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국어·티베트어·미얀마어를 비롯한 300개 이상의 언어와 주요방언들로 이루어진 언어.
시노티베트어족은 인도유럽어족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사용자수가 많은 어족이다.
한어군으로 분류되는 다양한 중국어(또는 방언들)는 중국과 타이완에서 쓰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 흩어져 사는 화교들도 이 어군에 속한 언어를 사용한다. 티베트미얀마어군은 티베트와 미얀마 및 히말라야 산맥 지역에서 널리 쓰인다.
시노티베트어족은 공통된 특징을 많이 갖고 있는데, 그 대부분은 유형론적 성격을 가진 것이다. 예를 들면 단음절어, 성조, 접사 첨가, 어두에 나오는 자음의 교체, 모음교체, 불분명한 품사, 명사 분류사의 사용, 엄격한 어순 따위가 시노티베트어족의 공통된 특징이다. 공통 어휘의 음운 대응은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한 모든 언어가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같은 어원에서 파생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거이다.
한(중국)어군
중국어라는 용어는 BC 2000년대 중엽부터 수많은 방언과 언어에 적용되어왔다.
오늘날 언어학자들은 중국어를 가리킬 때 한어(sinitic)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중국어의 역사는 고전기 이전(BC 1500경~AD 200경), 고전기(200경~1920), 고전기 이후의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가장 오래된 고전기 이전의 중국어는 오늘날 갑골(거북의 등딱지와 짐승의 뼈)에 새겨진 신탁의 형태로 남아 있다. 고대 중국어(周代와 秦代, BC 1122~206)는 유학자와 도교 철학자를 비롯한 사상가들의 수많은 저서를 통해 볼 수 있다.
한대(漢代:BC 206~AD 220)의 중국어는 고전 중국어의 바탕이 되었고, 고전 중국어는 수세기 동안 쓰이면서 거의 변화를 겪지 않았다. 그러나 구어는 계속 변화했고 문자를 발음하는 관행도 변화했기 때문에, 인위적 구성체인 고전 중국어는 소리내어 읽으면 이해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 결과 고전 중국어가 실용어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사실상 고전 중국어는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공통어로 쓰였다.
고전기 이후의 중국어는 당대(唐代:618~907)부터 쓰이던 일상어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문어인 고전기 이후의 언어와, 구어인 관화 및 베이징어[北京語]는 최근에 하나로 결합되어, 현대표준중국어라고 하는 사실상의 국어가 되었다. 이 새로운 문어는 큰 인기를 얻어, 고전 중국어를 거의 완전히 대신하게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현대표준중국어를 널리 보급하여 중국 전역에서 이 언어를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작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했다.
중국어의 표기체계는 자모를 이용하지 않는다(→ 한자). 의미를 가진 음절, 또는 다음절어의 일부인 의미가 없는 음절은 각각 독특한 문자로 표현된다. 중국 문자는 대부분 어떤 대상을 묘사한 것이지만, 어떤 대상을 나타내는지 분간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중국 문자를 상형문자나 표의문자라고 설명하는 것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우려가 있다.
중국 문자는 음절문자도 아니다. 소리가 같아도 뜻이 다른 음절은 서로 다른 문자로 표기하기 때문이다. 중국어의 표기체계는 각 음절이 하나의 낱말을 나타내는 기호문자이다.
진대(BC 221~206)에 처음으로 정부가 문자를 표준화하여 약 3,000개의 문자를 제정했다. 진대의 문자는 오늘날까지도 대부분 표준문자로 남아 있다. 중국어 사전에는 4만 자가 넘는 문자가 수록되어 있지만, 오늘날 꼭 필요한 문자는 4,000자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추산된다.
오늘날 중국어의 구어와 문어는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배우고 쓰기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어, 새로운 표기체계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이루어졌으나 1950년대까지는 정치적 불안으로 인해 이런 노력이 무산되었다.
중국의 공산당 정부는 많은 문자를 단순화했고, 중국어를 로마자로 음역하기 위한 새로운 음운체계(병음 자모)를 도입했다. 병음 자모는 한자를 차츰 완전히 대치할 수 있는 문자로 여겨진다.
티베트미얀마 제어
티베트미얀마 제어는 공통된 어원에서 발달했지만,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중앙 아시아와 남아시아 전역에 걸친 주민의 이동 때문에 여러 갈래로 발전했다. 티베트어의 표기체계는 7~9세기 인도에서 온 초기 불교의 포교사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이 표기체계는 인도아리아어의 표기체계와 매우 비슷한 자모체계이다. 오늘날 티베트어의 발음은 문어와 상당히 다르다. 티베트어의 서부 방언들은 중부 방언들이 이미 잃어버린 특징들, 예를 들면 어두에 자음이 잇따라 나오거나 어미에 파열음이 나오는 따위의 특징을 가장 충실하게 보존하고 있다. 중부 방언들은 성조 체계를 발달시켰는데, 이것은 아마 중국어의 영향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중국어가 티베트어에 점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중국이 티베트를 정치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결과인 것 같다.
미얀마어의 표기체계는 자모 문자체계이며, 인도 문자에 기원을 두고 있다. 미얀마어의 문어가 오늘날과 같은 형태를 갖게 된 시기는 늦어도 15세기까지 거슬러올라간다. 미얀마어의 문법 범주는 상당히 보수적이지만, 음운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세계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