.67
1956M. 맥다니엘미국1.76
1960I. 발라스루마니아1.85
1964I. 발라스루마니아1.90
1968M. 레슈코바체코슬로바키아1.82
1972U. 마이파르트서독1.92
1976R. 아커만동독1.93
1980S. 시메오니이탈리아1.97
1984U. 마이파르트서독2.02
1988L. 리터미국2.03
1992H. 헹켈독일2.02
1996S. 코스타디노바불가리아2.05
2000Ye. 옐레시나러시아2.01
2004Ye. 슬레사렌코러시아2.06 각주197)
멀리뛰기기록(m)
1948V. 디오르모티헝가리5.69
1952Y. 윌리엄스뉴질랜드6.24
1956E. 크제신스카폴란드6.35
1960V. 크렙키나소련6.37
1964M. 랜드영국6.76
1968V. 비스코폴레아누루마니아6.82
1972H. 로젠달서독6.78
1976A. 보이크트동독6.72
1980T. 콜파코바소련7.06
1984A. 스탄치우루마니아6.96
1988J. 조이너 커시미국7.40
1992H. 드레흐슬러독일7.14
1996C. 아준와나이지리아7.12
2000H. 드레흐슬러독일6.99
2004T. 레베데바러시아7.07
원반던지기기록(m)
1928H. 코노파츠카폴란드39.62
1932L. 코필런드미국40.58
1936G. 마우어마이어독일47.63
1948M. 오스테르메예르프랑스41.92
1952N. 로마슈코바소련51.42
1956O. 피코토바체코슬로바키아53.69
1960N. 포노마레바 로마슈코바소련55.10
1964T. 프레스소련57.27
1968L. 마놀리우루마니아58.28
1972F. 멜니크소련66.62
1976E. 슐라크동독69.00
1980E. 얄동독69.96
1984R. 스탈만네덜란드65.36
1988M. 헬만동독72.30
1992M. 마르텐쿠바70.06
1996I. 빌루다독일69.66
2000E. 체레바벨로루시68.40
2004N. 사도바러시아67.02
포환던지기기록(m)
1948M. 오스테르메예
남자
연도 100m기록(초)
1896T. 버크미국12.0
1900F. 자비스미국11.0
1904A. 한미국11.0
1908R. 워커남아프리카공화국10.8
1912R. 크레이그미국10.8
1920C. 패덕미국10.8
1924H. 에이브러햄스영국10.6
1928P. 윌리엄스캐나다10.8
1932E. 톨런미국10.3
1936J. 오언스미국10.3
1948H. 딜라드미국10.3
1952L. 레미지노미국10.4
1956R. 모로미국10.5
1960A. 하리독일 각주198) 10.2
1964R. 헤이스미국10.0
1968J. 하인스미국9.9
1972V. 보르조프소련10.14 각주199)
1976H. 크로퍼드트리니다드10.06
1980A. 웰스영국10.25
1984C. 루이스미국9.99
1988C. 루이스미국9.92
1992L. 크리스티영국9.96
1996D. 베일리캐나다9.84
2000M. 그린미국9.87
2004J. 개틀린미국9.85
연도 200m기록(초)
1900J. 툭스버리미국22.2
1904A. 한미국21.6
1908R. 커캐나다22.6
1912R. 크레이그미국21.7
1920A. 우드링미국22.0
1924J. 스콜즈미국21.6
1928P. 윌리엄스캐나다21.8
1932E. 톨런미국21.2
1936J. 오언스미국20.7
1948M. 패턴미국21.1
1952A. 스탠필드미국20.7
1956R. 모로미국20.6
1960L. 베루티이탈리아20.5
1964H. 카미국20.3
1968T. 스미스미국19.8
1972V. 보르조프소련20.00 각주200)
1976D. 쿼리자메이카20.23
1980P. 멘네아이탈리아20.19
1984C. 루이스미국19.80
1988J. 덜로치미국19.75
1992M. 마시미국20.01
1996M. 존슨미국19.32
2000K. 켄테리스그리스20.09
2004S. 크로포드미국19.79
연도 400m기록(초)
1896T. 버크미국54.2
1900M. 롱미국49.4
1904H. 힐먼미국49.2
1908W. 핼스웰영국50.0
1912C. 리드패스미국48.2
1920B. 루드남아프리카공화국49.6
1924E. 리델영국47.6
1928R. 바부티미국47.8
1932W. 카미국46.2
1936A. 윌리엄스미국46.5
1948A. 윈트자메이카46.2
1952G. 로든자메이카45.9
1956C. 젱킨스미국46.7
1960O. 데이비스미국44.9
1964M. 래러비미국45.1
1968L. 에번스미국43.8
1972V. 매슈스미국44.66 각주201)
1976A. 후안토레나쿠바44.26
1980V. 마르킨소련44.60
1984A. 바버스미국44.27
1988S. 루이스미국43.87
1992Q. 와츠미국43.50
1996M. 존슨미국43.49
2000M. 존슨미국43.84
2004J. 워리너미국44.00
연도 800m기록(분:초)
1896E. 플랙오스트레일리아2:11.0
1900A. 티소영국2:01.2
1904J. 라이트보디미국1:56.0
1908M. 셰퍼드미국1:52.8
1912J. 메러디스미국1:51.9
1920A. 힐영국1:53.4
1924D. 로영국1:52.4
1928D. 로영국1:51.8
1932T. 햄슨영국1:49.7
1936J. 우드러프미국1:52.9
1948M. 휫필드미국1:49.2
1952M. 휫필드미국1:49.2
1956T. 코트니미국1:47.7
1960P. 스넬뉴질랜드1:46.3
1964P. 스넬뉴질랜드1:45.1
1968R. 더벨오스트레일리아1:44.3
1972D. 워틀미국1:45.9
1976A. 후안토레나쿠바1:43.50 각주202)
1980S. 오벳영국1:45.40
1984J. 크루스브라질1:43.00
1988P. 에렝케냐1:43.45
1992W. 타누이케냐1:43.66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N. 슈만독일1:45.08
2004Yu. 보르자코프스키러시아1:44.45
연도 1,500m기록(분:초)
1896E. 플랙오스트레일리아4:33.2
1900C. 베넷영국4:06.2
1904J. 라이트보디미국4:05.4
1908M. 셰퍼드미국4:03.4
1912A. 잭슨영국3:56.8
1920A. 힐영국4:01.8
1924P. 누르미핀란드3:53.6
1928H. 라르바핀란드3:53.2
1932L. 베칼리이탈리아3:51.2
1936J. 러블록뉴질랜드3:47.8
1948H. 에릭손스웨덴3:49.8
1952J. 바르털룩셈부르크3:45.1
1956R. 덜레이니아일랜드3:41.2
1960H. 엘리엇오스트레일리아3:35.6
1964P. 스넬뉴질랜드3:38.1
1968K. 케이노케냐3:34.9
1972P. 바살라핀란드3:36.3
1976J. 워커뉴질랜드3:39.17 각주203)
1980S. 코영국3:38.40
1984S. 코영국3:32.53
1988P. 로노케냐3:35.96
1992F. 카초스페인3:40.12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N. 은게니케냐3:32.07 각주204)
2004H. 엘 게루즈모로코3:34.18
연도 5,000m기록(분:초)
1912H. 콜레흐마이넨핀란드14:36.6
1920J. 기예모프랑스14:55.6
1924P. 누르미핀란드14:31.2
1928V. 리톨라핀란드14:38.0
1932L. 레흐티넨핀란드14:30.0
1936G. 회케트핀란드14:22.2
1948G. 라이프벨기에14:17.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14:06.6
1956V. 쿠츠소련13:39.6
1960M. 핼버그뉴질랜드13:43.4
1964R. 스컬미국13:48.8
1968M. 가무디튀니지14:05.0
1972L. 비렌핀란드13:26.4
1976L. 비렌핀란드13:24.76 각주205)
1980Y. 미루츠에티오피아13:21.00
1984S. 아우이타모로코13:05.59
1988J. 응구기케냐13:11.70
1992D. 바우만독일13:12.52
1996V. 로달노르웨이1:42.58
2000M. 월데에티오피아13:35.49
2004H. 엘 게루즈모로코13:14.39
연도 1만m기록(분:초)
1912H. 콜레흐마이넨핀란드31:20.8
1920P. 누르미핀란드31:45.8
1924V. 리톨라핀란드30:23.2
1928P. 누르미핀란드30:18.8
1932J. 쿠소친스키폴란드30:11.4
1936I. 살미넨핀란드30:15.4
1948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9:59.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9:17.0
1956V.쿠츠소련28:45.6
1960P. 볼로트니코프소련28:32.2
1964W. 밀스미국28:24.4
1968N. 테무케냐29:27.4
1972L. 비렌핀란드27:38.4
1976L. 비렌핀란드27:40.38 각주206)
1980Y. 미루츠에티오피아27:42.70
1984A. 코바이탈리아27:47.54
1988B. 부타이브모로코27:21.46
1992K. 스카모로코27:46.70
1996H. 게브르실라시에에티오피아27:07.34
2000H. 게브르실라시에에티오피아27:18.20
2004K. 베켈레에티오피아27:05.10 각주207)
연도 마라톤기록(시:분:초)
1896S. 루이스그리스2:58:50.0
1900M. 테아토프랑스2:59.45.0
1904T. 힉스미국3:28.53.0
1908J. 헤이즈미국2:55:18.4
1912K. 맥아더남아프리카공화국2:36:54.8
1920H. 콜레흐마이넨핀란드2:32:35.8
1924A. 스텐루스핀란드2:41:22.6
1928A. 엘 와피프랑스2:32:57.0
1932J. 자발라아르헨티나2:31:36.0
1936손기정한국2:29:19.2
1948D. 카브레라아르헨티나2:34:51.6
1952E. 자토페크체코슬로바키아2:23:03.2
1956A. 미문프랑스2:25:00.0
1960A. 비킬라에티오피아2:15:16.2
1964A. 비킬라에티오피아2:12:11.2
1968M. 월데에티오피아2:20:26.4
1972M. 쇼터미국2:12:19.8
1976W. 치르핀스키동독2:09:55.0
1980W. 치르핀스키동독2:11:03.0
1984C. 로페스포르투갈2:09:21.0
1988G. 보르딘이탈리아2:10:32.0
1992황영조한국2:13:23.0
1996J. 투과니남아프리카공화국2:12:36.0
2000G. 아베라에티오피아2:10:11.0
2004S. 발디니이탈리아2:10:55.0
연도 110m 허들기록(초)
1896 각주208) T. 커티스미국17.6
1900A. 크레언즐라인미국15.4
1904F. 스큘미국16.0
1908F. 스미스슨미국15.0
1912F. 켈리미국15.1
1920E. 톰슨캐나다14.8
1924D. 킨지미국15.0
1928S. 앳킨슨남아프리카공화국14.8
1932G. 샐링미국14.6
1936F. 타운스미국14.2
1948W. 포터미국13.9
1952H. 딜러드미국13.7
1956L. 컬훈미국13.5
1960L. 컬훈미국13.8
1964H. 존스미국13.6
1968W. 대번포트미국13.3
1972R. 밀번미국13.24 각주209)
1976G. 드뤼프랑스13.30
1980T. 문켈트동독13.39
1984R. 킹덤미국13.20
1988R. 킹덤미국12.98
1992M. 매코이캐나다13.12
1996A. 존슨미국12.95
2000A. 가르시아쿠바13.00
2004라우시앙중국12.91
연도 400m 허들기록(초)
1900J. 툭수버리미국57.6
1904 각주210) H. 힐먼미국53.0
1908C. 베이컨미국55.0
1920F. 루미스미국54.0
1924F. 테일러미국52.6
1928벌리 경영국53.4
1932R. 티스달아일랜드51.7
1936G. 하딘미국52.4
1948R. 코크런미국51.1
1952C. 무어미국50.8
1956G. 데이비스미국50.1
1960G. 데이비스미국49.3
1964W. 콜리미국49.6
1968D. 헤머리영국48.1
1972J. 아키 부아우간다47.82 각주211)
1976E. 모제스미국47.64
1980V. 베크동독48.70
1984E. 모제스미국47.75
1988A. 필립스미국47.19
1992K. 영미국46.78
1996D. 애드킨스미국47.54
2000A. 테일러미국47.50
2004F. 산체스도미니카공화국47.63
연도 3,000m 장애물경주기록(분:초)
1920P. 호지영국10:00.4
1924V. 리톨라핀란드9:33.6
1928T. 로우콜라핀란드9:21.8
1932V. 이소 홀로핀란드10:33.4 각주212)
1936V. 이소 홀로핀란드9:03.8
1948T. 시외스트란드스웨덴9:04.6
1952H. 애션펠터미국8:45.4
1956C. 브래셔영국8:41.2
1960Z. 크지슈코비아크폴란드8:34.2
1964G. 룰란츠벨기에8:30.8
1968A. 비웟케냐8:51.0
1972K. 케이노케냐8:23.6
1976A. 가르데루드스웨덴8:08.02 각주213)
1980B. 말리노프스키폴란드8:09.70
1984J. 코리르케냐8:11.80
1988J. 카리우키케냐8:05.51
1992M. 비리르케냐8:08.84
1996J. 케터케냐8:07.12
2000R. 코스게이케냐8:21.43
2004E. 켐보이케냐8:05.81
연도4x100m 릴레이 기록(초)
1912영국 42.4
1920미국 42.2
1924미국 41.0
1928미국 41.0
1932미국 40.0
1936미국 39.8
1948미국 40.6
1952미국 40.1
1956미국 39.5
1960독일 각주214) 39.5
1964미국 39.0
1968미국 38.2
1972미국 38.19 각주215)
1976미국 38.33
1980소련 38.26
1984미국 37.83
1988소련 38.19
1992미국 37.40
1996캐나다 37.69
2000미국 37.61
2004영국 38.07
연도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1912미국 3:16.6
1920영국 3:22.2
1924미국 3:16.0
1928미국 3:14.2
1932미국 3:08.2
1936영국 3:09.0
1948미국 3:10.4
1952자메이카 3:03.9
1956미국 3:04.8
1960미국 3:02.2
1964미국 3:00.7
1968미국 2:56.1
1972케냐 2:59.8
1976미국 2:58.65 각주216)
1980소련 3:01.1
1984미국 2:57.91
1988미국 2:56.16
1992미국 2:55.74
1996미국 2:55.99
2000미국 2:56.35
2004미국 2:55.91
연도 2만m 경보기록(시:분:초)
1956L. 스피린소련1:31:27.4
1960V. 골루프니치소련1:34:07.2
1964K. 매튜스영국1:29:34.0
1968V. 골루프니치소련1:33:58.4
1972P. 프렝켈동독1:26:42.6
1976D. 바우티스타멕시코1:24:40.6
1980M. 다밀라노이탈리아1:23:35.5
1984E. 칸토멕시코1:23:13.0
1988J. 프리빌리네츠체코슬로바키아1:19:57.0
1992D. 플라사 몬테로스페인1:21:45.0
1996J. 페레스에콰도르1:20:07.0
2000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1:18:59.0 각주217)
2004I. 브루녜티이탈리아1:19:40
연도 5만m 경보 각주218) 기록(시:분:초)
1932T. 그린영국4:50:10.0
1936H. 휫록영국4:30:41.4
1948J. 융그렌스웨덴4:41:52.0
1952G. 도르도니이탈리아4:28:07.8
1956N. 리드뉴질랜드4:30:42.8
1960D. 톰슨영국4:25:30.0
1964A. 파미크이탈리아4:11:12.4
1968C. 호네동독4:20:13.6
1972B. 카넨베르크서독3:56:11.6
1980H. 가우더동독3:49:24.0
1984R. 곤살레스멕시코3:47:26.0
1988V. 이바넨코소련3:38:29.0
1992A. 페를로프독립국가연합 각주219) 3:50:13.0
1996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43:30.0
2000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42:22.0
2004R. 코제니오프스키폴란드3:38:46.0
연도 높이뛰기기록(m)
1896E. 클라크미국1.81
1900I. 백스터미국1.90
1904S. 존스미국1.80
1908H. 포터미국1.90
1912A. 리처즈미국1.93
1920R. 랜던미국1.93
1924H. 오즈번미국1.98
1928R. 킹미국1.94
1932D. 맥노턴캐나다1.97
1936C. 존슨미국2.03
1948J. 윈터오스트레일리아1.98
1952W. 데이비스미국2.04
1956C. 뒤마미국2.12
1960R. 샤블라카제소련2.16
1964V. 브루멜소련2.18
1968R. 포즈버리미국2.24
1972Yu. 타르마크소련2.23
1976J. 프숄라폴란드2.25
1980G. 베시크동독2.36
1984D. 뫼겐부르크서독2.35
1988G. 아브덴코소련2.38
1992J. 소토마요르쿠바2.34
1996C. 어스틴미국2.39
2000S. 클류긴러시아2.35
2004S. 홀름스웨덴2.36
연도 장대높이뛰기기록(m)
1896W. 호이트미국3.30
1900I. 백스터미국3.30
1904C. 드보락미국3.50
1908E. 쿠크 A. 길버트(동점)미국3.71
1912H. 배브콕미국3.95
1920F. 포스미국4.09
1924L. 반스미국3.95
1928S. 카미국4.20
1932W. 밀러미국4.31
1936E. 메도스미국4.35
1948O. 스미스미국4.30
1952R. 리처즈미국4.55
1956R. 리처즈미국4.56
1960D. 브래그미국4.70
1964F. 핸슨미국5.10
1968B. 시그렌미국5.40
1972W. 노르트비히동독5.50
1976T. 슬루사르스키폴란드5.50
1980W. 코자키에비치폴란드5.78
1984P. 키농프랑스5.75
1988S. 부프카소련5.90
1992M. 타라소프독립국가연합 각주220) 5.80
1996J. 갈푠느프랑스5.92
2000N. 하이송미국5.90
2004T. 맥미국5.95 각주221)
연도 멀리뛰기기록(m)
1896E. 클라크미국6.35
1900A. 크레언즐라인미국7.18
1904M. 프린스타인미국7.34
1908F. 아이언스미국7.48
1912A. 구터슨미국7.60
1920W. 페터슨스웨덴7.15
1924H. 드 허버드미국7.44
1928E. 햄미국7.73
1932E. 고든미국7.64
1936J. 오언스미국8.06
1948W. 스틸미국7.82
1952J. 비플미국7.57
1956G. 벨미국7.83
1960R. 보스턴미국8.12
1964L. 데이비스영국8.07
1968R. 비몬미국8.90
1972R. 윌리엄스미국8.24
1976A. 로빈슨미국8.35
1980L. 돔브로프스키동독8.54
1984C. 루이스미국8.54
1988C. 루이스미국8.72
1992C. 루이스미국8.67
1996C. 루이스미국8.50
2000I. 페드로소쿠바8.55
2004D. 필립스미국8.59
연도 포환던지기기록(m)
1896R. 개럿미국11.22
1900R. 셸던미국14.10
1904R. 로즈미국14.81
1908R. 로즈미국14.21
1912R. 맥도널드미국15.34
1920V. 푀르횔레핀란드14.81
1924C. 하우저미국14.99
1928J. 쿡미국15.87
1932L. 섹스턴미국16.00
1936H. 뵐케독일16.20
1948W. 톰슨미국17.12
1952P. 오브라이언미국17.41
1956P. 오브라이언미국18.57
1960W. 니더미국19.68
1964D. 롱미국20.33
1968R. 맷슨미국20.54
1972W. 코마르폴란드21.18
1976U. 바이어동독21.05
1980V. 키젤료프소련21.35
1984A. 안드레이이탈리아21.26
1988U. 티머만동독22.47
1992M. 스털스미국21.70
1996C. 루이스미국8.50
2000A. 하르유핀란드21.29
2004Yu. 빌로노그우크라이나21.16
연도 원반던지기기록(m)
1896R. 개럿미국29.15
1900R. 보우에르헝가리36.04
1904M. 셰리든미국39.28
1908M. 셰리든미국40.89
1912A. 타이팔레핀란드45.21
1920E. 니클란데르핀란드44.68
1924C. 하우저미국46.15
1928C. 하우저미국47.32
1932J. 앤더슨미국49.49
1936K. 카펜터미국50.48
1948A. 콘솔리니이탈리아52.78
1952S. 이네스미국55.03
1956A. 오터미국56.36
1960A. 오터미국59.18
1964A. 오터미국61.00
1968A. 오터미국64.78
1972L. 다네크체코슬로바키아64.40
1976M. 윌킨스미국67.50
1980V. 리사추프킨소련66.64
1984R. 다네베르크서독66.60
1988J. 슐트동독68.82
1992R. 우바르타스리투아니아65.12
1996L. 리델독일69.40
2000V. 알렉크나리투아니아69.30
2004V. 알렉크나리투아니아69.89 각주222)
연도 창던지기기록(m)
1908E. 레밍스웨덴54.83
1912E. 레밍스웨덴60.64
1920J. 뮈이레핀란드65.78
1924J. 뮈이레핀란드62.96
1928E. 룬드크비스트스웨덴66.60
1932M. 예르비넨핀란드72.71
1936G. 슈퇴크독일71.84
1948T. 라우타바라핀란드69.77
1952C. 영미국73.78
1956E. 다니엘손노르웨이85.71
1960V. 치불렌코소련84.64
1964P. 네발라핀란드82.66
1968Ya. 루시스소련90.10
1972K. 볼페르만서독90.48
1976M. 네메트헝가리94.58
1980D. 쿨라소련91.20
1984A. 하이에르코에넨핀란드86.76
1988T. 코류스핀란드84.28
1992J. 젤레즈니체코슬로바키아89.66
1996J. 젤레즈니체크88.16
2000J. 젤레즈니체크90.17
2004A. 토르킬센노르웨이86.50
연도 10종경기
1912J. 소프 미국 각주223)
 H. 비슬란데르 스웨덴
1920H. 뢰블란 노르웨이
1924H. 오즈번 미국
1928P. 위리욀레 핀란드
1932J. 보시 미국
1936G. 모리스 미국
1948R. 매시아스 미국
1952R. 매시아스 미국
1956M. 캠벨 미국
1960R. 존슨 미국
1964W. 홀도르프 독일 각주224)
1968W. 투메이 미국
1972N. 아빌로프 소련
1976B. 제너 미국
1980D. 톰슨 영국
1984D. 톰슨 영국
1988C. 솅크 동독
1992R. 즈멜리크 체코슬로바키아
1996D. 오브라이언 미국
2000E. 눌 에스토니아
2004R. 세브를레 체크
여자
연도 100m기록(초)
1928E. 로빈슨미국12.2
1932S. 발라셰비치폴란드11.9
1936H. 스티번스미국11.5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11.9
1952M. 잭슨오스트레일리아11.5
1956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11.5
1960W. 루돌프미국11.0
1964W. 타이우스미국11.4
1968W. 타이우스미국11.0
1972R. 슈테허동독11.07 각주225)
1976A. 리히터서독11.08
1980L. 콘드라티예바소련11.06
1984E. 애슈퍼드미국10.97
1988F. 그리피스 조이너미국10.54
1992G. 데버스미국10.82
1996G. 데버스미국10.94
2000M. 존스미국10.75
2004Yu. 네스테렌코벨로루시10.93
연도 200m기록(초)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24.4
1952M. 잭슨오스트레일리아23.7
1956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23.4
1960W. 루돌프미국24.0
1964E. 맥과이어미국23.0
1968I. 셰빈스카폴란드22.5
1972R. 슈테허동독22.40 각주226)
1976B. 에케르트동독22.37
1980B. 에케르트 보켈동독22.03
1984V. 브리스코 훅스미국21.81
1988F. 그리피스 조이너미국21.34
1992G. 토런스미국21.81
1996M.-J. 페레크프랑스22.12
2000M. 존스미국21.84
2004V. 캠프벨자메이카22.05
연도 400m기록(초)
1964B. 커스버트오스트레일리아52.0
1968C. 베송프랑스52.0
1972M. 체르트동독51.08 각주227)
1976I. 셰빈스카폴란드49.29
1980M. 코흐동독48.88
1984V. 브리스코 훅스미국48.83
1988O. 브리즈구이나소련48.65
1992M. -J. 페레크프랑스48.83
1996M. -J. 페레크프랑스48.25
2000C. 프리먼오스트레일리아49.11
2004T. 윌리엄스-달링바하마49.41
연도 800m기록(분:초)
1928L. 라트케 바차우어독일2:16.8
1960L. 리센코 셰프초바소련2:04.3
1964A. 패커영국2:01.1
1968M. 매닝미국2:00.9
1972H. 팔크서독1:58.6
1976T. 카잔키나소련1:54.94 각주228)
1980N. 올리자렌코소련1:53.50
1984D. 멜린테루마니아1:57.60
1988S. 보다르스동독1:56.10
1992E. 반 랑겐네덜란드1:55.54
1996S. 마스테르코바러시아연방1:57.73
2000M. 무톨라모잠비크1:56.15
2004K. 홈스영국1:56.38
연도 1,500m기록(분:초)
1972L. 브라기나소련4:01.4
1976T. 카란키나소련4:05.48 각주229)
1980T. 카란키나소련3:56.60
1984G. 도리오이탈리아4:03.25
1988P. 이반루마니아3:53.96
1992H. 부메르카알제리3:55.30
1996S. 마스테르코바러시아연방4:00.83
2000N. 메라-베니다알제리4:05.10
2004K. 홈스영국3:57.90
연도 3,000m 각주230) 기록(분:초)
1984M. 푸이카루마니아8:35.96
1988T. 사몰렌코소련8:26.53
1992Y. 로마노바독립국가연합 각주231) 8:46.04
연도 5,000m기록(분:초)
1996J. 왕중국14:59.88
2000G. 자보루마니아14:40.79 각주232)
2004M. 데파르에티오피아14:45.65
연도 1만m기록(분:초)
1988O. 본다렌코소련31:05.21
1992D. 툴루에티오피아31:06.02
1996F. 리베이로포르투갈31:01.63
2000D. 툴루에티오피아30:17.49 각주233)
2004싱후이나중국30:24.36
연도 마라톤기록(시:분:초)
1984J. 베노이트미국2:24:52.0
1988R. 모타포르투갈2:25:40.0
1992V. 예고로바독립국가연합 각주234) 2:32:41.0
1996F. 로바에티오피아2:26:05.0
2000다카하시 나오코일본2:23:14.0 각주235)
2004노구치 미즈키일본2:26:20.0
연도4x100m 릴레이 기록(초)
1928캐나다 48.4
1932미국 47.0
1936미국 46.9
1948네덜란드 47.5
1952미국 45.9
1956오스트레일리아 44.5
1960미국 44.5
1964폴란드 43.6
1968미국 42.8
1972서독 42.81 각주236)
1976동독 42.55
1980동독 41.60
1984미국 41.65
1988미국 41.98
1992미국 42.11
1996미국 41.95
2000바하마 41.95
2004자메이카 41.73
연도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1972동독 3:23.0
1976동독 3:19.23 각주237)
1980소련 3:20.2
1984미국 3:18.29
1988소련 3:15.18
1992독립국가연합 각주238) 3:20.20
1996미국 3:20.91
2000미국 3:22.62
2004미국 3:19.01
연도 80m 허들(1972년 이후 100m)기록(초)
1932M. 디드릭슨미국11.7
1936T. 발라이탈리아11.7
1948F. 블랑케르스 쿤네덜란드11.2
1952S. 스트리클런드 드 라 헌티오스트레일리아10.9
1956S. 스트리클런드 드 라 헌티오스트레일리아10.7
1960I. 프레스소련10.8
1964K. 발처독일 각주239) 10.5
1968M. 케어드오스트레일리아10.3
1972A. 에어하르트동독12.59 각주240)
1976J. 샬러동독12.77
1980V. 코미소바소련12.56
1984B. 피츠제럴드 브라운미국12.84
1988J. 돈코바불가리아12.38
1992P. 파툴리두그리스12.64
1996L. 엥퀴스트스웨덴12.58
2000O. 시시기나카자흐스탄12.65
2004J. 헤이스미국12.37 각주241)
연도 400m 허들기록(초)
1984N. 엘 무타와켈모로코54.61
1988D. 플린토프 킹오스트레일리아53.17
1992S. 거넬영국53.23
1996D. 헤밍스자메이카52.82
2000I. 프리발로바러시아53.02
2004F. 할키아그리스52.82
연도 1만m 경보(2000년부터 2만m 경보로 바뀜)기록(분:초)
1992Y. 천중국44:32
1996Y. 니콜라예바러시아연방41:49
연도 2만m 경보(2000년부터 신설)기록(분:초)
2000왕리핑중국1:29:05
2004A. 추멜레카그리스1:29:12
연도 3단 뛰기기록(m)
1996I. 크라베츠우크라이나15.33
2000T. 마리노바불가리아15.20
2004F. 음방고 에토네카메룬15.30
연도 높이뛰기기록(m)
1928E. 캐서우드캐나다1.59
1932J. 실리미국1.66
1936I. 차크헝가리1.60
1948A. 코치먼미국1.68
1952E. 브랜드남아프리카공화국1.67
1956M. 맥다니엘미국1.76
1960I. 발라스루마니아1.85
1964I. 발라스루마니아1.90
1968M. 레슈코바체코슬로바키아1.82
1972U. 마이파르트서독1.92
1976R. 아커만동독1.93
1980S. 시메오니이탈리아1.97
1984U. 마이파르트서독2.02
1988L. 리터미국2.03
1992H. 헹켈독일2.02
1996S. 코스타디노바불가리아2.05
2000Ye. 옐레시나러시아2.01
2004Ye. 슬레사렌코러시아2.06 각주242)
연도 멀리뛰기기록(m)
1948V. 디오르모티헝가리5.69
1952Y. 윌리엄스뉴질랜드6.24
1956E. 크제신스카폴란드6.35
1960V. 크렙키나소련6.37
1964M. 랜드영국6.76
1968V. 비스코폴레아누루마니아6.82
1972H. 로젠달서독6.78
1976A. 보이크트동독6.72
1980T. 콜파코바소련7.06
1984A. 스탄치우루마니아6.96
1988J. 조이너 커시미국7.40
1992H. 드레흐슬러독일7.14
1996C. 아준와나이지리아7.12
2000H. 드레흐슬러독일6.99
2004T. 레베데바러시아7.07
연도 원반던지기기록(m)
1928H. 코노파츠카폴란드39.62
1932L. 코필런드미국40.58
1936G. 마우어마이어독일47.63
1948M. 오스테르메예르프랑스41.92
1952N. 로마슈코바소련51.42
1956O. 피코토바체코슬로바키아53.69
1960N. 포노마레바 로마슈코바소련55.10
1964T. 프레스소련57.27
1968L. 마놀리우루마니아58.28
1972F. 멜니크소련66.62
1976E. 슐라크동독69.00
1980E. 얄동독69.96
1984R. 스탈만네덜란드65.36
1988M. 헬만동독72.30
1992M. 마르텐쿠바70.06
1996I. 빌루다독일69.66
2000E. 체레바벨로루시68.40
2004N. 사도바러시아67.02
연도 포환던지기기록(m)
1948M. 오스테르메예르프랑스13.75
1952G. 지비나소련15.28
1956T. 티슈케비치소련16.59
1960T. 프레스소련17.32
1964T. 프레스소련18.14
1968M. 구멜동독19.61
1972N. 치조바소련21.03
1976I. 크리스토바불가리아21.16
1980I. 슬루피아네크동독22.41
1984C. 로슈서독20.48
1988N. 리소프스카야소련22.24
1992S. 크리발레바독립국가연합 각주243) 21.06
1996A. 쿰베르누스독일20.56
2000Ya. 코롤치크벨로루시20.56
2004Y. 쿰바쿠바19.59
연도 창던지기기록(m)
1932M. 디드릭슨미국43.68
1936T. 플라이셔독일45.18
1948H. 바우마오스트리아45.57
1952D. 자토프코바체코슬로바키아50.47
1956I. 야운제메소련53.86
1960E. 오졸리나소련55.98
1964M. 페네스루마니아60.54
1968A. 네메트헝가리60.36
1972R. 푹스동독63.88
1976R. 푹스동독65.94
1980M. 콜론쿠바68.40
1984T. 샌더슨영국69.56
1988P. 펠케동독74.68
1992S. 렝크독일68.34
1996H. 란타넨핀란드67.94
2000T. 하테스타트노르웨이68.91
2004O. 메넨데스쿠바71.53 각주244)
연도 5종경기(1984년 이후 7종경기)
1964I. 프레스 소련
1968I. 베커 서독
1972M. 피터스 영국
1976S. 지글 동독
1980N. 트카첸코 소련
1984G. 넌 오스트레일리아
1988J. 조이너 커시 미국
1992J. 조이너 커시 미국
1996G. 소우아 시리아
2000D. 루이스 영국
2004C. 클뤼프트 스웨덴
올림픽 대회 육상 우승 (1896~2004)
연도 100m 기록(초)
2008 U. 볼트 자메이카 9.69
2012 U. 볼트 자메이카 9.63
2016 U. 볼트 자메이카 9.81
연도 200m 기록(초)
2008 U. 볼트 자메이카 19.3
2012 U. 볼트 자메이카 19.32
2016 U. 볼트 자메이카 19.78
연도 400m 기록(초)
2008 L. 메리트 미국 43.75
2012 K. 제임스 그레나다 43.94
2016 W. 반 니에커크 남아프리카공화국 43.03
연도 800m 기록(분:초)
2008 W. 분게이 케냐 01:44.7
2012 D. 루디샤 케냐 01:40.9
2016 D. 루디샤 케냐 01:42.2
연도 1,500m 기록(분:초)
2008 A. 키프로프 케냐 03:33.1
2012 T. 마클로우피 알제리 03:34.1
2016 M. 센트로위츠 미국 03:50.0
연도 5,000m 기록(분:초)
2008 K. 베켈레 에티오피아 12:57.8
2012 M. 파라 영국 13:41.7
2016 M. 파라 영국 13:03.3
연도 10,000m 기록(분:초)
2008 K. 베켈레 에티오피아 27:01.2
2012 M. 파라 영국 27:30.4
2016 M. 파라 영국 27:05.2
연도 마라톤 기록(시:분:초)
2008 S. 완지루 케냐 2:06:32
2012 S. 키프로티치 우간다 2:08:01
2016 E. 로티크 케냐 2:08:44
연도 110m 허들 기록(초)
2008 D. 로블레스 쿠바 12.93
2012 A. 메리트 미국 12.92
2016 O. 멕클레오드 자메이카 13.05
연도 400m 허들 기록(초)
2008 A. 타일러 미국 47.25
2012 F. 산체즈 도미니카공화국 47.63
2016 K. 클레멘트 미국 47.73
연도 3,000m 장애물경주 기록(분:초)
2008 B. 키프루토 케냐 08:10.3
2012 E. 켐보이 케냐 08:18.6
2016 C. 키프루토 케냐 08:03.3
연도 4X100m 릴레이 기록(초)
2008 - -
2012 자메이카 36.84
2016 자메이카 37.27
연도 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2008 미국 02:55.4
2012 바하마 02:56.7
2016 미국 -
연도 20,000m 경보 기록(시:분:초)
2008 V. 보쉰 러시아 1:19:01
2012 딩 C. 중국 1:18:46
2016 젠 W. 중국 1:19:14
연도 50,000m 경보 기록(시:분:초)
2008 A. 슈와제르 이탈리아 3:37:09
2012 J. 탤런트 호주 3:36:53
2016 M. 토트 슬로바키아 3:40:58
연도 높이뛰기 기록(m)
2008 A. 실노브 러시아 2.36
2012 I. 우코브 러시아 2.38
2016 D. 드로우인 캐나다 2.38
연도 장대높이뛰기 기록(m)
2008 S. 후커 호주 5.96
2012 R. 라빌레니에 프랑스 5.97
2016 T. 다 실바 브라질 6.03
연도 멀리뛰기 기록(m)
2008 I. 살라디노 파나마 8.34
2012 G. 루더포드 영국 8.31
2016 J. 핸더슨 미국 8.38
연도 3단 뛰기 기록(m)
2008 N. 이보라 포르투갈 17.67
2012 C. 타일러 미국 17.81
2016 C. 타일러 미국 17.86
연도 포환던지기 기록(m)
2008 T. 마저스키 폴란드 21.51
2012 T. 마저스키 폴란드 21.89
2016 R. 크라우저 미국 22.52
연도 원반던지기 기록(m)
2008 G. 칸터 에스토니아 68.82
2012 R. 하팅 독일 68.27
2016 C. 하팅 독일 68.37
연도 창던지기 기록(m)
2008 A. 토르킬드센 노르웨이 90.57
2012 K. 왈코트 트리니다드토바고 84.58
2016 T. 롤러 독일 -
연도 해머던지기 기록(m)
2008 P. 코즈무스 슬로베니아 82.02
2012 K. 파스 헝가리 80.59
2016 D. 나자로브 타지키스탄 78.68
연도 10종경기 -
2008 B. 클레이 미국 -
2012 A. 이튼 미국 -
2016 A. 이튼 미국 -
올림픽 대회 육상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100m 기록(초)
2008 S. 프레이저 프라이스 자메이카 10.78
2012 S. 프레이저 프라이스 자메이카 10.75
2016 E. 톰슨 자메이카 10.71
연도 200m 기록(초)
2008 V. 캠프벨 브라운 자메이카 21.74
2012 A. 펠릭스 미국 21.88
2016 E. 톰슨 자메이카 21.78
연도 400m 기록(초)
2008 C. 오후루오구 영국 49.62
2012 S. 리차즈 로즈 미국 49.55
2016 S. 밀러 바하마 49.44
연도 800m 기록(분:초)
2008 P. 젤리모 케냐 01:54.9
2012 M. 사비노바 러시아 01:56.2
2016 C. 세멘야 남아프리카공화국 01:55.3
연도 1,500m 기록(분:초)
2008 N. 라가트 케냐 04:00.2
2012 M. 자말 바레인 04:10.7
2016 F. 키프예곤 케냐 04:08.9
연도 3,000m 기록(분:초)
2008 T. 디바바 에티오피아 15:41.4
2012 M. 디파 에티오피아 15:04.3
2016 V. 체루이요트 케냐 14:26.2
연도 10,000m 기록(분:초)
2008 T. 디바바 에티오피아 29:54.7
2012 T. 디바바 에티오피아 30:20.8
2016 A. 아야나 에티오피아 29:17.4
연도 마라톤 기록(시:분:초)
2008 C. 토메스쿠 루마니아 2:26:44
2012 T. 젤라나 에티오피아 2:23:07
2016 J. 숨공 케냐 2:24:04
연도 4X100m 릴레이 기록(초)
2008 벨기에 42.54
2012 미국 40.82
2016 미국 41.01
연도 4X400m 릴레이 기록(분:초)
2008 미국 03:18.5
2012 미국 03:16.9
2016 미국 -
연도 3,000m 장애물경주 기록(분:초)
2008 G. 사미토바 러시아 08:58.8
2012 H. 그리비 튀니지 09:08.4
2016 R. 제베트 바레인 08:59.8
연도 100m 허들 기록(초)
2008 D. 하퍼 미국 12.54
2012 S. 피어슨 호주 12.35
2016 B. 롤린스 미국 12.48
연도 400m 허들 기록(초)
2008 M. 워커 자메이카 52.64
2012 N. 안튜크 러시아 52.7
2016 D. 무하마드 미국 53.13
연도 20,000m 경보 기록(시:분:초)
2008 O. 카니스키나 러시아 1:26:31
2012 E. 라쉬마노바 러시아 1:25:02
2016 홍 L. 중국 1:28:35
연도 3단 뛰기 기록(m)
2008 F. 엠반고 이톤 카메룬 15.39
2012 O. 라이파코바 카자흐스탄 14.98
2016 C. 이바구엔 콜롬비아 15.17
연도 높이뛰기 기록(m)
2008 T. 헬레바우트 벨기에 2.05
2012 A. 치체로바 러시아 2.05
2016 R. 베이티아 스페인 -
연도 멀리뛰기 기록(m)
2008 M. 마기 브라질 7.04
2012 B. 리즈 미국 7.12
2016 T. 바톨레타 미국 7.17
연도 장대높이뛰기 기록(m)
2008 Y. 이신바에바 러시아 5.05
2012 J. 슈 미국 4.75
2016 E. 스테파니디 그리스 4.85
연도 원반던지기 기록(m)
2008 S. 브라운 트라프톤 미국 64.74
2012 S. 퍼코빅 크로아티아 69.11
2016 S. 퍼코빅 크로아티아 69.21
연도 포환던지기 기록(m)
2008 V. 아담스 뉴질랜드 20.56
2012 V. 아담스 뉴질랜드 20.7
2016 M. 카터 미국 20.63
연도 해머던지기 기록(m)
2008 Y. 모레노 쿠바 75.2
2012 A. 울로다르치크 폴란드 77.6
2016 A. 울로다르치크 폴란드 82.29
연도 창던지기 기록(m)
2008 B. 스포타코바 체코 71.42
2012 B. 스포타코바 체코 69.55
2016 S. 콜락 크로아티아 66.18
연도 7종경기 -
2008 N. 도브라인스카 우크라이나 -
2012 J. 에니스 힐 영국 -
2016 N. 타이암 벨기에 -
올림픽 대회 육상 (여자) 우승 (2008~2016)
남자 각주245)
연도 싱글 스컬기록(분:초)
1900M. 바를레 프랑스7:35.6
1904F. 그리어 미국10:08.5
1908H. 블랙스태프 영국9:26.0
1912W. 키니어 영국7:47.6
1920J. 켈리 미국7:35.0
1924J. 베리즈퍼드 영국7:49.2
1928H. 피어스 오스트레일리아7:11.0
1932H. 피어스 오스트레일리아7:44.4
1936G. 셰퍼 독일8:21.5
1948M. 우드 오스트레일리아7:24.4
1952Y. 튜칼로프 소련8:12.8
1956V. 이바노프 소련8:02.5
1960V. 이바노프 소련7:13.96
1964V. 이바노프 소련8:22.51
1968A. 웨이네세 네덜란드7:47.80
1972Yu. 말리셰프 소련7:10.12
1976P. 카르피넨 핀란드7:29.03
1980P. 카르피넨 핀란드7:09.61
1984P. 카르피넨 핀란드7:00.24
1988T. 랑게 동독6:49.86
1992T. 랑게 독일6:51.40
1996X. 무엘러 스위스6:44.85
2000R. 와델 뉴질랜드6:48.90
2004O. 투프테 노르웨이6:49.30
연도더블 스컬기록(분:초)포 스컬기록(분:초)
1904미국10:03.2--
1920미국7:09.0--
1924미국6:34.0--
1928미국6:41.4--
1932미국7:17.4--
1936영국7:20.8--
1948영국6:51.3--
1952아르헨티나7:32.2--
1956소련7:24.0--
1960체코슬로바키아6:47.50--
1964소련7:10.66--
1968소련6:51.82--
1972소련7:01.77--
1976노르웨이7:13.20동독6:18.65
1980동독6:24.33동독5:49.81
1984미국6:36.87서독5:57.55
1988네덜란드6:21.13이탈리아5:53.37
1992오스트레일리아6:17.32독일5:45.17
1996이탈리아6:16.98독일5:56.93
2000슬로베니아6:16.63이탈리아5:45.56
2004프랑스6:29.00러시아5:56.85
연도경량급무타포기록(분:초)경량급더블스컬기록(분:초)
1996덴마크6:09.58스위스6:23.47
2000프랑스6:01.68폴란드6:21.75
2004덴마크6:01.39폴란드6:20.93
연도무타 페어기록(분:초)유타 페어 각주246) 기록(분:초)
1900--네덜란드7:34.2
1904미국10:57.0--
1908영국9:41.0--
1920--이탈리아7:56.0
1924네덜란드8:19.4스위스8:39.0
1928독일7:06.4스위스7:42.6
1932영국8:00.0미국8:25.8
1936독일8:16.1독일8:36.9
1948영국7:21.1덴마크8:00.5
1952미국8:20.7프랑스8:28.6
1956미국7:55.4미국8:26.1
1960소련7:02.01독일 각주247) 7:29.14
1964캐나다7:32.94미국8:21.23
1968동독7:26.56이탈리아8:04.81
1972동독6:53.16동독7:17.25
1976동독7:23.31동독7:58.99
1980동독6:48.01동독7:02.54
1984루마니아6:45.39이탈리아7:05.99
1988영국6:36.84이탈리아6:58.79
1992영국6:27.72영국6:49.83
1996영국6:20.09--
2000프랑스6:32.97--
2004오스트레일리아6:30.76--
연도무타 포기록(분:초)유타 포 각주248) 기록(분:초)
1900프랑스7:11.0독일5:59.0
1904미국9:53.8--
1908영국8:34.0--
1912--독일6:59.4
1920영국7:08.6스위스6:54.0
1924--스위스7:18.4
1928영국6:36.0이탈리아6:47.8
1932영국6:58.2독일7:19.0
1936독일7:01.8독일7:16.2
1948이탈리아6:39.0미국6:50.3
1952유고슬라비아7:16.0체코슬로바키아7:33.4
1956캐나다7:08.8이탈리아7:19.4
1960미국6:26.26독일 각주249) 6:39.12
1964덴마크6:59.30독일 각주250) 7:00.44
1968동독6:39.18뉴질랜드6:45.62
1972동독6:24.27서독6:31.85
1976동독6:37.42소련6:40.22
1980동독6:08.17동독6:14.51
1984뉴질랜드6:03.48영국6:18.64
1988동독6:03.11동독6:10.74
1992오스트레일리아5:55.04루마니아5:59.37
1996오스트레일리아6:06.37--
2000영국5:56.24--
2004영국6:06.98--
연도에이트(8인조) 기록(분:초)
1900미국 6:09.8
1904미국 7:50.0
1908영국 7:52.0
1912영국 6:15.0
1920미국 6:02.6
1924미국 6:33.4
1928미국 6:03.2
1932미국 6:37.6
1936미국 6:25.4
1948미국 5:56.7
1952미국 6:25.9
1956미국 6:35.2
1960독일 각주251) 5:57.18
1964미국 6:18.23
1968서독 6:07.00
1972뉴질랜드 6:08.94
1976동독 5:58.29
1980동독 5:49.05
1984캐나다 5:41.32
1988서독 5:46.05
1992캐나다 5:29.53
1996네덜란드 5:42.74
2000영국 5:33.08
2004미국 5:42.48
여자 각주252)
연도 싱글 스컬 기록(분:초)
1976C. 샤이블리히동독 4:05.56
1980S. 토마루마니아 3:40.69
1984V. 라칠라루마니아 3:40.68
1988J. 베렌트동독 7:47.19
1992E. 리파루마니아 7:25.54
1996Y. 호도토비치벨로루시 7:32.21
2000Ye. 카르스텐벨로루시 7:28.14
2004K. 루츠코프-스톰포로프스키독일 7:18.12
연도더블 스컬기록(분:초)포 스컬기록(분:초)
1976불가리아3:44.36동독3:29.99
1980소련3:16.27동독3:15.32
1984루마니아3:26.75루마니아3:14.11
1988동독7:00.48동독6:21.06
1992독일6:49.00독일6:20.18
1996캐나다6:56.84독일6:27.44
2000독일6:55.44독일6:19.58
2004뉴질랜드7:01.79독일6:29.29
연도무타 페어기록(분:초)유타 포 각주253) 기록(분:초)
1976불가리아4:01.22동독3:45.08
1980동독3:30.49동독3:19.27
1984루마니아3:32.60루마니아3:19.30
1988루마니아7:28.13동독6:56.00
1992캐나다7:06.22캐나다 각주254) 6:30.85
1996오스트레일리아7:01.39--
2000루마니아7:11.00--
2004루마니아7:06.55--
연도에이트(8인조)기록(분:초)경량급더블스컬기록(분:초)
1976동독3:33.2--
1980동독3:03.32--
1984미국2:59.80--
1988동독6:15.17--
1992캐나다6:02.62--
1996루마니아6:19.73루마니아7:12.78
2000루마니아6:06.44루마니아7:02.64
2004루마니아6:17.70루마니아6:56.05
올림픽 대회 조정 우승 (1900~2004)
연도 싱글 스컬 더블
2008 O. 투프테 노르웨이 호주
2012 M. 드라이스데일 뉴질랜드 뉴질랜드
2016 M. 드라이스데일 뉴질랜드 크로아티아
연도 포 스컬 경량급무타포
2008 폴란드 덴마크
2012 독일 남아프리카공화국
2016 독일 스위스
연도 경량급더블스컬 무타 페어
2008 영국 호주
2012 덴마크 뉴질랜드
2016 프랑스 뉴질랜드
연도 무타포 에이트(8인조)
2008 영국 캐나다
2012 영국 독일
2016 영국 영국
올림픽 대회 조정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싱글 스컬 더블
2008 R. 네이코바 불가리아 뉴질랜드
2012 M. 크나프코바 체코 영국
2016 K. 브렌난 호주 폴란드
연도 포 스컬 경량급더블스컬
2008 중국 네덜란드
2012 우크라이나 영국
2016 독일 네덜란드
연도 무타 페어 에이트(8인조)
2008 루마니아 미국
2012 영국 미국
2016 영국 미국
올림픽 대회 조정 (여자) 우승 (2008~2016)
남자
개인종합 단체종합
1900S. 산드라프랑스 -
1904J. 렌하트미국 -
1908A. 브랄리아이탈리아 -
1912A. 브랄리아이탈리아 -
1920G. 참포리이탈리아 이탈리아
1924L. 스투켈리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28G. 미츠스위스 스위스
1932R. 네리이탈리아 이탈리아
1936A. 슈바르츠만독일 독일
1948V. 후타넨핀란드 핀란드
1952V. 추카린소련 소련
1956V. 추카린소련 소련
1960B. 샤흘린소련 일본
1964엔도 Y.일본 일본
1968가토 S.일본 일본
1972가토 S.일본 일본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 일본
1980A. 디탸틴소련 소련
1984구시켄 K.일본 미국
1988V. 아르테모프소련 소련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55) 독립국가연합 각주256)
1996X. 리중국 러시아연방
2000A. 네모프러시아 중국
2004P. 햄미국 일본
마루운동 철봉
1896-- H. 바인게르트너독일
1904-- A. 하이다 E. 헤닝(동점)미국
1924-- L. 스투켈리유고슬라비아
1928-- G. 미츠스위스
1932I. 펠레헝가리 D. 빅슬러미국
1936G. 미츠스위스 A. 사르발라핀란드
1948F. 포토키헝가리 J. 슈탈데어스위스
1952K. 토레손스웨덴 J. 퀸타르트스위스
1956V. 무라토프소련 오노 T.일본
1960아아하라 N.일본 오노 T.일본
1964F. 메니첼리이탈리아 B. 샤흘린소련
1968가토 S.일본 M. 보로닌 니카야마 A.(동점)소련 일본
1972N. 안드리아노프소련 쓰카하라 M.일본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 쓰카하라 M.일본
1980R. 부루크너동독 S. 델체프불가리아
1984N. 리중국 모리수에 S.일본
1988S. 하리코프소련 V. 아르테모프 L. 류킨(동점)소련
1992X. 리중국 T. 다이머스미국
1996I. 멜리사니디스그리스 A. 베커독일
2000I. 비흐로프스라트비아 A. 네모프러시아
2004K. 슈펠트캐나다 I. 카시나이탈리아
평행봉 도마
1896A. 플라토브독일 K. 슈만독일
1904G. 아이저미국 A. 하이다 G. 아이저(동점)미국
1924A. 귀팅거스위스 F. 크리즈미국
1928L. 바하체코슬로바키아 E. 마크스위스
1932R. 네리이탈리아 S. 굴리엘메티이탈리아
1936K. 프라이독일 K. 슈노르츠만독일
1948M. 로이슈스위스 P. 알토넨핀란드
1952H. 오이그스터스위스 V. 추카린소련
1956V. 추카린소련 V. 무라토프 H. 반츠(동점)소련 독일 각주257)
1960B. 샤흘린소련 오노 T. B. 샤흘린(동점)일본 소련
1964엔도 Y.일본 야마시타 H.일본
1968니카야마 A.일본 M. 보로닌소련
1972가토 S.일본 K. 쾨스테동독
1976가토 S.일본 N. 안드리아노프소련
1980A. 트카초프소련 N. 안드리아노프소련
1984B. 코너미국 Y. 러우중국
1988V. 아르테모프소련 Y. 러우중국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58) 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59)
1996R. 사리포프우크라이나 A. 네모프러시아연방
2000리샤오펑중국 G. 데페르스페인
2004V. 곤차로프우크라이나 G. 데페르스페인
안마
1896J. 미트로풀로스그리스 L. 추터스위스
1904H. 글래스미국 A. 하이다미국
1924F. 마르티노이탈리아 J. 빌헬름스위스
1928L. 스투케치유고슬라비아 A. 항기스위스
1932G. 걸랙미국 I. 펠레헝가리
1936A. 후데치체코슬로바키아 K. 프라이독일
1948 K. 프라이 스위스 P. 알토넨핀란드
V. 후흐타넨핀란드
H. 사볼라이렌(동점)핀란드
1952G. 샤기냔소련 V. 추카린소련
1956A. 아자랸소련 B. 샤흘린소련
1960A. 아자랸소련 B. 샤흘린 E. 에크만(동점)소련 핀란드
1964하야타 T.일본 M. 체라르유고슬라비아
1968나카야마 A.일본 M. 체라르유고슬라비아
1972나카야마 A.일본 V. 클리멘코소련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 Z. 모디외르헝가리
1980A. 디탸닌소련 Z. 모디외르헝가리
1984N. 리 구시켄 K.(동점)중국 일본 N. 리 P. 비드마(동점)중국 미국
1988 H. 베렌트 D. 빌로제르체프(동점) 동독 소련 L. 구에라스코프불가리아
Z. 보르코이헝가리
D. 빌로제르체프소련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60) V. 셰르보 배길수(동점)독립국가연합 각주261) 북한
1996Y. 케키이탈리아 D. 리스위스
2000S. 촐라니헝가리 M. 우르지카루마니아
2004D. 탐파코스그리스 텅하이빈중국
체조(여자)
개인종합 단체종합
1928-- 네덜란드
1936-- 독일
1948-- 체코슬로바키아
1952M. 고로호프스카야소련 소련
1956L. 라티니나소련 소련
1960L. 라티니나소련 소련
1964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 소련
1968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 소련
1972L. 투리슈체바소련 소련
1976N. 코바네치루마니아 소련
1980Y. 다비도바소련 소련
1984M.L. 레턴미국 루마니아
1988Y. 슈슈노바소련 소련
1992T. 구추독립국가연합 각주262) 독립국가연합 각주263)
1996L. 포트코파예바우크라이나 미국
2000S. 아마나르루마니아 루마니아
2004C. 패터슨미국 루마니아
평균대 2단 평행봉
1952N. 보차로바소련 M. 코론디헝가리
1956Á. 켈레티헝가리 Á. 켈레티헝가리
1960E. 보사코바체코슬로바키아 P. 아스타호바소련 남자
연도 개인종합 단체종합
1900S. 산드라프랑스 -
1904J. 렌하트미국 -
1908A. 브랄리아이탈리아 -
1912A. 브랄리아이탈리아 -
1920G. 참포리이탈리아 이탈리아
1924L. 스투켈리유고슬라비아 이탈리아
1928G. 미츠스위스 스위스
1932R. 네리이탈리아 이탈리아
1936A. 슈바르츠만독일 독일
1948V. 후타넨핀란드 핀란드
1952V. 추카린소련 소련
1956V. 추카린소련 소련
1960B. 샤흘린소련 일본
1964엔도 Y.일본 일본
1968가토 S.일본 일본
1972가토 S.일본 일본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 일본
1980A. 디탸틴소련 소련
1984구시켄 K.일본 미국
1988V. 아르테모프소련 소련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64) 독립국가연합 각주265)
1996X. 리중국 러시아연방
2000A. 네모프러시아 중국
2004P. 햄미국 일본
연도 마루운동 철봉
1896--H. 바인게르트너독일
1904--A. 하이다 E. 헤닝(동점)미국
1924--L. 스투켈리유고슬라비아
1928--G. 미츠스위스
1932I. 펠레헝가리D. 빅슬러미국
1936G. 미츠스위스A. 사르발라핀란드
1948F. 포토키헝가리J. 슈탈데어스위스
1952K. 토레손스웨덴J. 퀸타르트스위스
1956V. 무라토프소련오노 T.일본
1960아아하라 N.일본오노 T.일본
1964F. 메니첼리이탈리아B. 샤흘린소련
1968가토 S.일본M. 보로닌 니카야마 A.(동점)소련 일본
1972N. 안드리아노프소련쓰카하라 M.일본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쓰카하라 M.일본
1980R. 부루크너동독S. 델체프불가리아
1984N. 리중국모리수에 S.일본
1988S. 하리코프소련V. 아르테모프 L. 류킨(동점)소련
1992X. 리중국T. 다이머스미국
1996I. 멜리사니디스그리스A. 베커독일
2000I. 비흐로프스라트비아A. 네모프러시아
2004K. 슈펠트캐나다I. 카시나이탈리아
연도 평행봉 도마
1896A. 플라토브독일K. 슈만독일
1904G. 아이저미국A. 하이다 G. 아이저(동점)미국
1924A. 귀팅거스위스F. 크리즈미국
1928L. 바하체코슬로바키아E. 마크스위스
1932R. 네리이탈리아S. 굴리엘메티이탈리아
1936K. 프라이독일K. 슈노르츠만독일
1948M. 로이슈스위스P. 알토넨핀란드
1952H. 오이그스터스위스V. 추카린소련
1956V. 추카린소련V. 무라토프 H. 반츠(동점)소련 독일 각주266)
1960B. 샤흘린소련오노 T. B. 샤흘린(동점)일본 소련
1964엔도 Y.일본야마시타 H.일본
1968니카야마 A.일본M. 보로닌소련
1972가토 S.일본K. 쾨스테동독
1976가토 S.일본N. 안드리아노프소련
1980A. 트카초프소련N. 안드리아노프소련
1984B. 코너미국Y. 러우중국
1988V. 아르테모프소련Y. 러우중국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67) 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68)
1996R. 사리포프우크라이나A. 네모프러시아연방
2000리샤오펑중국G. 데페르스페인
2004V. 곤차로프우크라이나G. 데페르스페인
연도 안마
1896J. 미트로풀로스그리스L. 추터스위스
1904H. 글래스미국A. 하이다미국
1924F. 마르티노이탈리아J. 빌헬름스위스
1928L. 스투케치유고슬라비아A. 항기스위스
1932G. 걸랙미국I. 펠레헝가리
1936A. 후데치체코슬로바키아K. 프라이독일
1948 K. 프라이 스위스P. 알토넨핀란드
V. 후흐타넨핀란드
H. 사볼라이렌(동점)핀란드
1952G. 샤기냔소련V. 추카린소련
1956A. 아자랸소련B. 샤흘린소련
1960A. 아자랸소련B. 샤흘린 E. 에크만(동점)소련 핀란드
1964하야타 T.일본M. 체라르유고슬라비아
1968나카야마 A.일본M. 체라르유고슬라비아
1972나카야마 A.일본V. 클리멘코소련
1976N. 안드리아노프소련Z. 모디외르헝가리
1980A. 디탸닌소련Z. 모디외르헝가리
1984N. 리 구시켄 K.(동점)중국 일본N. 리 P. 비드마(동점)중국 미국
1988 H. 베렌트
D. 빌로제르체프(동점)
동독
소련
L. 구에라스코프불가리아
Z. 보르코이헝가리
D. 빌로제르체프소련
1992V. 셰르보독립국가연합 각주269) V. 셰르보 배길수(동점)독립국가연합 각주270) 북한
1996Y. 케키이탈리아D. 리스위스
2000S. 촐라니헝가리M. 우르지카루마니아
2004D. 탐파코스그리스텅하이빈중국
여자
연도 개인종합 단체종합
1928-- 네덜란드
1936-- 독일
1948-- 체코슬로바키아
1952M. 고로호프스카야소련 소련
1956L. 라티니나소련 소련
1960L. 라티니나소련 소련
1964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 소련
1968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 소련
1972L. 투리슈체바소련 소련
1976N. 코바네치루마니아 소련
1980Y. 다비도바소련 소련
1984M.L. 레턴미국 루마니아
1988Y. 슈슈노바소련 소련
1992T. 구추독립국가연합 각주271) 독립국가연합 각주272)
1996L. 포트코파예바우크라이나 미국
2000S. 아마나르루마니아 루마니아
2004C. 패터슨미국 루마니아
연도 평균대 2단 평행봉
1952N. 보차로바소련M. 코론디헝가리
1956Á. 켈레티헝가리Á. 켈레티헝가리
1960E. 보사코바체코슬로바키아P. 아스타호바소련
1964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P. 아스타호바소련
1968N. 쿠친스카야소련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
1972O. 코르부트소련K. 얀츠동독
1976N. 코마네치루마니아N. 코마네치루마니아
1980N. 코마네치루마니아M. 그나우크동독
1984E. 스자보 S. 파우카(동점)루마니아J. 맥너매라 Y. 마(동점)미국 중국
1988D. 실리바스루마니아D. 실리바스루마니아
1992T. 리센코독립국가연합 각주273) L. 루중국
1996S. 밀러미국S. 호르키나러시아연방
2000리우슈안중국S. 호르키나러시아
2004C. 포노르루마니아E. 레파네프랑스
연도 도마 마루운동
1952Y. 칼린추크소련Á. 켈레티헝가리
1956L. 라티니나소련L. 라티니나 Á. 켈레티(동점)소련 헝가리
1960M. 니콜라예바소련L. 라티니나소련
1964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L. 라티니나소련
1968V. 차슬라프스카체코슬로바키아V. 차슬라프스카 L. 페트리크(동점)체코슬로바키아 소련
1972K. 얀츠동독O. 코르부트소련
1976N. 킴소련N. 킴소련
1980N. 샤포슈니코바소련N. 코마네치 N. 킴(동점)루마니아 소련
1984E. 스자보루마니아E. 스자보루마니아
1988S. 보긴스카야소련D. 실리바스루마니아
1992L. 밀로소비치 H. 오노디(동점)루마니아 헝가리L. 밀로소비치루마니아
1996S. 아마나르루마니아L. 포트코파예바우크라이나
2000Ye. 자몰로치코바러시아Ye. 자몰로치코바러시아
2004M. 로수루마니아C. 포노르루마니아
올림픽 대회 체조 우승 (1896~2004)
연도 개인종합 단체종합
2008 웨이 Y. 중국 중국
2012 코헤이 U. 일본 중국
2016 코헤이 U. 일본 일본
연도 마루운동 철봉
2008 카이 Z. 중국 카이 Z. 중국
2012 카이 Z. 중국 E. 존덜랜드 네덜란드
2016 M. 휘트록 영국 F. 함부첸 독일
연도 평행봉 도마
2008 샤오펑 L. 중국 L. 블라닉 폴란드
2012 제 F. 중국 양학선 한국
2016 O. 바니아이에브 우크라이나 이세광 북한
연도 안마
2008 - - 퀸 X. 중국
2012 A. 나바레테 자네티 브라질 K. 버키 헝가리
2016 E. 페트로우니아스 그리스 M. 휘트록 영국
올림픽 대회 체조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개인종합 단체종합
2008 A. 리우킨 미국 -
2012 G. 더글라스 미국 미국
2016 S. 빌레스 미국 미국
연도 평균대 2단 평행봉
2008 S. 존슨 미국 케신 H. -
2012 링링 D. 중국 A. 무스타피나 러시아
2016 S. 위버스 네덜란드 A. 무스타피나 러시아
연도 마루운동 도마
2008 S. 이즈바사 루마니아 - -
2012 A. 라이스만 미국 S. 이즈바사 루마니아
2016 S. 빌레스 미국 S. 빌레스 미국
올림픽 대회 체조 (여자) 우승 (2008~2016)
연도남자여자
1900영국-
1904캐나다-
1908영국-
1912영국-
1920벨기에-
1924우루과이-
1928우루과이-
1936이탈리아-
1948스웨덴-
1952헝가리-
1956소련-
1960유고슬라비아-
1964헝가리-
1968헝가리-
1972폴란드-
1976동독-
1980체코슬로바키아-
1984프랑스-
1988소련-
1992스페인-
1996나이지리아미국
2000카메룬노르웨이
2004아르헨티나미국
2008아르헨티나미국
2012멕시코미국
2016브라질독일
올림픽 대회 축구 우승
남자
연도 카약 싱글(500m)기록(분:초) 카약 페어(500m)기록(분:초)
1976V. 디바루마니아1:46.41 동독1:35.87
1980V. 파르페노비치소련1:43.43 소련1:32.38
1984I. 퍼거슨뉴질랜드1:47.84 뉴질랜드1:34.21
1988Z. 디윌라이헝가리1:44.82 뉴질랜드1:33.98
1992M. 콜레흐마이넨핀란드1:40.34 독일1:29.84
1996A. 로시이탈리아1:37.423 독일1:28.697
2000K. 홀만노르웨이1:57.84 헝가리1:47.05
2004A. 반 코버덴캐나다1:37.919 독일1:27.040
연도 카약 싱글(1,000m)기록(분:초) 카약 페어(1,000m)기록(분:초)
1936G. 흐라데츠키오스트리아4:22.90 오스트리아4:03.80
1948G. 프레드릭손스웨덴4:33.20 스웨덴4:07.30
1952G. 프레드릭손스웨덴4:07.90 핀란드3:51.10
1956G. 프레드릭손스웨덴4:12.80 독일 각주274) 3:49.60
1960E. 한센덴마크3:53.00 스웨덴3:34.70
1964R. 페테르손스웨덴3:57.13 스웨덴3:38.54
1968M. 헤스헝가리4:03.58 소련3:37.54
1972A. 샤파렌코소련3:48.06 소련3:31.23
1976R. 헬름동독3:48.20 소련3:29.01
1980R. 헬름동독3:48.77 소련3:26.72
1984A. 톰슨뉴질랜드3:45.73 캐나다3:24.22
1988G. 바턴미국3:55.27 미국3:32.42
1992C. 로빈슨오스트레일리아3:37.26 독일3:16.10
1996K. 홀만노르웨이3:25.785 이탈리아3:09.190
2000K. 홀만노르웨이3:32.26 이탈리아3:14.46
2004E. 베라스 라르센노르웨이3:25.897 스웨덴3:18.420
연도 카약 4인승(1,000m)기록(분:초) 슬랄롬카약 싱글
1964 소련3:14.67 -
1968 노르웨이3:14.38-
1972 소련3:14.02 S. 호른동독
1976 소련3:08.69 -
1980 동독3:13.76 -
1984 뉴질랜드3:02.28 -
1988 헝가리3:00.20 -
1992 독일2:54.18 P. 페라치이탈리아
1996 독일2:51.528 O. 픽스독일
2000 헝가리2:55.18 T. 슈미트독일
2004 헝가리2:56.919 B. 페쉬에독일
연도 캐나디안 싱글(500m)기록(분:초) 캐나디안 페어(500m)기록(분:초)
1976A. 로고프소련1:59.23 소련1:45.81
1980S. 포스트레킨소련1:53.37 헝가리1:43.39
1984L. 케인캐나다1:57.01 유고슬라비아1:43.67
1988O. 호이크로트동독1:56.42 소련1:41.77
1992N. 부할로프불가리아1:51.15 독립국가연합 각주275) 1:41.54
1996M. 도크토르체크1:49.934 헝가리1:40.420
2000G. 콜로니츠헝가리2:24.81 헝가리1:51.28
2004A. 디트머독일1:46.383 중국1:40.278
연도 캐나디안 싱글(1,000m)기록(분:초) 캐나디안 페어(1,000m)기록(분:초)
1936A. 아미요캐나다5:32.10 체코슬로바키아4:50.10
1948J. 홀레체크체코슬로바키아5:42.00 체코슬로바키아5:07.10
1952J. 홀레체크체코슬로바키아4:56.30 덴마크4:38.30
1956L. 로트만루마니아5:05.30 루마니아4:47.40
1960J. 포르티헝가리4:33.03 소련4:17.04
1964J. 에셰르트독일 각주276) 4:35.14 소련4:04.65
1968T. 토토이헝가리4:36.14 루마니아4:07.18
1972I. 파트자이친루마니아4:08.94 소련3:52.60
1976M. 류베크유고슬라비아4:09.51 소련3:52.76
1980L. 루베노프불가리아4:12.38 루마니아3:47.65
1984U. 아이케서독4:06.32 루마니아3:40.60
1988I. 클레멘티예프소련4:12.78 소련3:48.36
1992N. 부할로프불가리아4:05.92 독일3:37.42
1996M. 도크토르체크3:54.418 독일3:31.870
2000A. 디트머독일3:54.37 루마니아3:37.35
2004D. 칼스페인3:46.201 독일3:41.802
연도 슬랄롬캐나디안 싱글 슬랄롬캐나디안 페어
1972R. 아이벤동독 동독
1992L. 폴레르트체코슬로바키아 미국
1996M. 마르티칸슬로바키아 프랑스
2000T. 에스탕궤프랑스 슬로바키아
2004T. 에스탕궤프랑스 슬로바키아
여자
연도 카약 싱글(500m)기록(분:초)카약 페어(500m) 기록(분:초)
1948K. 호프덴마크2:31.90- -
1952S. 사이모핀란드2:18.40- -
1956Ye. 데멘티예바소련2:18.90- -
1960A. 세레디나소련2:08.08소련 1:54.76
1964L. 흐베도슈크소련2:12.87독일 각주277) 1:56.95
1968L. 피나예바 흐베도슈크소련2:11.09서독 1:56.44
1972Yu. 랴프친스카야소련2:03.17소련 1:53.50
1976C. 치르초프동독2:01.05소련 1:51.15
1980B. 피셔동독1:57.96동독 1:43.88
1984A. 안데르손스웨덴1:58.72스웨덴 1:45.25
1988V. 구에체바불가리아1:55.19동독 1:43.46
1992B. 슈미트독일1:51.60독일 1:40.29
1996R. 코반헝가리1:47.655스웨덴 1:39.329
2000J. 이템 구에리니이탈리아2:13.84독일 1:56.99
2004N. 자니츠헝가리1:47.741헝가리 1:38.101
연도카약 4인승(500m)기록(분:초) 슬랄롬카약 싱글
1972--A. 바만 동독
1984루마니아1:38.34- -
1988동독1:40.78- -
1992헝가리1:38.32E. 미헬러 독일
1996독일1:31.077S. 힐게르토바 체크
2000독일1:34.53S. 힐게르토바 체크
2004독일1:34.340E. 칼리스카 슬로바키아
올림픽 대회 카누 우승 (1936~2004)
연도 카약 싱글 (500m) 기록(분:초) 카약 페어(500m)
2008 K. 월레이스 호주 01:37.3 스페인
연도 카약 싱글(200m)각주278) 기록(초) 카약 페어(200m)각주279)
2012 E. 맥키버 영국 36.246 러시아
2016 L. 히스 영국 35.197 스페인
연도 카약 싱글(1,000m) 기록(분:초) 카약 페어(1,000m)
2008 T. 브라반츠 영국 03:26.3 독일
2012 E. 라센 노르웨이 03:26.5 헝가리
2016 M. 월즈 스페인 03:31.4 독일
연도 카약 4인승(1,000m) 기록(분:초) 슬랄롬카약 싱글
2008 벨라루스 02:55.2 A. 그림 독일
2012 호주 02:55.1 D. 몰멘티 이탈리아
2016 독일 03:02.1 J. 클라크 영국
연도 캐나디안 싱글(500m) 기록(분:초) 캐나디안 페어(500m)
2008 M. 오팔레브 러시아 01:47.1 중국
2012 - - - -
2016 - - - -
연도 캐나디안 싱글(200m)각주280) 기록(초) -
2012 Y. 체반 우크라이나 42.291 -
2016 I. 체반 우크라이나 39.279 -
연도 캐나디안 싱글(1,000m) 기록(분:초) 캐나디안 페어(1,000m)
2008 A. 밧다 헝가리 03:50.5 벨라루스
2012 S. 브렌델 독일 03:47.2 독일
2016 S. 브렌델 독일 03:56.9 독일
연도 슬랄롬캐나디안 싱글 슬랄롬캐나디안 페어
2008 M. 마티칸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
2012 T. 에스탄구에트 프랑스 영국
2016 D. 가가우드 샤누트 프랑스 슬로바키아
올림픽 대회 카누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카약 싱글(500m) 기록(분:초) 카약 페어(500m)
2008 I. 오시펜코 우크라이나 01:50.7 헝가리
2012 - - - 독일
2016 D. 코작 헝가리 01:52.5 헝가리
연도 카약 싱글(200m)각주281) 기록(초) 슬랄롬카약 싱글
2008 - - - E. 칼리스카 슬로바키아
2012 L. 카링톤 뉴질랜드 44.638 E. 퍼 프랑스
2016 L. 카링톤 뉴질랜드 39.864 M. 초우라우트 스페인
연도 카약 4인승(500m) 기록(분:초) -
2008 독일 01:32.2 -
2012 헝가리 01:30.8 -
2016 헝가리 01:31.5 -
올림픽 대회 카누 (여자) 우승 (2008~2016)
남자
연도단식복식
1988유남규한국중국
1992J.O. 발드네르스웨덴중국
1996G. 류중국중국
2000공링후이중국중국
2004류승민한국중국
2008마린중국중국
2012장지커중국중국
2016마롱중국중국
여자
연도단식복식
1988J. 천중국한국
1992Y. 덩중국중국
1996Y. 덩중국중국
2000왕난중국중국
2004장이닝중국중국
2008장이닝중국중국
2012리샤오샤중국중국
2016딩닝중국중국
올림픽 대회 탁구 우승
남자
연도 단식 복식
1896J. 볼런드영국J. 볼런드, F. 트라운영국 독일
1900L. 도어티영국L. 도어티, R. 도어티영국
1904B. 라이트미국E. 레너드, B. 라이트미국
1908M. 리치영국G. 힐야드, R. 도어티영국
1912C. 윈즐로남아프리카공화국C. 키드슨, C. 윈즐로남아프리카공화국
1920L. 레이먼드남아프리카공화국O. 턴불, M. 우즈넘영국
1924V. 리처즈미국F. 헌터, V. 리처즈미국
1988M. 메치르체코슬로바키아K. 플래치, R. 세구소미국
1992M. 로세트스위스B. 베커, M. 스티치독일
1996A. 애거시미국T. 우드브리지, M. 우드퍼드오스트레일리아
2000Ye. 카펠니코프러시아S. 래로, D. 네스터캐나다
2004N. 마수칠레F. 곤잘레스, N. 마수칠레
2008R. 나달스페인 R. 페더러, S. 바브링카스위스
2012A. 머리영국M. 브라이언, B 브라이언미국
2016A. 머리영국 R. 나달, M. 로페즈스페인
여자
연도 단식 복식
1900C. 쿠퍼영국--
1908D. 체임버스 램버트영국--
1912M. 브로케디프랑스--
1920S. 랑글랑프랑스H. 맥네어, K. 매케인영국
1924H. 윌스미국H. 윌스, H. 와이트먼미국
1988S. 그라프서독Z. 개리슨, P. 슈라이버미국
1992J. 카프리아티미국G. 퍼낸디스, M.J. 퍼낸디스미국
1996L. 대번포트미국G. 퍼낸디스, M.J. 퍼낸디스미국
2000V. 윌리엄스미국S. 윌리엄스, V. 윌리엄스미국
2004J. 헤닌 하르덴벨기에리팅, 순티엔티엔중국
2008E. 데멘티에바러시아S. 윌리엄스, V. 윌리엄스미국
2012S. 윌리엄스미국S. 윌리엄스, V. 윌리엄스미국
2016M. 푸이그푸에르토리코E. 베스니나, E. 마카로바러시아
올림픽 대회 테니스 우승
남자
연도 플뢰레(개인)플뢰레(단체)
1896E. 그라벨로트프랑스-
1900C. 코스트프랑스-
1904R. 폰스트쿠바쿠바
1912N. 나디이탈리아-
1920N. 나디이탈리아이탈리아
1924R. 뒤크레프랑스프랑스
1928L. 고댕프랑스이탈리아
1932G. 마르치이탈리아프랑스
1936G. 가우디니이탈리아이탈리아
1948J. 뷔앙프랑스프랑스
1952C. 도리올라프랑스프랑스
1956C. 도리올라프랑스이탈리아
1960V. 즈다노비치소련소련
1964E. 프랑케폴란드소련
1968I. 드림바루마니아프랑스
1972W. 보이다폴란드폴란드
1976F. 달 초토이탈리아서독
1980V. 스미르노프소련프랑스
1984M. 누마이탈리아이탈리아
1988S. 케리오니이탈리아소련
1992P. 옴느프랑스독일
1996A. 푸치니이탈리아러시아연방
2000김영호한국프랑스
2004B. 구야르프랑스이탈리아
연도 에페(개인)에페(단체)
1900R. 폰스트쿠바-
1904R. 폰스트쿠바-
1908G. 알리베르프랑스프랑스
1912P. 안스파흐벨기에벨기에
1920A. 마사르프랑스이탈리아
1924C. 델포르테벨기에프랑스
1928L. 고댕프랑스이탈리아
1932G. 코르나자 메디치이탈리아프랑스
1936F. 리카르디이탈리아이탈리아
1948L. 칸토네이탈리아프랑스
1952E. 만자로티이탈리아이탈리아
1956C. 파베시이탈리아이탈리아
1960G. 델피노이탈리아이탈리아
1964G. 크리스소련헝가리
1968G. 쿨차르헝가리헝가리
1972C. 페니베시헝가리헝가리
1976A. 푸슈서독스웨덴
1980J. 하르멘베리스웨덴프랑스
1984P. 부아스프랑스서독
1988A. 슈미트서독프랑스
1992E. 스르키프랑스독일
1996A. 베케토프러시아연방이탈리아
1996A. 베케토프러시아연방이탈리아
1996A. 베케토프러시아연방이탈리아
2000P. 콜로프코프러시아이탈리아
2004M. 피셔스위스프랑스
연도 사브르(개인)사브르(단체)
1896J. 게오르기아디스그리스-
1900G. 드 라 팔레즈프랑스-
1904M. 디아스쿠바-
1908J. 푸치슈헝가리헝가리
1912J. 푸치슈헝가리헝가리
1920N. 나디이탈리아이탈리아
1924S. 포슈토헝가리이탈리아
1928O. 테르스랸스키헝가리헝가리
1932G. 필레르헝가리헝가리
1936E. 코보슈헝가리헝가리
1948A. 게레비치헝가리헝가리
1952P. 코바치헝가리헝가리
1956R. 카르파티헝가리헝가리
1960R. 카르파티헝가리헝가리
1964T. 페조헝가리소련
1968J. 파블로프스키폴란드소련
1972V. 시댜크소련이탈리아
1976V. 크로보푸스코프소련소련
1980V. 크로보푸스코프소련소련
1984J.-F. 라무르프랑스이탈리아
1988J.-F. 라무르프랑스헝가리
1992B. 소보헝가리독립국가연합 각주282)
1996S. 포즈드냐코프러시아연방러시아연방
2000M.C. 코발라우루마니아러시아
2004A. 몬타노이탈리아프랑스
여자
연도 플뢰레(개인)플뢰레(단체)
1924E. 오시에르덴마크-
1928H. 마이어독일-
1932E. 프라이스오스트리아-
1936I. 샤케레르 엘레크헝가리-
1948I. 엘레크헝가리-
1952I. 캄베르이탈리아-
1956G. 신영국-
1960A. 슈미트독일 각주283) 소련
1964I. 우일로키 레이퇴헝가리헝가리
1968Ye. 노비코바소련소련
1972A. 라뇨 론치이탈리아소련
1976I. 슈바르첸베르게르헝가리소련
1980P. 트랭케프랑스프랑스
1984J. 롼중국서독
1988A. 피히텔서독서독
1992G. 트릴리니이탈리아이탈리아
1996L. 바데아루마니아이탈리아
2000V. 베찰리이탈리아이탈리아
2004V. 베찰리이탈리아-
연도 에페(개인)에페(단체)
1996L. 플레셀프랑스프랑스
2000T. 나기헝가리러시아
2004T. 나기헝가리러시아
연도 사브르(개인)
2004M. 재거니스 미국
올림픽 대회 펜싱 우승 (1896~2004)
연도 플뢰레(개인) 플뢰레(단체)
2008 B. 클레이브링크 독일 -
2012 슈엥 L. 중국 이탈리아
2016 D. 가로초 이탈리아 러시아
연도 에페(개인) 에페(단체)
2008 M. 타글리아리올 이탈리아 프랑스
2012 R. 리마르도 가스콘 베네수엘라 -
2016 박상영 한국 프랑스
연도 사브르(개인) 사브르(단체)
2008 만 Z. 중국 프랑스
2012 A. 스질라지 헝가리 한국
2016 A. 스질라지 헝가리 -
올림픽 대회 펜싱 (남자) 우승 (2008~2016)
연도 플뢰레(개인) 플뢰레(단체)
2008 V. 베찰리 이탈리아 러시아
2012 E. 디 프란시스카 이탈리아 이탈리아
2016 I. 더리글라조바 러시아 -
연도 에페(개인) 에페(단체)
2008 B. 헤이데만 독일 -
2012 Y. 쉠야키나 우크라이나 중국
2016 E. 스자스즈 헝가리 루마니아
연도 사브르(개인) 사브르(단체)
2008 M. 자구니스 미국 우크라이나
2012 김지연 한국 -
2016 Y. 에고리안 러시아 러시아
올림픽 대회 (펜싱) 우승 (2008~2016)
연도남자여자
1908영국-
1920영국-
1928인도-
1932인도-
1936인도-
1948인도-
1952인도-
1956인도-
1960파키스탄-
1964인도-
1968파키스탄-
1972서독-
1976뉴질랜드-
1980인도짐바브웨
1984파키스탄네덜란드
1988영국오스트레일리아
1992독일스페인
1996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
2000네덜란드오스트레일리아
2004오스트레일리아독일
2008독일폴란드
2012독일네덜란드
2016아르헨티나영국
올림픽 대회 필드하키 우승
연도남자여자
1936독일 각주284) -
1952스웨덴 각주285) -
1972유고슬라비아 각주286) -
1976소련 각주287) 소련 각주288)
1980동독소련
1984유고슬라비아유고슬라비아
1988소련한국
1992독립국가연합 각주289) 한국
1996크로아티아덴마크
2000러시아덴마크
2004크로아티아덴마크
2008프랑스노르웨이
2012프랑스노르웨이
2016덴마크러시아
올림픽 대회 핸드볼 우승

동계 올림픽

개요

겨울에 열리는 올림픽 대회. 초기에는 피겨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등 실내 종목을 하계 올림픽 대회와 함께 열었으며, 1924년 계절을 바꾸어 국제올림픽위원회 주관으로 정식 동계 올림픽 대회가 열리기 시작했다.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은 1992년까지 같은 해에 개최되었으나 1994년부터는 하계 올림픽과 2년 차이를 두고 개최하는 것으로 주기를 바꾸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중단한 1940년과 1944년을 제외하고는 계속 개최되었다. 경기 종목은 스키, 스케이팅, 컬링, 썰매 등이며, 각각 세부 종목으로 나뉘어진다. 2014년 러시아 소치에 이어 2018년은 한국 평창에서, 2022년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었다.

역사

근대 올림픽 대회가 창설되고 아테네에서 제1회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었던 초기에는 동계 스포츠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창립 멤버이자 동계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던 스웨덴의 빅토르 발크(Viktor Balck)가 올림픽 종목에 동계 스포츠 종목 추가를 제안함에 따라, 1908년 피겨스케이팅 종목이 채택되어 첫 대회를 치렀다. 이후 동계 스포츠 종목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지면서 1920년 하계 올림픽대회에 피겨스케이팅과 아이스하키 종목이 채택되었다.

1924년 하계 올림픽대회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하기로 결정된 후, 동계 올림픽 종목 대회를 따로 열기로 합의되어, 프랑스 샤모니에서 첫번째 동계 올림픽대회가 열렸다. IOC의 주관으로 열린 이 대회에서는 16개 국가, 300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16개 종목의 경기를 치렀다. 이후 동계 올림픽은 1936년까지 계속되었으나 1940년과 1944년의 대회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열리지 않았다.

동계 올림픽의 개최지는 기후와 시설 등의 제약이 있어, 참가국도 하계 올림픽 대회에 비해 적고 개최할 수 있는 나라도 많지 않았다. 초기에는 대개 유럽에서 열렸으며, 1932년 비로소 유럽이 아닌 대륙으로 옮겨가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개최되었다. 1972년에는 처음으로 아시아로 개최지가 옮겨져서 일본의 삿포로(札幌)에서 열렸다. 1992년에는 프랑스의 알베르빌에서 개최되었는데,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이 함께 열렸던 마지막 해였다.

이 해에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의 개최 주기를 달리하기로 결정하여, 2년 뒤인 1994년에 노르웨이의 릴레함메르에서 동계 올림픽 대회가 개최되었다. 1998년에는 일본 나가노에서 열렸고, 2002년에는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서, 2006년에는 이탈리아의 토리노에서 열렸다. 2010년에는 캐나다 밴쿠버에서, 2014년에는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되었다. 2018년은 한국의 평창에서 개최되었으며 92개국, 2,92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기록되었다. 2022년에는 중국의 베이징에서 개최었으며 91개국 2,871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한국과 북한이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공동 입장하고 있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동계 올림픽을 가장 많이 개최한 나라는 4번을 개최한 미국이며, 3번을 개최한 프랑스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동계 올림픽 강국인 러시아(소련 시대의 성적을 포함)와 노르웨이가 압도적인 우승 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종목

동계 올림픽 대회의 종목은 크게 스키, 스케이팅, 컬링, 썰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스키 혹은 스키와 유사한 설상 종목에는 노르딕 복합, 바이애슬론, 스노보드, 스키점프,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프리스타일 스키 종목이 있다. 스케이팅과 같은 빙상 종목에는 피겨스케이팅, 스피드스케이팅, 쇼트트랙, 아이스하키 등이 있다. 썰매 종목에는 루지, 봅슬레이, 스켈레톤 등이 있다. 컬링은 얼음 위에서 스케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유일한 종목이다.

동계 올림픽 역대 개최국
새 페이지 1
회수 연도 개최국 개최 도시 세부종목 참가국가 참가 선수
1 1924 프랑스 샤모니 16 16 258
2 1928 스위스 생모리츠 14 25 464
3 1932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14 17 252
4 1936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17 28 646
5 1948 스위스 생모리츠 22 28 669
6 1952 노르웨이 오슬로 22 30 694
7 1956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24 32 821
8 1960 미국 스쿼밸리 27 30 665
9 1964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34 36 1091
10 1968 프랑스 그르노블 35 37 1158
11 1972 일본 삿포로 35 35 1006
12 1976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37 37 1123
13 1980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38 37 1-72
14 1984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39 49 1272
15 1988 캐나다 캘거리 46 57 1423
16 1992 프랑스 알베르빌 57 64 1801
17 1994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61 67 1737
18 1998 일본 나가노 68 72 2176
19 2002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78 77 2399
20 2006 이탈리아 토리노 84 80 2508
21 2010 캐나다 밴쿠버 86 82 2566
22 2014 러시아 소치 98 88 2873
23 2018 한국 평창 102 92 2925
24 2022 중국 베이징 109 91 2871
25 2026 이탈리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 올림픽 역대 개최국
한국 동계 올림픽 대회 역대 전적

한국은 1948년 스위스 생모리츠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부터 참석하기 시작하여, 6·25전쟁 중이었던 1952년을 제외하고 매회 참석했으나 초기에는 별다른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한국이 동계 올림픽에서 눈에 띄는 성적을 거둔 것은 새로 추가된 종목인 쇼트트랙에서였다. 한국 대표팀은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 쇼트트랙 스케이팅 남자 1,000m 금메달과 동메달, 한국 남자 단체전 5,000m에서 금메달을 거두고,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은메달을 추가하면서 동계 올림픽 메달의 숙원을 이루었다.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대회에서는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4개와 은메달 1, 동메달 1을 획득했고, 1998년 일본 나가노 대회에서는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3, 은메달 1, 동메달 2개를 획득하면서 독보적인 성적을 올렸다. 이후에도 쇼트트랙에서 2002년 금메달 2개, 은메달 2개를 획득했고, 2006년에는 금메달 6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를 획득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2010년에는 쇼트트랙뿐 아니라 스피드 스케이팅과 피겨 스케이팅에서도 금메달을 거두면서 빙상 강국으로 거듭났다.

2014년 소치 대회에서는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2개,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금메달 1개를 획득했고, 피겨 스케이팅에서 은메달 1개를 추가했다. 자국에서 치른 2018년 평창 대회에서는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금메달 1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고,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1개, 동메달 2개를 획득했다. 스켈레톤에서 금메달 1개, 컬링, 봅슬레이, 스노보드에서 각각 은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순위 7위에 올랐다.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여러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금메달 2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4위를 차지했다.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2개(남 1,500m·여 1,500m), 은메달 3개(남 5,000m 계주·여 3,000m 계주·여 1,000m)를 획득, 종합성적 1위를 차지했으며, 스피드스케이팅에서 은메달 2개(남자 500m·남자 매스스타트), 동메달 2개(남자 1,500m·남자 매스스타트)를 획득했다.

새 페이지 1
회수 연도 개최국 개최 도시 참가선수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 합계 순위
1 1924 프랑스 샤모니 불참 - - - - -
2 1928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불참 - - - - -
3 1932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불참 - - - - -
4 1936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불참 - - - - -
5 1948 스위스 장크트모리츠 3 0 0 0 0 -
6 1952 노르웨이 오슬로 불참 - - - - -
7 1956 이탈리아 코르티나담페초 4 0 0 0 0 -
8 1960 미국 스쿼밸리 7 0 0 0 0 -
9 1964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7 0 0 0 0 -
10 1968 프랑스 그르노블 8 0 0 0 0 -
11 1972 일본 삿포로 5 0 0 0 0 -
12 1976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3 0 0 0 0 -
13 1980 미국 레이크플래시드 10 0 0 0 0 -
14 1984 유고슬라비아 사라예보 15 0 0 0 0 -
15 1988 캐나다 캘거리 28 0 0 0 0 -
16 1992 프랑스 알베르빌 23 2 1 1 4 10
17 1994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24 4 1 1 6 6
18 1998 일본 나가노 38 3 1 2 6 9
19 2002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48 2 2 0 4 14
20 2006 이탈리아 토리노 41 6 3 2 11 7
21 2010 캐나다 밴쿠버 46 6 6 2 1 5
22 2014 러시아 소치 71 3 3 2 8 13
23 2018 한국 평창 146 5 8 4 17 7
24 2022 중국 베이징 65 2 5 2 9 14
한국 동계 올림픽 대회 역대 전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올림픽 대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