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목차
접기북아메리카는 많은 사람들이 개발에 참여해 세계 경제의 주도지가 되었고 그결과 이용도가 높은 생산적인 대륙이 되었다. 농업은 남부의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에서는 주된 경제활동이지만 그밖의 지역에서는 중요도가 다소 떨어진다.
열대지역
이 지역에서 스페인 사람들은 표고의 차이에 따라 땅을 잘 활용했다. 저지인 티에라칼리엔테('뜨거운 땅'이라는 뜻)의 다우지역에서는 사탕수수를 키우고, 중간 표고의 티에라템플라다('온화한 땅'이라는 뜻)에서는 밀을 재배하고 가축을 사육하며, 고지의 등성이인 티에라프리아('추운 땅'이라는 뜻)에서는 양을 사육했다. 그뒤 해안평야와 바람이 불어오는 쪽 경사지의 습지대에서 오렌지 과수원, 커피·코코아·바나나 농장을 개발했다.
목화와 대마는 해안과 등성이의 중간 지대에 위치한 따뜻하고 건조한 분지에서 재배된다. 이 작물들은 중앙 아메리카 국가와 멕시코의 주요수출품목이 되었으며, 주로 미국과 유럽으로 수출된다.
아열대와 온대 지역
미국의 아열대와 온대 지역에서는 대규모의 과일·야채·목화·담배 농사가 이루어진다. 오자크 산맥과 애팔래치아 산맥이 북극의 차가운 공기를 막아주고 멕시코 만이 따뜻한 온대기단을 만드는 지역인 동부 텍사스와 플로리다에서는 감귤류 재배가 성하다.
캘리포니아의 센트럴밸리 지역은 겨울 강우량이 적당하고 여름에 햇살을 받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감귤류 재배지로는 최적지이다. 멕시코 만 연안평야와 대서양 연안 남동부지역의 모래 토양에서는 겨울 야채들이 널리 경작되는데, 이들 지역은 비가 많이 내리고 서리가 내리지 않는 기간이 길다(200~340일).
목화는 연강우량 1,500㎜ 이하, 무상 기간이 200일 이상인 지역에서 잘 자란다. 담배는 버지니아와 켄터키의 모래 토양에서 집중 재배된다. 담배와 목화 밭에서는 다모작(호밀·옥수수·겨울밀 등)이 가능하다.
한랭·습윤 지역
대륙의 한랭·습윤 지역에서는 견과류가 재배된다. 애팔래치아 산맥의 계곡지역과 조지아에서 시작해 버지니아에까지 이르는 피드몬트 고원, 뉴욕의 핑거 호 지역, 나이애가라 반도와 미시간 호의 동쪽 연안, 워싱턴의 컬럼비아 분지와 브리티시컬럼비아 등이 한랭습윤지방이다. 따뜻한 여름 지역의 옥수수지대는 오하이오 강에서 미주리 저지 연안까지 이어진다. 이곳은 여름이 일찍 찾아오기 때문에 식물들이 빨리 생장하고 강렬한 여름 햇살로 옥수수가 잘 익는다.
뉴잉글랜드와 오대호-세인트로렌스 지역의 낙농지대는 짧은 경작기간과 시원한 여름 기후를 최대한으로 이용한다. 이곳에서는 클로버, 티머시, 딱딱한 곡류들이 잘 자란다. 워싱턴과 브리티시컬럼비아의 비옥한 목축지에서는 이러한 기후조건을 이용한 목축이 성하다.
옥수수지대의 서쪽, 반습윤지대에는 대륙의 광대한 밀 생산지대가 자리잡고 있다. 주로 네브래스카에 자리잡고 있는 겨울밀 지대는 서리 지대의 남쪽에 놓여 있다. 노스다코타, 사우스다코타, 캐나다 평원, 컬럼비아 분지의 일부로 구성된 봄밀 지대는 혹한의 겨울을 피해 봄에 파종을 한다.
건조지역
대평원과 산간분지의 건조지역은 오랫동안 목장으로만 이용되어왔다. 헤리퍼드종의 가축을 영국에서 수입해 대평원의 키작은 풀밭에 방목했다. 한편 북아메리카 원산의 가축들은 이 지대에서 방목할 수가 없다. 훨씬 더 건조한 지역이나 산간고지에서 사육되는 양은 털을 얻기 위한 것이다.
가까운 하천이나 아르트와식 우물(수압을 이용해 물이 나오도록 한 것)을 이용한 관개는 필요한 추가분의 건초 재배와 목축에 도움이 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북아메리카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