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사람의 평균 월경주기는 28일이다. 배란일에 난자가 자궁에 이르러 정자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수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난자는 죽어버리고 호르몬 생산이 중지되며, 자궁속막이 허물어지면서 혈액과 함께 흘러나온다.
초경은 보통 11~13세쯤에 시작되고 45~50세까지 계속된다. 월경은 5일 정도 계속되지만, 그 기간과 양은 사람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심하다. 월경이 시작되기 전 여성들은 골반 부위가 불편하고 유방에 통증이 있으며 감정이 예민해지고 몸이 붓는다. 월경 중에는 자궁이 아프거나 불쾌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배란은 월경주기 중간에 이루어지며 난자는 배란 뒤 약 2일 동안만 수정이 가능하여 이를 활용하면 피임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월경은 난소에서 배출된 난자가 수정되지 않았을 때 일어난다.
사람의 평균 월경주기는 28일이지만 21~35일도 흔하다. 주기가 시작될 때에는 자궁속막[子宮內膜]이 얇고 난소는 휴지 상태이다. 그후 뇌하수체호르몬이 작용하면 난포가 난소 안에서 성숙한다. 난포 속에서 난자는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이 호르몬의 작용으로 자궁속막이 두꺼워지고 혈관이 많아진다. 월경주기 중간쯤에 배란이 되는데 이때 난포가 터지면서 난자가 난관으로 들어가 자궁까지 가게 된다.
배란이 된 뒤에 난자를 밀어낸 난포세포는 황체를 형성한다. 이 황체는 계속하여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면서 프로게스테론도 방출하기 시작하는데, 이것이 자궁속막의 분비기를 유도한다. 자궁속막의 샘과 세포는 부풀어오르고, 자궁벽 전체가 두꺼워지면서 난자를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만일 배출된 난자가 수정되면 이 수정란은 자궁속막에 자리를 잡고 성장하기 시작한다. 만일 수정되지 않으면 난자는 죽어버리고 난소에서는 호르몬 생산이 중지되며, 자궁속막 혈관에 경련이 일어나 자궁속막이 허물어지게 된다. 그러면 월경이 시작되고 파괴된 자궁속막이 떨어져 혈액과 함께 흘러나온다. 속막조직은 다음 주기의 증식기 동안에 다시 만들어진다.
초경은 보통 11~13세쯤에 시작된다. 처음에는 월경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출혈량이 아주 많을 수도 있는데, 보통 시간이 지나면서 저절로 규칙적이 된다. 월경은 5일 정도 계속되지만, 그 기간과 양은 사람에 따라 상당히 차이가 심하다. 월경이 시작되기 전 여성들은 골반 부위가 불편하고 유방에 통증이 있으며 감정이 예민해지고 몸이 붓는다. 월경중에는 자궁이 혈액과 파괴된 조직을 배출하기 위해 수축하므로, 아프거나 불쾌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월경은 난소의 기능이 서서히 감퇴되어 없어지는 45~50세까지 계속된다. 월경은 갑작스럽게 끝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불규칙해지면서 서서히 멈추게 된다. 월경주기가 완전히 끝나는 폐경기는 여성의 일생에서 생식 가능한 기간이 끝났다는 것을 뜻한다.
월경기능이상에는 월경곤란증, 무월경, 호르몬 불균형이나 골반기관의 질병 또는 정서장애 등으로 인한 불규칙하거나 과다한 출혈 등이 있다. 임신하고 있는 동안과 출산 뒤 상당기간은 월경이 없는 것이 정상이다. 산모가 아기에게 젖을 먹이면 출산 후 6개월까지 월경이 다시 시작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배란은 월경주기 중간에 이루어지며 난자는 배란 뒤 약 2일 동안만 수정이 가능하다. 피임법 중의 하나인 주기법은 여성의 배란기가 거의 일정하다는 데 근거를 두고 있다. 그러나 월경주기가 불규칙적이면 배란기도 불규칙적이며 주기가 규칙적인 여성도 배란기는 변할 수 있다. 일부 여성은 정상적으로 월경을 하면서도 배란이 되지 않기 때문에 불임이 된다. 경구피임약을 쓰는 여성에게서도 이런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