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금동약사불입상과 더불어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상으로 손꼽히는 상이다. 우견편단의 법의에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하고, 수인은 아미타구품인 가운데 하품중생인을 취하고 있는데 양손의 좌우가 바뀐 것은 불국사비로자나불좌상에서도 보이는 공통된 특징이다. 얼굴은 넓적하고 살이 붙은 편이며 약간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66cm.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금동약사불입상과 더불어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상으로 손꼽히는 상이다. 특히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과는 거의 같은 양식과 조각수법을 보여주고 있어 같은 시기에 동일한 주조소에서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우견편단의 법의에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하고, 수인은 아미타구품인 가운데 하품중생인을 취하고 있는데 양손의 좌우가 바뀐 것은 불국사비로자나불좌상에서도 보이는 공통된 특징이다.
얼굴은 넓적하고 살이 붙은 편이며 약간 근엄한 인상을 풍긴다. 짧은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신체비례는 석굴암 본존상과 유사하지만 세부표현에서는 약간 형식적인 면이 보이며, 옷주름선이 좀더 복잡하게 처리되었다. 신체에 밀착된 법의는 조금 두텁고, 팔과 가슴의 묘사도 석굴암 본존상보다는 긴장감을 잃은 편이지만 왼손 아래로 흘러내린 옷자락과 왼쪽 어깨에서 무릎에 이르는 옷주름의 표현은 경우에 따라 높낮이를 달리하여 전체적으로 사실적인 느낌을 준다.
이 상의 제작시기 역시 불국사금동비로자나불좌상과 마찬가지로 양식적인 기준에 의해 8세기말로 보는 견해와 최치원의 찬문에 의해 9세기말로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