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오딘의 성격과 역할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문헌에 따르면 그리스도교 이전 시기가 끝날 무렵 오딘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주요한 신이었다고 한다. 전쟁의 신이었으며, 영웅문학에서는 영웅들을 수호하는 신으로 나온다. 전쟁에서 죽은 전사들은 발할라에서 오딘을 만난다고 했다. 늑대와 갈가마귀가 그에게 바쳐진 동물이었고, 그가 사용했던 신비한 말 슬레이프니르는 8개의 다리와 룬 문자가 새겨진 이빨과, 하늘을 달리고 바다를 건널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오딘은 여러 신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마법사였으며, 시에도 조예가 깊어 시인들의 신이기도 했다. 외형적으로는 큰 키에 수염을 휘날리며 눈이 하나밖에 없는 노인이었다. 일반적으로 망토를 걸치고 챙 넓은 모자를 썼으며 창을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고고학과 문학의 자료들은 각기 다르게 그를 묘사하고 있기 때문에, 그의 본성과 역할을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로마의 역사학자인 타키투스에 따르면 튜튼족은 메르쿠리우스를 숭배했다고 하는데, 메르쿠리우스의 날(dies Mercurii)이 수요일(Wednesday : Woden's day, 즉 '보덴의 날')과 동일시되었던 것으로 보아, 이는 보덴(오딘의 초기 형태) 신을 의미하는 것이었음이 분명하다. 그러나 보덴이 당시 널리 숭배되었다고는 해도 모든 튜튼족들이 그를 숭배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충분한 증거가 남아 있지 않으며 그 신의 성격에 관한 결론을 내릴 만한 단서도 불충분하다. 단지 이후의 문헌들에 따르면, 그리스도교 이전 시기가 끝날 무렵 오딘은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주요한 신이었다고 한다.
오딘은 아주 옛날부터 전쟁의 신이었으며, 영웅문학에서는 영웅들을 수호하는 신으로 나온다. 전쟁에서 죽은 전사들은 발할라에서 오딘을 만난다고 했다. 늑대와 갈가마귀가 그에게 바쳐진 동물이었고, 그가 사용했던 신비한 말 슬레이프니르는 8개의 다리와 룬 문자가 새겨진 이빨과, 하늘을 달리고 바다를 건널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오딘은 여러 신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마술사였으며 시에도 조예가 깊었고 시인들의 신이기도 했다. 외형적으로는 큰 키에 수염을 휘날리며 눈이 하나밖에 없는(다른 눈 하나는 지혜와 바꾸었음) 늙은이였다. 일반적으로 망토를 걸치고 챙 넓은 모자를 썼으며 창을 가지고 다니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