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다른 표기 언어 wheat
요약 테이블
분류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밀속
원산지 중동 (터키), 북아메리카 (미국,캐나다), 아시아 (인도,중국,카자흐스탄), 유럽 (우크라이나,러시아,프랑스)
서식지
크기 약 1m
학명 Triticum aestivum L.

요약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에 속하는 식물. 가장 오래되고도 중요한 작물 중의 하나로, 원산지는 카프카스 남부의 아르메니아 지방으로 추정한다. 밀은 크게 가을밀과 봄밀로 나뉜다. 가을밀은 가을에 씨를 뿌리며, 봄밀은 대개 봄에 씨를 뿌리지만 겨울이 춥지 않은 곳에서는 가을에 봄밀을 심기도 한다. 기후와 토양의 종류에 별 상관없이 자라지만, 강수량이 30~90cm 되는 온대지방에 가장 잘 적응한다. 제분한 밀인 밀가루의 대부분은 빵의 원료로 쓰인다.

ⓒ WIKIMEDIA COMMONS (public domain) | public domain

정의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에 속하는 곡물. 학명은 Triticum aestivum L.이다. 밀의 원형은 BC 7000년에 이미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자라고 있었다. 한국에는 인도와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라 및 백제 시대의 유적에서 탄화된 밀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재배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밀의 최다생산국은 중국이며, 국산 밀의 재배 및 생산량은 감소하여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다.

형태

잎은 길고 가늘며, 대부분의 변종들의 줄기는 속이 비어 있다. 줄기 끝에 20~100개의 꽃이 피는데, 꽃은 작은 이삭에 무리 지어 달리며 각각의 작은 이삭에는 꽃이 2~6개 핀다. 작은 이삭의 꽃 가운데 2~3개의 꽃에서만 수정이 일어나 곡물이 맺힌다.

생태

기후와 토양의 종류에 별 상관없이 자라는 밀은 강수량이 30~90cm 되는 온대지방에 가장 잘 적응하지만 북극권에서 적도까지, 해수면 이하에서 해발3,000m 정도인 곳까지, 그리고 강수량이 30cm 이하인 곳에서 170cm 정도인 지역까지 자란다.

밀은 크게 가을밀과 봄밀의 2가지로 나뉘는데 겨울이 얼마나 추운가에 따라 이 2가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가을밀은 항상 가을에 씨를 뿌리며, 봄밀은 대개 봄에 씨를 뿌리지만 겨울이 심하게 춥지 않은 곳에서는 가을에 봄밀을 심기도 한다.

종류

수천 가지의 변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 을 만드는 데 쓰는 밀(Triticum vulgare/T. aestivum), 스파게티나 마카로니 같은 파스타를 만드는 데 쓰는 듀럼 밀(T. durum), 케이크·크래커·쿠키·페이스트리·중력분 등에 쓰는 부드러운 콤팍툼 밀(T. compactum) 등이 특히 중요하다.

활용

예전에도 때때로 주식 대용으로 쓰이기는 했으나 최근 식생활 양식이 변함에 따라 밀가루의 소비량이 매우 늘어나고 있다. 밀가루의 대부분은 빵을 만드는 데 쓰인다. 건조한 지역에서 자란 밀은 대개 경질(硬質) 밀로 단백질이 11~15% 함유되어 있고 글루텐 함량이 풍부해서 빵을 만드는 데 가장 적합하다. 반면에 습기 찬 지방에서 자란 밀은 연질(軟質) 밀로서 단백질이 8~10% 함유되어 있고 글루텐 함량이 적어서 케이크·크래커·쿠키·페이스트리, 가정용 밀가루 등에 알맞다.

듀럼 밀의 배젖으로 만든 세몰리나파스타를 만드는 데 쓰인다. 대부분의 밀은 사람이 먹기 위해 재배하고 약 10%는 씨앗으로 쓰기 위해 남기지만, 녹말·풀·엿기름·덱스트로오스·글루텐·알코올 및 그밖의 제품 등을 만들기 위해 공업용으로도 소량이 쓰이고 있다. 질이 떨어지거나 남아도는 밀 또는 제분과정에서 나오는 여러 부산물들은 가축의 먹이로 쓰인다.

사람이 필요로 하는 주에너지원인 밀은 그 구성요소가 기후와 토양에 따라 약간씩 다르다. 보통 한 알갱이에는 물 12%, 탄수화물 70%, 단백질 12%, 지방 2%, 무기질 1.8%, 조섬유 2.2% 등이 함유되어 있다. 밀 100g은 약 330㎈의 열량을 낼 수 있다. 소량의 비타민 A가 밀에 들어 있지만 제분과정에서 비타민이 가장 많이 들어 있는 밀기울과 씨눈이 떨어져 나간다.

현황

밀의 최다생산국은 중국으로 한 해에 대략 1억t 이상을 거두어들인다. 그 밖의 주요생산국은 미국·러시아·인도·우크라이나·프랑스·캐나다·카자흐스탄·터키 등이다. 농경의 기원과 더불어 재배되기 시작한 세계 최고 작물의 하나로, 보통 밀은 원산지가 아프가니스탄 및 카프카스에 이르는 지역, 특히 카프카스 남부의 아르메니아 지방으로 추정된다. 중국에서는 오곡설정시대(五穀設定時代:BC 2700), 일본에서는 신화시대(神話時代) 이래 가장 주요한 작물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는 인도와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신라 및 백제 시대의 유적에서 탄화된 밀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에 이미 재배되었음을 알 수가 있다. 밀은 보리보다 재배하기가 쉽고 유리한 점도 있는 반면에 수확기가 7~10일 정도 늦고 수익성도 낮으며, 또한 국산 밀은 외국산 밀보다 품질은 낮고 값은 오히려 비싸서 경쟁에서 뒤지고 있다. 이로 인해 외국으로부터 밀의 수입량이 급증하는 반면 국산 밀의 재배 및 생산량은 감소하여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69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밀
다른 백과사전

속씨식물 종류

추천항목


[Daum백과]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