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82년 1월 26일 |
---|---|
소속 | KBO 리그 |
지역 | 서울특별시 |
종목 | 야구 |
사이트 | https://www.lgtwins.com |
요약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리그 소속 프로 야구단. 1982년 MBC 청룡이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어 1990년 운영 주체가 이전되면서 지금의 구단명으로 변경되었다. 한국 프로 스포츠 역사상 최초로 서울시를 연고지로 한 구단이다. 홈구장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이다.
정의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한국야구위원회(KBO) 소속 프로 야구단. 한국 프로 스포츠에서 최초로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여 창단된 구단이다. 1982년 MBC 청룡으로 창단되어 1990년 1월 럭키금성그룹(지금의 LG그룹)으로 운영 주체가 변경되면서 구단명을 지금의 이름인 LG 트윈스로 변경했다. 2024년 기준 모기업은 LG, 구단주는 구광모, 감독은 염경엽이다.
역대 성적
창단 첫 해인 1990시즌 LG 트윈스는 정규 리그 1위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직행했고,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4전 전승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1994시즌에서는 정기 리그 2위 팀인 태평양 돌핀스를 11.5게임 차로 따돌리며 정규 리그 1위를 차지했다. 이듬해인 1995 시즌에도 OB 베어스(지금의 두산 베어스)에 0.5게임 차 뒤진 2위로 가을 야구에 합류하며 우승을 노렸으나, 플레이오프에서 롯데 자이언츠에게 패배를 당했다.
1996시즌에는 정규 리그 7위에 그치며 이광환 감독이 해임되었고 후임으로 천보성 감독이 대행으로 임명되었다. 1997시즌에서 정규 리그 2위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까지 진출했으나 해태 타이거즈(지금의 KIA 타이거즈)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1998시즌에도 정규 리그 3위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으나 현대 유니콘스에게 패배를 당하며 준우승에 그쳤고, 이를 마지막으로 '신바람 야구'라 불렸던 황금기를 마감하게 된다.
1999, 2000시즌 양대 리그 체제에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하고, 2001시즌 단일 리그 체제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002 시즌은 김성근 감독의 지도 아래 2경기 차로 두산을 누르고 4위로 플레이오프에 턱걸이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현대를, 플레이오프에서 KIA를 누르며 1998년 이후 4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했다. 한국시리즈에서 삼성의 압도적 승리가 예상됐으나, 경기를 비교적 잘 이끌어나가며 6차전 경기 끝에 준우승을 차지했다.
2002년 한국시리즈 진출을 끝으로 2012년까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했다. 2013년 11년 만에 정규 리그 2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는 성공하였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면서 종합 3위에 머물렀다. 2013시즌 11년 만에 정규 리그 2위로 포스트시즌 진출에는 성공하였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게 패하면서 종합 3위에 머물렀다.
2014시즌에서는 정규 리그 4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NC 다이노스를 제치고 넥센 히어로즈과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그러나 넥센에게 전적 1-3으로 패하며 한국시리즈 진출은 또 다시 물거품이 되었다. 2년 연속 포스트시즌 진출에 성공했던 기록을 뒤로 하고 2015시즌에는 1년 내내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고 정규 리그 9위로 남았다. 이듬해 2015시즌에서는 플레이오프에서 NC 다이노스에게 패배하며시즌 4위를 달성했다.
2016시즌은 시즌 초반에는 상위권을 유지했지만 8~9월 연달아 패배하면서 최종 4위로 시즌을 마감했고, 2017시즌에서도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하면서 최종 6위로 마감했다. 2018시즌에는 8위로 더 하락했으나, 2019시즌과 2020시즌에는 4위를 기록하면서 상승세를 보였다. 한국시리즈에서는 최종 4위로 마감했다. 2021시즌에는 정규 리그 3위를 유지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에 패하여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했다.
2022년 시즌에는 정규리그 2위를 차지했으나 포스트시즌에서 키움 히어로즈에 1승 3패로 석패하여 종합 3위에 머물렀다. 2023년 시즌에는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한 후 한국시리즈에서 플레이오프 승리팀 KT 위즈에 4승 1패로 승리하여 29년만에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24년 시즌에는 정규리그 3위를 기록, 준플레이오프에서 kt wiz에 승리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패배하여 종합순위 3위로 시즌을 종료했다.
연도 | 순위 | 경기수 | 승 | 패 | 무 | 승률 |
---|---|---|---|---|---|---|
1982 | 3위/6팀 | 80 | 46 | 34 | 0 | 0.575 |
1983 | 1위/6팀 | 100 | 55 | 43 | 2 | 0.561 |
1984 | 4위/6팀 | 100 | 51 | 48 | 1 | 0.515 |
1985 | 5위/6팀 | 110 | 44 | 65 | 1 | 0.404 |
1986 | 3위/7팀 | 108 | 59 | 41 | 8 | 0.590 |
1987 | 5위/7팀 | 108 | 50 | 51 | 7 | 0.495 |
1988 | 6위/7팀 | 108 | 40 | 64 | 4 | 0.389 |
1989 | 6위/7팀 | 120 | 49 | 67 | 4 | 0.425 |
1990 | 1위/7팀 | 120 | 71 | 49 | 0 | 0.592 |
1991 | 6위/8팀 | 126 | 53 | 72 | 1 | 0.425 |
1992 | 7위/8팀 | 126 | 53 | 70 | 3 | 0.433 |
1993 | 4위/8팀 | 126 | 66 | 57 | 3 | 0.536 |
1994 | 1위/8팀 | 126 | 81 | 45 | 0 | 0.643 |
1995 | 2위/8팀 | 126 | 74 | 48 | 4 | 0.603 |
1996 | 7위/8팀 | 126 | 50 | 71 | 5 | 0.417 |
1997 | 2위/8팀 | 126 | 73 | 51 | 2 | 0.587 |
1998 | 3위/8팀 | 126 | 63 | 62 | 1 | 0.504 |
1999 | 매직리그 3위/4팀 | 132 | 61 | 70 | 1 | 0.466 |
2000 | 매직리그 1위/4팀 | 133 | 67 | 63 | 3 | 0.515 |
2001 | 6위/8팀 | 133 | 58 | 67 | 8 | 0.464 |
2002 | 4위/8팀 | 133 | 66 | 61 | 6 | 0.520 |
2003 | 6위/8팀 | 133 | 60 | 71 | 2 | 0.458 |
2004 | 6위/8팀 | 133 | 59 | 70 | 4 | 0.457 |
2005 | 6위/8팀 | 126 | 54 | 71 | 1 | 0.432 |
2006 | 8위/8팀 | 126 | 47 | 75 | 4 | 0.385 |
2007 | 5위/8팀 | 126 | 58 | 62 | 6 | 0.483 |
2008 | 8위/8팀 | 126 | 46 | 80 | 0 | 0.365 |
2009 | 7위/8팀 | 133 | 54 | 75 | 4 | 0.406 |
2010 | 6위/8팀 | 133 | 57 | 71 | 5 | 0.429 |
2011 | 6위/8팀 | 133 | 59 | 72 | 2 | 0.450 |
2012 | 7위/8팀 | 133 | 57 | 72 | 4 | 0.442 |
2013 | 2위/9팀 | 128 | 74 | 54 | 0 | 0.578 |
2014 | 4위/9팀 | 128 | 62 | 64 | 2 | 0.492 |
2015 | 9위/10팀 | 144 | 64 | 78 | 2 | 0.451 |
2016 | 4위/10팀 | 144 | 71 | 71 | 2 | 0.500 |
2017 | 6위/10팀 | 144 | 69 | 72 | 3 | 0.489 |
2018 | 8위/10팀 | 144 | 68 | 75 | 1 | 0.476 |
2019 | 4위/10팀 | 144 | 79 | 64 | 1 | 0.552 |
2020 | 4위/10팀 | 144 | 79 | 61 | 4 | 0.564 |
2021 | 3위/10팀 | 144 | 72 | 58 | 14 | 0.554 |
2022 | 2위/10팀 | 144 | 87 | 55 | 2 | 0.613 |
2023 | 1위/10팀 | 144 | 86 | 56 | 2 | 0.606 |
2024 | 3위/10팀 | 144 | 76 | 66 | 2 | 0.535 |
홈구장
1982년부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은 LG 트윈스 외에도 두산 베어스의 홈구장이기도 하다. 좌우펜스 100m, 좌우중간 125m, 중앙펜스 125m, 펜스높이 2.6m 이며, 2만 6천여 명이 수용 가능한 규모이다. 1982년과 1989년에는 동대문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2군 구장은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에 있는 LG 챔피언스 파크이다.
마스코트
마스코트는 2016년까지 '근성'이와 '팀웍'이라는 이름의 쌍둥이 캐릭터를 사용해왔다. 2017년 11년만에 구단 BI를 새롭게 발표하면서 로고와 마스코트, 유니폼을 새롭게 단장했다. 새로운 마스코트 역시 쌍둥이 캐릭터이며 이름은 '럭키'와 '스타'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