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179, 아이슬란드 |
---|---|
사망 | 1241. 9. 22, 레이캬홀트 |
국적 | 아이슬란드 |
요약 아이슬란드의 시인·역사가·족장.
〈산문 에다 Prose Edda〉·〈헤임스크링글라 Heimskringla〉의 저자이다. 위대한 시인이자 〈에길 사가 Egils saga〉에 나오는 영웅 에길 스칼라그림손의 후예로서 그는 3세 때부터 아이슬란드의 오디에 있는 가장 영향력있는 족장인 존 로프트손의 집에서 자랐으며 그를 통해 아이슬란드 전통에 대한 깊은 지식을 얻었고 유럽에 대해서도 폭넓은 식견을 갖게 되었다. 1199년 한 상속녀와 결혼하여 땅과 권력을 얻기 시작했다.
1206년 레이캬홀트에 정착했으며 그곳에서 대부분의 작품을 썼다(1223~35). 1215~18, 1222~32년에 '법의 대변자'(lawspeaker)라는 아이슬란드 고등법원의 최고직에 있었으며 1218년 노르웨이 국왕 호콘 4세로부터 노르웨이를 방문해달라는 초청을 받았다. 노르웨이 체류중 정치에 관계하여 호콘 왕에게 자신이 아이슬란드 왕이 될 수 있다고 설득시킴으로써 스노리는 호콘 왕의 가신이 되었다. 1220년 아이슬란드로 돌아왔으나 이듬해부터 호콘 왕과 관계가 악화되었고 1241년 결국 호콘 왕의 명령으로 암살당했다.
스노리의 글은 광범위한 영역과 뛰어난 형식을 지닌 수작으로 손꼽힌다. 〈산문 에다〉는 시학(詩學)에 관한 지침서였으며, 그는 여기서 고대 노르웨이 전설을 재미있게 간추려 설명했고 고대 북유럽 음유시인들의 화려한 문체와 고대 북유럽 음유시 및 고대 아이슬란드 시(에다 시)에 사용된 매우 다양한 운율을 밝혀놓았다. 또한 노르웨이의 성자 올라프에 관한 전기를 썼는데, 이 작품은 전사 겸 마법사인 오딘 신(神)의 전설적인 후예들로부터 에를링손 대제에 이르기까지 노르웨이 왕들의 역사를 보여주는 〈헤임스크링글라〉라는 저서에 수록되어 있다.
사무엘 레잉이 영문으로 번역한 3권(1844)은 판을 거듭했다. 스노리는 이전의 사실(史實)에 바탕을 두고 〈헤임스크링글라〉를 썼으나 자신도 새로운 자료를 많이 모았다. 그는 특히 역사적 사건이 일어난 당시로부터 입으로 전해져온 시를 중요시했으며, 그것이 당대의 정치적 사건과 인간 본성의 믿을 만한 반영으로 보였기 때문에 구전 형태의 시를 택했던 것이다. 그의 천재성은 그가 역사가로서 비판적으로 인식한 모든 것을 직접 극으로 표현해내는 능력에 있었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지성, 온화함, 학자적 근면성 등의 자질들은 조카가 그의 생애를 이야기하는 〈스튀를륀가 사가 Sturlunga saga〉에서의 약하고 간사한 성격과는 뚜렷한 대조를 이룬다.→ 에다, 헤임스크링글라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작가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스노리 스튀르들뤼손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