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훈몽자회

다른 표기 언어 訓蒙字會

요약 최세진은 한자 학습에 사용된 천자문과 유합 등의 책이 실제 사물과 직결된 실자들을 충분히 다루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여 실자를 위주로 이 책을 편찬했다. 상·중·하 각 권에 1,120자씩 총 3,360자를 수록하였다. 한자 배열은 상권을 천문·지리 등 16개 부문, 중권을 인류·궁택 등 16개 부문으로 나누어 전실자를 수록했고, 하권에는 잡어라고 하여 반실반허자를 수록했다. 천자문과 유합에 비해 한자 수가 많았기 때문에 한자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상권 첫머리에 훈몽자회인과 범례가 실려 있는데, 범례의 끝에 '언문자모'라 하여 그 당시의 한글 체계와 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있다. 또한 3,360개의 한자에 각자마다 새김·소리·주석을 붙여놓았다. 새김은 우리말의 역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최세진은 당시 한자 학습에 사용된 천자문과 유합 등의 책이 실제 사물과 직결된 실자들을 충분하게 다루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여 '조수초목지명'과 같은 실자를 위주로 이책을 편찬했다.

훈몽자회

최세진이 지은 조선시대 한자학습서 〈훈몽자회〉,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중·하 각 권에 1,120자씩 총 3,360자를 수록하고 있다. 한자의 배열은 상권을 천문·지리 등 16개 부문, 중권을 인류·궁택 등 16개 부문으로 나누어 전실자를 수록했고, 하권에는 잡어라고 하여 반실반허자를 수록했다. 천자문과 유합에 비해 한자의 수가 많았기 때문에 전통 사회에서의 한자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책의 상권 첫머리에 훈몽자회인과 범례가 실려 있는데, 범례의 끝에 '언문자모'라 하여 그 당시의 한글 체계와 용법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 3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첫째, '언문자모'에는 〈훈민정음〉의 28자 중에서 '이미지'이 빠진 체계를 보여준다. 둘째, 이 27개의 글자를 '초성종성통용팔자'·'초성독용팔자'·'중성독용십일자'로 나누었다. 셋째, 각 글자 밑에 '기역 其役, 니은 尼隱, 디귿 池이미지, 리을 梨乙, 미음 眉音, 비읍 非邑, 시옷 時이미지, 이응 異凝', '키 이미지,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이미지 而, 이 伊, 히 屎, 아 阿, 야 也, 어 於, 여 余, 오 吾, 요 要, 우 牛, 유 由, 으 應 不用終聲, 이 伊 只用中聲, 이미지 思 不用初聲'과 같은 표기를 했다. 이것은 우리 글자의 이름을 처음으로 짓고 자모의 순서를 정한 것이다.

'팔종성법'이라는 언급은 맞춤법 상으로 볼 때 이론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서 한말의 문자 정리기에 혼란을 가져오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편법은 그 당시의 관습을 정리한 것이고, 그로 인해 당장의 편리한 기능을 발휘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3,360개의 한자에 각자마다 새김·소리·주석을 붙여놓았다. 새김은 우리말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한자음 표기도 한국의 한자음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며 주석의 내용은 한자의 자체에 관한 것, 용례에 관한 것 등이다.

이 책은 조선광문회 판본(1913)까지 약 10여 차례나 중간되었다. 1527년 간행된 일본 교토[京都] 히에이 산[北叡山]의 에이산[叡山]문고본은 현재 유일한 활자본이며 초간본으로 추정된다. 일본 도쿄대학[東京大學] 소장본은 현존 목판본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고, 일본 도쿄 손케이카쿠[尊經閣] 문고본은 임진왜란 이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문고본은 고전 복간사업으로 간행된 것이다. 이 가운데 초간본과 도쿄대학본은 1971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손케이카쿠본은 1966~67년 〈한글〉지에 영인된 바 있다. 위의 이본들은 하권 끝장의 뒷면 첫행의 제3·4자가 '瀰漫'과 '洛汭'로 쓰인 2가지 판본으로 나뉘는데 '瀰漫본'이 더 오래된 것이다.

〈훈몽자회〉는 한글 자모의 내용과 이름에 대한 문자사의 연구와, 판본에 대한 서지학적인 연구, 그리고 국어사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훈몽자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