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한국의 사전

다른 표기 언어

오랫동안 한문을 중심으로 어문생활이 이루어졌던 한국에서는 일찍부터 발달한 중국의 사전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후한(後漢) 때 편찬된 〈설문해자 說文解字〉, 양(梁)나라 때의 〈옥편 玉篇〉, 수나라 때의 〈운집 韻集〉, 당나라 때의 〈광운 廣韻〉, 명나라 때의 〈자휘 字彙〉, 청나라 때의 〈패문운부 佩文韻府〉·〈강희자전 康熙字典〉 등이 유명한 중국의 사전들이다.

1446년 〈훈민정음〉이 발표되어 한글이 사용되었으나 조선 말기까지 편찬된 대부분의 사전은 한자에 관한 것이었다. 이들 사전은 대체로 ① 주로 문자의 뜻을 해설한 주석사전(註釋辭典), ② 주로 음운을 해설한 음운사전, ③ 주로 자형(字形)을 해설한 자형사전 등 3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주석사전류로는 조선시대 1527년(중종 22) 최세진(崔世珍)이 한자 3,360자에 한글로 음과 뜻을 달아 지은 한자 학습사전인 〈훈몽자회 訓蒙字會〉, 1664년(현종 5) 이식(李植:1584~1647)이 중국 송(宋)나라 정정사(程正思)의 저서 〈자훈 字訓〉을 증보·간행한 〈초학자훈증집 初學字訓證輯〉, 1789년(정조 13)에 이의봉(李義鳳)이 약 1,500종의 문헌에서 수집하여 중국·한국·베트남·일본·타이·금(金)·요(遼) 등의 각국 말에 주석을 붙여 엮은 〈고금석림 古今釋林〉, 〈강희자전〉의 체제를 본떠 만든 한자 자전으로서 정조 때 처음 간행된 〈전운옥편 全韻玉篇〉 등이 잘 알려져 있다.

음운사전류로는 조선시대 세종연간 간행본이라고 하는 〈삼운통고 三韻通考〉가 가장 오래된 음운서로 알려져 있다. 이밖에도 1448년 세종의 명으로 집현전 학자들이 편찬하여 간행한 〈동국정운 東國正韻〉(국보 제142호), 1517년(중종 12)에 최세진이 편찬한 〈사성통해 四聲通解〉, 1536년에 간행된 최세진 편찬의 〈운회옥편 韻會玉篇〉, 1751년(영조 27) 홍계희(洪啓禧)가 지은 〈삼운성휘 三韻聲彙〉, 영조 때 박성원(朴性源:1697~1767)이 편찬하여 1787년(정조 11)에 왕명으로 간행된 〈정음통석 正音通釋〉, 정조 때 규장각의 여러 신하들이 왕명에 의해 편찬하여 1796년에 간행된 〈규장전운 奎章全韻〉 등이 있다.

자형사전류로는 1912년 이선수(李瑄壽)가 중국 문자학의 기본적인 고전 가운데 하나인 〈설문해자〉의 해설을 보충하여 편찬한 〈설문해자익징 說文解字翼徵〉이 있다.

개화기 무렵에는 외국인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한자가 아닌 한글 어휘들이 표제어로 등장하는 대역사전이 편찬되었다. 대표적인 사전으로 프랑스 선교사들이 편찬한 〈한불자전 韓佛字典〉(1880), H. G. 언더우드 편찬의 〈한어자전 韓語字典〉(1890), J. 스콧 편찬의 〈영한자전 English-Corean Dictionary〉(1891), J.S.게일 편찬의 〈한영자전 韓英字典〉(1896) 등을 들 수 있다.

일제강점기 상황에서도 몇몇 사전들이 출간되었는데, 조선총독부 편 〈조선어사전 朝鮮語辭典〉(1920), 김동성(金東成) 편 〈최신선영사전 最新鮮英辭典〉, 조선어연구회 편 〈선화신사전 鮮和新辭典〉(1930), 문세영 편 〈조선어사전 朝鮮語辭典〉(1936)과 그 증보판인 〈수정증보 조선어사전 修正增補朝鮮語辭典〉 등이 있다.

한편 조선어학회가 1936년부터 본격화한 사전편찬사업은 일제로 말미암아 수많은 역경을 겪으면서 추진되어오다가, 해방 이후인 1947년에 조선어학회의 후신인 한글학회 편 〈큰사전〉 첫권이 을유문화사에서 발행되었다. 그후 1957년에 전 6권으로 완간된 〈큰사전〉은 본격적인 국어사전으로 이후 많은 국어사전들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밖에도 1958년에 어휘주석 중심의 〈국어새사전〉이 동아출판사(지금의 두산동아) 발행으로 출간되었고, 1961년에는 백과사전을 겸한 주석사전인 이희승(李熙昇) 편 〈국어대사전〉이 민중서관 발행으로 간행되었다.

또한 한글학회에서는 1992년 〈우리말 큰사전〉을 출간했다.

1945년 해방 후에는 수많은 외국어 대역사전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오늘날에는 각종 국어 주석사전은 물론, 세계 각국어의 대역사전도 그 양과 질에 있어서 매우 다양하게 간행되고 있으며, 전문용어 사전을 비롯한 각종 전문사전의 편찬 및 간행도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한국의 사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