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재 지정 | 국보(1962.12.20 지정) |
---|
요약 통일신라시대의 약사여래입상. 경주 북쪽 소금강산의 백률사에 있던 것을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진열하고 있다. 현재 광배·대좌·양손을 잃은 상태이며 머리는 나발이고 네모난형에 가까운 얼굴에 미소를 약간 띠고 있다. 팔모습으로 보아 본래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은 배 앞에 수평으로 들어 약합을 받쳐들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국보(1962.12.20 지정). 높이 177㎝. 경주 북쪽 소금강산의 백률사에 있던 것을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진열하고 있다. 불국사의 금동아미타불좌상·금동비로자나불좌상과 함께 우수한 주조기술을 보여주는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상으로 알려져 있다. 등신대의 상 전면에는 채색이 남아 있으며 곳곳에 도금을 했던 흔적이 보인다.
현재 광배·대좌·양손을 잃은 상태이며 머리는 나발이고 네모난형에 가까운 얼굴에 미소를 약간 띠고 있다. 어깨가 넓고 하체가 길며, 배를 내밀고 자연스럽게 선 자세로 균형잡힌 비례를 보여준다. 법의는 통견이며 넓게 드러난 가슴에 내의[掩腋衣] 단이 비스듬히 지나가고 그 밑으로 내의를 묶은 띠매듭이 보인다. 법의가 몸에 밀착되어 몸 앞에서 U자형의 도드라진 주름선이 반복되는데 주름은 하나씩 건너 중간에서 끊기며 두 다리의 굴곡이 강조되고 있다.
현재 팔모습으로 보아 본래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은 배 앞에 수평으로 들어 약합을 받쳐들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뒷면에는 큰 구멍이 있어 안이 보이며 광배촉이 머리 뒤에 남아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의 불상에 비해 신체적인 양감이 줄어든 점, 형식화된 옷주름 표현, 신체가 장대해진 점, 얼굴의 세부표현 등이 불국사 금동불상 2구와 흡사하며 특히 늘어진 귀부리가 판에 박은 듯 도식적인 곡선을 이룬 점이 위의 두 상과 같다. 양식적으로 보아 8세기말에서 9세기초에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통일신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