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문화변동의 요인들
미크로네시아 문화는 외부인들과 접촉한 결과 심각한 변화를 겪게 되었다. 17세기말 스페인이 마리아나 제도를 점령했으며, 이어 19세기에는 고래 사냥꾼과 상인들이 들어왔다. 이밖에도 독일·영국 등이 이 지역을 차례로 점령했으며 제1·2차 세계대전에는 일본군이 진주했고, 전후에는 미군이 일본군 점령지를 접수했다(→ 일본사).
그결과 최소한 미크로네시아 일부 지역에서 상당한 인종적·문화적 혼융이 발생했다. 대외무역의 발달로 직물이나 도기제작과 같은 일부 전통공예가 사라졌다. 미크로네시아 내부의 이동은 여러 섬 사이의 이주를 촉진시켰으며 주민들이 미크로네시아 문화 전반에 걸친 유사성을 자각하도록 했다. 대외무역으로 유입된 외래 상품과 관습으로 또다른 형태의 비슷한 생활양식이 형성되었다. 상당수의 주민이 일반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섬들에서 인구압력·학교·선교·의료·일자리를 비롯한 이점 때문에 고도가 높은 화산섬들로 이주하는 추세도 두드러졌다.
근대화의 영향
모든 미크로네시아 공동체들이 외국의 지배세력을 인정하고 있다. 길버트 제도는 영국이, 미국령 태평양제도와 괌은 미국이 지배하고 있으며, 나우루 섬만이 유일하게 독립해 있다.
전통적인 정치세력은 지역에 따른 편차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약화된 상태이다. 모계와 다른 친족 사이의 차이를 중시하던 지역에서도 이러한 관념이 많이 약해졌다. 먼 모계친족들 사이의 결혼 금기 역시 일부 섬들(쿠사이에·모킬)에서는 완전히 무시되기까지 한다. 예전에는 남에게 상해를 입히면 친족집단이 나서서 해결했으나 이제는 경찰이 그러한 역할을 맡고 있다.
모든 미크로네시아인들이 1차언어로 미크로네시아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제는 영어가 학생들이나 젊은이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이 지역에 살고 있는 미국인이나 방문객들과 대화할 때도 영어가 쓰이는 것이 보통이다. 일본의 지배를 받던 지역에서는 나이든 사람들 사이에서 일본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아직도 미크로네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정령숭배와 주술이 계속되고 있지만 주민들은 대부분 그리스도교도이다. 개신교는 가톨릭보다 늦은 19세기에 이 지역에 전파되었지만 현재는 오히려 우위를 점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일본이 전파한 문화 가운데서 특히 예술과 놀이 분야의 영향이 두드러진다. 미국령 태평양 제도와 괌에서는 일본인이 도입한 야구가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이다. 전통음악은 서구에서 들어온 대중가요보다 연주되는 빈도가 떨어진다. 많은 지역에 고유의 놀이·춤·음악이 전승되고 있지만 지역 공동체 주민들보다는 방문객의 흥을 돋우기 위해서 행해지는 편이다. 앞으로 관광업이 더욱 발전하더라도 그때문에 전통적인 예술·공예·놀이 등이 되살아날 것 같지는 않다. 그들의 문화에 나타나 있듯이 미크로네시아인들은 이미 현대세계에 한 발을 내딛은 상태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미크로네시아 지역의 문화변동 – 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