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스페인의 반성직주의

다른 표기 언어

스페인에서는 나폴레옹의 침략(1808)으로 반성직운동이 시작되었다. 1812년에 제정된 헌법에서는 종교재판소를 폐지하고 수도원의 숫자를 제한했으나, 가톨릭 신앙을 국교로 인정했다. 이 헌법은 1814년 페르디난드 7세가 왕권을 되찾음으로써 폐지되었다.

반성직주의파는 격렬하게 저항했고, 이때부터 1939년까지 스페인의 좌우익 투쟁은 라틴 유럽 그 어느 곳에서보다도 훨씬 더 성직자파와 반성직자파 사이의 갈등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 갈등은 1870년 이후에 더욱 격렬해졌다. 전통적으로 가톨릭을 반대하는 분위기가 강했던 바르셀로나에서는 강력한 노동조합주의자(Syndicalist)와 무정부주의자 단체들이 결성되었다. 최초의 스페인 공화국(1873)은 몇몇 반성직주의 법을 제정했으나 1875년 다시 왕정이 들어서면서 이 법들은 폐지되거나 무시되었다.

1909년 반성직주의 폭동이 일어나 군중은 교회를 불태우고 사제들을 습격했다. 이들을 진정시키는 조치로 정부는 수도원의 숫자를 제한하고 수도원이 벌인 사업에 세금을 부과했으며, 세속결혼을 의무화했다. 1931년 혁명을 통해 수립된 제2공화국에서는 반성직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아서 프랑스와 비슷한 반성직 법률을 제정했다(→ 스페인 내란). 그러나 이 정부는 군중이 교회와 수도원을 공격하는 것을 막지 못했고, 이로 인해 사제와 수녀들이 살해당했다.

이에 맞서 가톨릭 교회는 자체적으로 군대를 소집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 장군이 이끄는 반혁명파는 공화국에 대해서 전쟁을 선포했고, 그결과 수립된 팔랑헤 독재정부는 반성직주의 법률들을 폐지하거나 무시했다. 그러나 교회와 국가 간의 갈등은 1975년 프랑코가 죽은 뒤에도 그치지 않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종교

종교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스페인의 반성직주의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