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독일의 반성직주의

다른 표기 언어

독일에서 반성직주의는 새로운 것이 아니었으나 프랑스 대혁명 기간의 여러 가지 사상에 힘입어 지적인 면에서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독일 남부에서는 '평신도 국가' 원칙과 더불어 자유로운 사고가 발전했으며, 이는 1848년에 혁명사건들이 일어나게 한 부분적인 요인이 되었다. 또한 마르크스 사회주의가 일어남으로써 노동자 계층의 상당수가 반성직주의 진영에 가담했다.

그러나 인구가 많던 라인 강 유역의 로마 가톨릭 교도들 대부분이 입헌주의자로서 자유주의의 일부 내용에 동조했고, 사회 및 선거 개혁을 열정적으로 원했다. '중앙당' 결성으로 이어진 그들의 정치계획에는 모든 소수 종교집단의 권리를 보호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1871년 독일 통일 직후 오토 폰 비스마르크 총리는 자유주의 계획의 일부를 채택함으로써 '문화투쟁'(Kulturkampf), 즉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여러 차례에 걸친 공격을 시작했다. 반성직주의 법률이 제정되었는데 종교단체 수를 제한하고, 예수회를 금지하며, 세속결혼을 인정하고, 비협조적인 사제들을 교구에서 추방하는 것 등을 그 내용으로 했다. 저항하는 사람들은 처벌받았고 일부 주교들은 폐위당했다.

1880년대에는 반성직주의 법률 대부분이 법령집에서 지워졌다. 그러나 예수회에 대한 금지령은 1917년까지 계속되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1919~33)에는 로마 가톨릭교도에게 자유를 부여했다.

나치 독재정권(1933~45)은 로마 가톨릭과 개신교 모두에게 반성직주의 계획을 강요했다. 1933년 히틀러는 바티칸과 종교협정을 맺었으나 이 협정은 지켜진 것보다는 지켜지지 못한 것으로 유명했다. 로마 가톨릭과 루터교의 성직자 수백 명이 재판을 받고 투옥되거나 처형당했다.

1950년대 중반 독일의 반성직주의는 대부분 로마 가톨릭교도로 구성된 기민당에 반대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독일의 반성직주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