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에다

다른 표기 언어 Edda

요약 13세기에 편찬된 2권의 책에 실려 있는 고대 아이슬란드 문학 작품집.

이 두 권의 책을 흔히 〈산문 에다 Prose Edda〉(또는 〈새 에다 Younger Edda〉)와 〈시 에다 Poetic Edda〉(또는 〈옛 에다 Elder Edda〉)로 구분한다.

에다는 오늘날 게르만 신화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는 가장 충실하고 자세한 자료이다.

〈산문 에다〉는 1222~23년에 아이슬란드 족장이자 시인이며 역사가였던 스노리 스튀르들뤼손이 썼다. 이 책은 옛날 아이슬란드 궁정시인들의 어려운 운율을 젊은 시인들에게 가르치고, 옛날 시에서 다루거나 암시한 신화적 주제들을 그리스도교 시대의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쓴 시학 교과서이다.

이 책은 서문과 3부로 이루어져 있다. 제1부와 제2부(아이슬란드 궁정시인들의 정교하고 수수께끼 같은 은유와 완곡한 표현을 다룬 〈스칼드스카파르말 Skáldskaparmál〉과 스노리가 알고 있는 102가지의 운율을 예문으로 설명한 〈하타탈 Háttatal〉)는 주로 고대 스칸디나비아인과 게르만족의 문학을 전공하는 학자들에게 흥미롭다.

일반 독자들에게 흥미로운 것은 〈길파기닝 Gylfaginning〉('길피의 속임수')이라는 제목이 붙은 제3부이다. 대화 형식으로 되어 있는 이 부분은 스웨덴 왕 길피가 신들의 성채인 아스가르드를 찾아간 이야기를 묘사하고 있다. 신들은 길피의 질문에 대하여, 세계의 시작과 신들의 모험, 라그나뢰크(Ragnarök:신들의 파멸, 또는 신들의 황혼) 때 다가올 모든 이들의 운명에 대한 고대 스칸디나비아 신화를 길피에게 이야기해준다. 이 이야기들은 극적인 예술성과 익살 및 매력을 갖추고 있다.

〈시 에다〉는 〈산문 에다〉보다 늦은 13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필사본이지만 더 오래된 자료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은 오랜 시일(800~1100)에 걸쳐 씌어진 작자 미상의 신화시와 영웅시를 모아 놓은 시집이다. 이 책에 수록된 시들은 대개가 간결하고 소박하며 예스러운 문체로 씌어진 연극적인 대화로서, 궁정시인들의 기교적인 시와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신화시의 앞머리에는 〈뵐루스파 Völuspá〉('여자 예언자의 말')라는 시가 실려 있다.

이 작품은 세계가 탄생했을 때부터 신들이 죽고 세계가 멸망할 때까지 신과 인간 및 난쟁이들이 겪게 될 역사를 선연한 장면들로 개관하고 있는 광범위한 천지창조 신화이다. 그 다음에 나오는 것은 〈하바말 Hávamál〉('고귀한 신의 말씀')로서, 마법과 전쟁의 신 오딘의 지혜를 집약한 단편적인 교훈시들이 모여 있다.

이 시들의 메시지가 대체로 냉소적이고 비도덕적인 개념을 담고 있는 것으로 보아, 무법과 배신이 난무하던 시대에 씌어진 것이 분명하다. 후반부에는 오딘이 스스로 나무에 매달려 9일 밤 동안 굶주림과 갈증을 겪음으로써 어떻게 룬 문자(게르만족의 옛 표음문자)의 마술적 힘을 얻었는가에 대한 기이한 신화가 실려 있다. 이 시는 마술적 주문의 목록을 나열하는 것으로 끝난다.

가장 훌륭한 신화시 가운데 하나는 익살스러운 〈트림스크비다 Thrymskvida〉('트림의 노래')이다.

이 시는 거인 트림이 우뢰의 신 토르의 망치를 훔친 뒤, 그것을 돌려주는 대가로 여신 프레이야에게 결혼을 청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토르는 프레이야 대신 신부로 변장하고 직접 트림에게 가는데, 결혼식 때 황소 1마리와 연어 8마리를 먹어치우고 벌꿀 술을 3통이나 마시는 '신부'의 놀라운 태도가 웃음을 자아낸다.

〈시 에다〉의 후반부에는 게르만족 영웅들에 대한 시가가 실려 있다.

〈뵐룬다르크비다 Völundarkvida〉('대장간 신 뵐룬드르의 노래')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웅 시구르드(지크프리트)에 관한 것으로서 그의 젊은 시절, 구드룬과의 결혼, 그의 죽음, 부르군트족(니벨룽)의 비극적인 운명 등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들은 속임수·학살·복수에 대한 게르만 전설을 시로 표현한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며, 이 전설은 중세 독일의 위대한 서사시 〈니벨룽겐의 노래 Nibelungenlied〉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이미 중세 로맨스의 전조를 보이는 〈니벨룽겐의 노래〉와는 달리, 에다의 꾸밈없는 시들은 어떤 문명의 영향으로도 완화되지 않은 냉혹한 금욕주의로 잔인하고 폭력적인 행위를 묘사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문학

문학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에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