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불국사 비로전에 봉안되어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두 손은 가슴 쪽으로 올려 지권인을 취하고, 우견편단으로 법의를 입고 결가부좌의 자세를 하고 있다. 얼굴의 표정 자체도 근엄하지만 넓은 어깨에 허리를 곧게 세워 배가 약간 나온 자세는 더욱 위압감을 준다. 전체적으로 장중한 느낌을 주는 이 상의 제작연대는 그 양식에 의해 8세기말로 보는 견해와 〈불국사사적기〉 가운데 최치원이 쓴 〈비로자나문수보현상찬〉에 근거해 9세기말로 보는 견해가 있다.
국보(1962.12.20 지정)호. 높이 177cm. 두 손은 가슴 쪽으로 올려 지권인(智拳印)을 취하고, 우견편단으로 법의를 입고 결가부좌의 자세를 하고 있다.
지권인은 본래 밀교에서 금강계만다라의 주존인 대일여래, 즉 마하비로자나가 취하는 수인으로 이때 대일여래는 머리카락을 늘어뜨리고 영락으로 장식한 보살의 형태로 표현되는데, 이 불상처럼 나발이 있는 육계에 부처의 형상으로 지권인을 한 경우는 다른 나라에서는 유례가 없는 것으로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일반적인 지권인과 달리 오른손은 아래로, 왼손은 위로 올라가 극락전의 아미타상처럼 두 손의 위치가 바뀐 것도 특이한 점이다.
얼굴의 표정 자체도 근엄하지만 넓은 어깨에 허리를 곧게 세워 배가 약간 나온 자세는 더욱 위압감을 준다. 두 무릎의 폭이 넓어 안정된 느낌을 주지만 허리가 길어지고 얼굴과 드러난 오른쪽 어깨의 살은 약간 탄력감을 잃은 듯하다. 왼쪽 어깨에서 흘러내린 옷은 불신에 밀착되어 허리와 배를 둥글게 감싸고 있는데 도드라진 옷주름의 표현은 도식화된 편이다.
전체적으로 장중한 느낌을 주는 이 상의 제작연대는 그 양식에 의해 8세기말로 보는 견해와 〈불국사사적기〉 가운데 최치원이 쓴 〈비로자나문수보현상찬(毘盧舍那文殊普賢像讚)〉에 근거해 9세기말로 보는 견해가 있다. 원래 대웅전에 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중수할 때 극락전으로 옮겼다가 1973년 복원공사 후 다시 비로전으로 옮긴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