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경주 불국사 다보탑

다른 표기 언어 慶州佛國寺多寶塔 동의어 다보여래상주증명탑, 多寶如來常住證明塔
요약 테이블
문화재 지정 국보(1962.12.20 지정)

요약 국보(1962.12.20 지정)이다. 높이 10.4m로 전형적인 신라 석탑 양식과는 매우 다른 이형 석탑이다. <법화경>의 <견보탑품>에 근거하여 건립된 것으로 다보여래를 상징하는 탑이다. 따라서 불국사의 두 탑은 석가·다보여래를 상징한다. 이형 석탑이지만 탑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따라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이루어졌으며 정사각형의 기단은 사제와 8정도의 근본도리를 밝힌 것이고, 1층부터 보주까지는 10지의 등각·묘각을 상징한다. 하층기단의 4면에는 계단이 있고 양쪽에 난간의 석주로 보이는 유구가 서 있다. 상층기단에는 4개의 우주와 중앙에 탱주가 서 있으며, 우주 위에는 2단의 두공이 십자형으로 놓여 있고 그 위에 갑석을 올려놓았다. 탑 사방의 보계가 마련된 갑석 위에 있던 4마리의 사자상은 현재 1마리만 남아 있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0.4m. 전형적인 신라 석탑 양식과는 매우 다른 이형 석탑이다.

불국사다보탑

불국사다보탑(통일신라), 국보 제20호, 높이10.4m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법화경〉의 〈견보탑품 見寶塔品〉에 근거하여 건립된 것으로 다보여래를 상징하는 탑이다. 〈견보탑품〉은 다보여래가 〈법화경〉의 진리를 설하는 석가여래를 찬양하자 석가여래가 자리 한쪽을 비워 나란히 앉게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불국사의 두 탑은 석가·다보 여래를 상징하며,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한 쌍탑의 하나이다.

이형 석탑이지만 탑의 기본적인 구조를 그대로 따라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이루어졌으며 정사각형의 기단은 사제와 8정도의 근본도리를 밝힌 것이고, 1층부터 보주까지는 10지의 등각·묘각을 상징한 것으로 탑 자체가 불(佛)임을 나타낸 것이다. 하층기단의 4면에는 계단이 있고 양쪽에 난간의 석주로 보이는 유구가 서 있다. 상층기단에는 4개의 우주와 중앙에 탱주가 서 있으며, 우주 위에는 2단의 두공이 십자형으로 놓여 있고 그 위에 갑석을 올려놓았다.

갑석 위에는 8각형의 신부가 3단 있는데 하단은 4각형의 난간 속에 별석을 돌렸고, 중단은 8각 난간 속에 죽절형의 기둥을 세웠고, 상단은 8각 앙련 위에 꽃술형 기둥 8개가 8각의 신부를 돌려싸고 있다. 옥개석도 역시 8각이며 그 위에 노반·복발·앙화·보륜·보개로 이루어진 상륜부가 있다. 1925년 일본인들에 의해 해체·수리되었으나 이때 발견된 유물은 현재 행방을 알 수 없다. 탑 사방의 보계가 마련된 갑석 위에 있던 4마리의 사자상은 현재 1마리만 남아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상북도

경상북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경주 불국사 다보탑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