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미크로네시아 지역

다른 표기 언어 미크로네시아 , Micronesia
요약 테이블
위치 태평양 북서부
공식명칭 마이크로네시아 연방국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언어 미크로네시아어,영어
국가 키리바시, 괌(미국), 나우루, 북마리아나 연방, 미크로네시아 연방, 마셜 제도 공화국, 팔라우 공화국

요약 태평양 북서부에 있는 지역. 키리바시·괌·나우루·북마리아나 연방·미크로네시아 연방·마셜 제도 공화국·팔라우 공화국 등의 제도가 포함된다. 대부분이 적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평양 제도 최서단까지 뻗어 있다. 오스트로네시아계·폴리네시아계 언어를 사용하지만 영어가 제2언어로 많이 사용된다. 자급농업과 어업에 경제의 기반을 두고 있고 관광업이 점차 중요한 산업이 되고 있다. 1914년 이후 일본이 미크로네시아를 점령·관할하다가 1944년 미국이 점령하고 1947년 국제연합의 승인을 받은 후 신탁통치를 했다. 1978년 제안된 헌법을 투표에 부쳐 미크로네시아 연방이 형성되었고, 북마리아나 제도는 1978년에 미국의 연방체가 되었다.

Pacific Islands, Guam

ⓒ androver/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체로 작은 여러 섬들과 키리바시(옛 이름은 길버트 제도), 괌, 나우루, 북마리아나 연방, 미크로네시아 연방(캐롤라인 제도에 속하는 야프·포나페[폰페이]·트루크·코스라이에), 마셜 제도 공화국, 팔라우(벨라우) 공화국 등의 제도가 포함된다.

미크로네시아(그리스어로 '작다'는 뜻의 mikros와 '제도'라는 뜻의 nesoi에서 유래) 섬들은 대부분이 적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태평양 제도 최서단까지 뻗어 있다.

활 모양으로 늘어선 미크로네시아 섬들은 해저(海底)의 균열을 통해 분출된 용암으로 세워진 화산맥의 급작스러운 융기에 의해 형성되었다. 해저화산군이 해수면 위로 융기된 결과 생긴 미크로네시아의 여러 섬들은 대체로 뾰죽한 봉우리와 능선, 절벽, 개울이 흐르는 협곡, 폭포 등이 있는 험준한 지형을 이루고 있다.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에 '고산 섬'이라고 불리는 섬들은 흔히 산호초로 둘러싸여 있다. 반면 고도가 낮은 섬들은 산호로만 형성되어진 섬들로 단일 산호초군을 이루거나 또는 환상산호초(環狀珊瑚礁)를 이루는데 후자의 경우가 더욱 일반적이다. 마셜 제도의 과잘레인 환초는 세계 최대의 환상산호초이다. 이 섬들의 지표는 대부분 홍수림·열대림·관목들로 덮여 있다. 원산동물로는 뱀과 도마뱀, 수많은 종류의 조류가 있으며 고산 섬에는 아주 다양한 식물군과 동물군이 있다. 사주(砂洲)나 초호(礁湖)에는 바닷가재·새우·대합·굴·문어·거북과 기타 수많은 종류의 어류가 풍부하게 서식하고 있다.

미크로네시아 서부(팔라우와 마리아나 제도를 포함)에는 약 3,500년 전에 인도네시아나 필리핀에서 온 사람들이 처음으로 정착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며, 미크로네시아 동부에는 거의 같은 시기에 멜라네시아 동부에서 온 사람들이 정착했던 것으로 보인다. 미크로네시아의 고산 섬들은 7가지 주요문화권을 이루는데 마리아나 제도 최남단 4개 섬에 분포된 차모로족 문화, 팔라우족 문화, 야프족 문화, 트루크 초호의 12여 개 섬에 분포된 트루크족 문화, 폰페이족 문화, 코스라이에족 문화, 일부 나우루족 문화권이 그것이다. 해발고도가 낮은 섬들에는 뚜렷한 2개의 문화권이 있는데 마셜 제도와 길버트 제도(키리바시를 구성) 문화가 바로 그것이다. 바나바 문화는 길버트 제도 문화와 아주 흡사하다.

미크로네시아 취락형태의 전형은 산개(散開)한 대가족 자작농장이었다. 보다 큰 환초에서 살던 사람들은 주로 초호변에 거주했고, 고산 섬에 사는 일부 사람들은 방어 목적에서 보다 높은 지대에 사는 것을 선호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미크로네시아 마을공동체에는 공회당과 카누 창고들이 있었으며, 유럽인들이 들어올 무렵 미크로네시아인들은 이엉으로 엮어 지은 방 하나짜리 가옥에서 대가족이 모여 살았다. 마을공동체는 20~50명이 사는 소촌락이나 기껏해야 수백 명이 모여 사는 부락들로 이루어져 규모가 작았으며 강이나 초호, 바다 부근에 자리잡고 있었다.

미크로네시아인들의 카누 제작은 상당한 수준이다. 야프족을 제외한 다른 미크로네시아인들은 대체로 모계제도를 따랐다. 일부 지역에서 결혼은 격식을 차리지 않고 이루어졌던 반면 신부가 결혼지참금을 가져가는 곳도 있었다. 일부다처제가 실시되기도 했으나 그리 흔하지는 않았다.

미크로네시아 원주민들은 일반적으로 혈연이나 결혼을 통하여 관계를 맺은 집단들끼리 서로 돕고 의지하며 그들의 사회·경제·정치 활동을 꾸려나갔고, 여러 친족집단의 남성 우두머리들이 공동체를 이끌어갔다. 일부 섬지역에서는 민주적인 의회를 구성했으며 그밖의 지역은 계급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고산 섬과 마셜 환초에서는 사회계층화로 주민들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공물로 받는 막강한 추장들이 등장했다.

일찍부터 미크로네시아인들은 자급원예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살았는데, 고산 섬에서는 원예에 더 치중했으며 환초에 사는 주민들은 어업(특히 심해견지어업)에 보다 많이 종사했다. 물고기·빵나무·바나나·판다누스나무·타로토란·마·코코넛 등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주식으로 이용되었다. 그들에게 땅은 가장 중요한 재산이었다. 보다 넓은 고산 섬에서는 내륙지대 일부를 공동으로 소유했던 반면 환초지대에서는 가족단위로 땅을 소유했다. 축제는 섬생활의 중요한 일면이었으며 이는 미크로네시아에서 흔히 행해지는 여러 가지 교류형태 중 하나가 되었다.

미크로네시아인들은 몇몇 최고신과 특정지역에 결부되어 있거나 또는 특정한 기능을 한다고 믿어졌던 다수의 정령(精靈)을 믿는 다신론자들이었다.
이들은 또한 수많은 조상들과 죽은 이웃들의 혼을 숭배했는데 이들 혼들은 때때로 살아 있는 그들의 후손이나 친구들과 접촉할 수 있다고 믿었다. 노래와 춤, 이야기하기, 문신 등으로 이루어진 미크로네시아 예술은 대부분 지속적이지 못하며 현재까지 전해지는 영구적인 작품들은 거의 없다. 가장 유명한 예술작품은 팔라우에 있는 남성회관의 박공과 목재 위에 채색된 얕은 돋을새김들이다. 미크로네시아 예술은 유럽 문화와 접촉함으로써 많은 영향을 받았다. 전통음악은 찬송가나 서구의 대중음악보다 훨씬 더 들을 기회가 적어졌다.

미크로네시아인들은 대부분 그들의 전통적인 스포츠·춤·음악을 알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은 지방민들을 위해 공연되기보다는 외부인들의 호기심을 부추기기 위해 공연하는 경우가 더 많다. 전통적인 수공예품들도 대부분 수입된 세공품으로 대체되었다.

나우루, 길버트 제도, 마셜 제도, 코스라이에, 핑거 랩, 모킬, 포나페, 응가티크, 모틀록 제도, 트루크 풀루와트 지역, 워레이 지역, 야프, 팔라우 제도, 마리아나 제도에서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계 언어는 상호간에 소통되지 못한다.

엘리스 제도와 누쿠오로·카핑가마랑기의 외딴 환초에 사는 사람들은 폴리네시아계 언어들을 사용한다. 미크로네시아 전역에 걸쳐 영어는 제2의 언어로 많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대체로 고도가 낮은 섬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고산 섬으로 원주민들이 많이 이주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데, 그것은 고도가 낮은 섬에 인구가 많아져서 고산 섬에서 살면 보다 더 많은 교육 및 경제적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이다.

미크로네시아 섬들은 대부분 아직도 자급농업과 어업에 경제의 기반을 두고 있다.

대부분의 섬에서 코코넛(야자유의 원료인 코프라 생산을 위해 건조한 것)이 중요한 환금작물이다. 빵나무·카사바·타로토란·고구마·바나나·포포나무·판다누스·오렌지·파인애플·야채들은 자급작물로 재배된다. 일부 지역에서는 카카오·쌀·옥수수·수수 등도 재배한다. 괌을 비롯한 몇몇 큰 섬에서는 소와 물소를 일부 사육하기도 하나 돼지와 닭을 가장 많이 키운다.

대부분의 섬에서 우유와 낙농제품은 수입해야 한다. 나우루에서만 채굴되는 인광석을 제외하고는 대규모 광상층은 없고, 시멘트와 다른 건축자재용으로 산호 석회암을 이용하는 섬들이 많다. 나우루(인광석 가공업이 중요한 산업)와 괌(정유와 시멘트·의류·시계를 생산)을 제외하고 지역산업으로는 코프라·야자유·생선과 같은 농수산품을 가공하거나 가구, 소규모 선박, 청량음료, 수공예품을 생산하는 정도이다.

키리바시에는 또한 의류제조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은 섬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이 시행하는 프로젝트와 각지의 도로·주택·기본설비에 집중되어 있다. 주기적으로 태풍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섬에서는 수리 및 보수 시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항공운송이 확대됨에 따라 관광업이 점차 중요한 산업이 되고 있다. 관광객들도 아름다운 해변과 어장, 이국적인 열대지방 경치, 원주민들의 수공예품과 예식·춤, 제2차 세계대전 격전지 등을 찾는다. 특히 보트 여행은 어디에서든 인기이다.

1668년 스페인이 미크로네시아에 최초의 유럽 식민지를 세웠다. 1885~99년 사이 스페인은 태평양 식민지들을 잃게 되자 이곳 섬들을 독일에게 팔아넘겼다. 1914년에는 일본이 점령했으며 1920년에는 국제연맹이 위임통치령으로 지정하여 일본에게 관할하도록 했다.

제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에 미크로네시아는 일본에 의해 요새화되어 방비가 강화되었으나, 1944년 미국·일본과의 치열한 전투 끝에 미국이 미크로네시아를 점령했다. 국제연합은 1947년 미크로네시아에 대한 미국의 신탁통치를 인정했다. 미국 해군이 7년간 관리한 뒤에는 내무부의 관할하에 두어 미국 대통령이 임명하는 고등판무관이 다스리도록 했으며 원주민들에게 지방정부 구성권을 주었다. 1946~58년에 비키니와 에니위탁 환초는 핵무기 실험장으로 활용되었고 이곳 주민들은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

1968년에 미국 연방정부를 모방한 삼권분립제도가 확립되었고, 1973~74년 미크로네시아 의회는 미크로네시아가 독립에 이르게 될 헌법제정회의의 지침을 채택했다. 지역적인 차이점들 때문에 1978년 미크로네시아는 4개의 선거구로 분할되어 제안된 헌법을 투표에 부쳤다. 코스라이에·포나페·트루크·야프 지구는 제안 헌법을 승인하여 미크로네시아 연방을 형성했고, 이 헌법을 거부한 지구 중 북마리아나 제도는 1978년에 미국의 연방체가 되었다.

마셜 제도는 1979년에 독자적인 헌법을 제정했고, 팔라우는 2차례의 부결을 겪은 뒤 1980년 11월에 팔라우 공화국 헌법을 채택했다. 이 지역은 1981년에 독립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연기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태평양

태평양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미크로네시아 지역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