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953년 휴전협정 체결 이래 비무장지대(폭 4㎞)는 물론 그 남방한계선 이남의 민간인 출입통제구역(폭 5~20㎞)은 인간의 간섭을 받는 정도가 곳에 따라 다르고 또는 전혀 받지 않아 자연 그대로인 곳도 많기 때문에 생태학상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에 한국자연보존위원회(지금의 사단법인 한국자연보존협회)는 1966년 5월 서울신문사의 후원으로 민간인 출입통제구역의 문산 서북부지역을 예비답사했고, 1966년 7월부터 미국 스미스소니언 연구소의 학자들과 공동으로 그곳의 생태학적 연구를 추진해서 1968년 6월말 예비조사를 끝마쳤다. 그러나 남북관계의 악화로 본조사가 후속되지는 못했다. 그후 한국자연보존협회가 문화재관리국의 후원으로 1974년 이 지역의 종합학술조사를 실시해 이듬해에 보고서를 냈고, 1987년 강원도와 경기도는 각각 관할구역의 〈민통선북방지역 자원조사보고서〉를 냈으며, 1992년 문화재관리국은 〈비무장지대인접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를, 환경처는 〈비무장지대 인접지역(민통선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들은 모두 동물에 관해서는 무척추동물의 곤충류와 척추동물만을 다루었지만, 이 지역의 동물상의 일부를 엿볼 수 있게 하고 비무장지대의 동물상을 미루어볼 수 있게 한다.
이 지역은 동고서저 지형에 계곡·하천·습지 등 조건을 달리하는 여러 가지 자연환경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상과 동물상이 곳에 따라 다양하다. 1992년의 문헌에 따라 종합된 것을 보면 다음과 같다. 곤충의 경우 비수서성인 것이 총 9목(메뚜기·사마귀·집게벌레·노린재·매미·나비·딱정벌레·벌·파리 등) 181과 1,215종, 수서성인 것이 총 7목(하루살이·잠자리·강도래·뱀잠자리·날도래·딱정벌레·파리 등) 33과 78종이 알려졌다.
담수어는 경기도에서 47종, 강원도에서 35종이 조사되었는데, 이들 중 한반도 고유종이 각각 15종과 16종 들어 있다.
어류상을 비교해보면 경기도와 강원도에 매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희귀어종의 경우 강원도에서는 산천어·열목어·버들가지·금강모치·가는돌고기·새미·어름치·미유기 등을 볼 수 있는 반면 경기도에서는 버들매치·몰개·꾸구리·묵납자루·눈동자개·미유기·퉁가리·쏘가리·모치망둑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양서류는 경기도 구역에서 유미류 1종, 무미류 8종, 강원도 구역에서 유미류 2종, 무미류 8종 등 2개 지역에서 2목 5과 11종이 조사되었으며 맹꽁이는 경기도에서만, 꼬리치레도롱뇽과 물두꺼비는 강원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경기도에서 도마뱀류 2종, 뱀류 6종, 강원도에서 자라, 도마뱀류 2종, 뱀류 10종 등 2개 지역에서 2목 4과 14종이 조사되었는데 표범장지뱀은 경기도에서만, 자라·아무르장지뱀·대륙유혈목이·실뱀·까치살모사는 강원도에서만 발견되었다.
조류는 경기도의 연천군에서 가마우지를 비롯한 36종, 강화도에서 해오라기를 비롯한 37종, 교동도에서 논병아리를 비롯한 35종이 발견되었으며 강원도의 향로봉에서는 새매를 비롯한 11종, 건봉산에서 검은댕기해모라기를 비롯한 24종, 대우산에서 멧비둘기를 비롯한 21종, 서화에서 붉은머리오목눈이를 비롯한 8종, 천미리에서 중대백로를 비롯한 15종, 두타연에서 까치를 비롯한 7종, 흰바우산에서 꿩을 비롯한 21종, 적근산에서 까마귀를 비롯한 7종, 천불산에서 박새를 비롯한 24종, 한탄강과 남대천에서 원앙을 비롯한 10종, 학저수지에서 논병아리를 포함하는 16종이 관찰되었는데, 종의 다양성은 경작지가 가장 높았고 다음이 계곡지역과 산림지역의 순이었다고 한다.
포유류는 경기도에서 5목 12과 25종, 강원도에서 5목 13과 31종이 알려져 있으며, 강원도에는 경기도에서 발견하지 못한 하늘다람쥐·곰·수달·표범·사향노루·산양 등도 발견되었다.
예전에 있었던 호랑이·늑대·여우는 멸종되었으며, 수달·사향노루·곰·산양·하늘다람쥐 등은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고, 고라니·청설모·다람쥐·두더지 및 쥐류 등은 서식밀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비무장지대의 거의 대부분과 민간인 출입통제구역의 생태보전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민간인 출입통제구역의 동물생태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