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월경이 없는 것.
amenorrhoea라고도 씀.
월경이란 여성 생식기관인 자궁으로부터의 주기적인 출혈을 말한다.
사춘기가 되어서도 월경이 시작되지 않거나 늦게 시작되는 것을 원발성무월경(原發性無月經)이라 하고, 일단 초경(첫번째 월경)이 있은 뒤 월경이 계속되다가 없어지는 것을 속발성무월경(續發性無月經)이라고 한다. 무월경 자체는 병이 아니며 뇌 속에 있는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 그리고 난소와 자궁 사이의 미묘한 균형이 깨졌음을 의미한다. 뇌하수체는 2개의 대뇌반구 사이 깊숙이 시상하부 뒤에 자리잡고 있는데 부분적으로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는 내분비선으로 생식선자극호르몬을 통해 난소를 자극하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만들어내게 한다. 에스트로겐은 월경주기를 조절하는데 난소에서 배란된 난자가 정자와 만나 수정이 되지 않으면 자궁의 출혈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 가운데 이상이 생기면 무월경이 될 수 있다(→ 인간의 생식계).
시상하부성무월경(視床下部性無月經)은 정신적인 충격이나 불안, 공포 또는 중뇌(中腦)의 손상 때문에 생긴다. 두개골 바닥 골절이나 뇌막염·뇌염과 같은 신경계 감염도 시상하부의 기능을 떨어뜨릴 수 있지만, 심리적 또는 정신적 원인이 가장 많으며 무월경이 유일한 증상 또는 주된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뇌하수체 종양이나 전신성 질환, 영양부족 때문으로도 뇌하수체 기능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원발성무월경에서는 생식기관이 성숙하지 않고 그대로 있으며, 음모도 없고 왜소증을 보이며 근육 발달도 미약하다. 속발성무월경은 종양이나 조직을 파괴하는 질환 또는 출혈성 쇼크 때문에 생기는데 성기가 위축되며 음모도 감소한다. 기면상태(嗜眠狀態)에 빠질 수도 있으며 체중은 줄거나 늘 수 있고 남성화될 수도 있다. 치료는 원인 질환을 치료하는 것이다.
무월경을 일으키는 난소 질환으로는 난소 낭종이나 종양 그리고 호르몬이 너무 적거나 많이 분비되는 것 등이 있으며, 성기와 관계있는 대부분의 증상은 뇌하수체성무월경과 비슷하나 성장양상은 다르다. 그밖에 무월경의 원인으로는 비만증, 질이 막히는 경우를 들 수 있고 임신·수유·폐경기 등과 같이 정상적인 이유로 인한 것도 있다. 기질적인 질환이 없으면서도 무월경 혹은 희소월경(稀小月經)이 일어날 수 있는데 이것은 신체에 별로 해를 끼치지 않는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