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나이지리아 중동부 베누에 주, 베누에 강의 남쪽 연안 |
---|---|
인구 | 438,000명 (2022년 추계) |
면적 | 820㎢ |
언어 | 영어 |
대륙 | 아프리카 |
국가 | 나이지리아 |
요약 나이지리아 중동부에 있는 베누에 주의 주도. 베누에 강 남안에 있다. 1932년 베누에 강에 철도와 도로 겸용의 다리가 놓이고 난 뒤 운송 중심지로서의 자리를 굳혔으며, 지금은 북부 주들에서 오는 가축을 옮겨 싣는 주요지점이다. 나이저 강이 최고 수위를 기록하는 6~11월에는 항구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하며, 이 지역에서 재배하는 참깨와 면화를 비롯한 상품들을 배에 실어 203㎞ 서쪽의 나이저 강과 베누에 강이 합류되는 로코자와 나이저 강 삼각주 지대의 항구들로 나른다.
베누에 강 남안에 있다. 남남서쪽으로 449㎞ 떨어진 포트하커트를 기점으로 하는 철도가 조스와 카두나까지 연장된 1927년 무렵에 세워진 후 운송 및 거래의 중심지로 급성장했으며, 1976년 베누에플래토 주가 2개의 주로 나뉘자 베누에 주의 주도로 선정되었다.
마쿠르디는 1932년 베누에 강에 철도와 도로 겸용의 다리(길이 0.8㎞)가 놓이고 난 뒤 운송 중심지로서의 자리를 굳혔으며, 지금은 북부 주들에서 오는 가축을 옮겨 싣는 주요지점이다.
나이저 강이 최고 수위를 기록하는 6~11월에는 항구로서도 중요한 기능을 하며, 이 지역에서 재배하는 참깨와 면화를 비롯한 상품들을 배에 실어 203㎞ 서쪽의 나이저 강과 베누에 강이 합류되는 로코자와 나이저 강 삼각주 지대의 항구들로 나른다. 또한 티브족이 재배하는 마·수수·기장·쌀·카사바·시어버터나무열매·참깨기름·땅콩·콩·면화 등을 사고 파는 이 지역의 거래 중심지이며, 중형 선박을 만드는 조선소가 있다.
1970년대말에 포트하커트 근처의 정유공장에서 마쿠르디까지 송유관이 부설되었고, 1980년대에는 전국 배전망 시설사업의 일환으로 댐과 수력발전소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주변지역에는 석회석과 대리석이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으며, 이곳 남동쪽에 있는 얀데브에는 시멘트 공장이 가동중이다.
마쿠르디에는 무르탈라무하메드문리공과대학(1976), 연방공과대학, 하느님의 집회 무역회관, 국립공예학교 및 병원이 있다. 베누에 주 라디오 방송국이 있으며, 베누에 강 하류 유역개발공사의 본부가 있다. 간선 도로망이 지나며 공항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