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일반적으로 동제의 원형으로는 고대사회의 제천의례가 거론되고 있다. 즉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실린 군취가무의 고대적 제천의례를 근현대 동제의 원형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동제는 고려말·조선초의 본격적인 자연 마을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시의 생산력 발전에 따른 자연마을의 형성 및 그에 따른 마을 단위 의례의 변화에서 오늘날 동제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대표적인 예는 전통적으로 사불(祀佛)행사였던 향도(香徒)조직 및 그 의례의 변화이다. 향도는 본래 고려시대의 거군적(擧郡的)인 사불행사였으나 고려말·조선초에 이르면 보다 소규모의 마을단위 조직으로 그 성격이 변화된다. 이중 매향(埋香)의례를 이 조직이 수행했다는 사실이 매향비(埋香碑)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
매향의례는 향나무를 묻어 미륵과 만남으로써 새로운 세계의 도래를 희망하는 한편 마을의 안녕을 빌던 일종의 동제였다.
향도는 공동체 수호신앙조직이었으나 조선초 이래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지배계층에 의해 음사(淫祀)로 지탄받는 한편, 조선 중기 향약의 보급과 더불어 재지사족(在地士族) 중심의 동제에 편입되는 등 심한 변질을 겪었다. 그러나 18세기 후반에 이르러 촌락 분화가 보편화되고 자연 마을 중심의 운영구조가 정착되면서 상민 중심의 공동제의가 다시 자리잡게 되었다. 현재 볼 수 있는 동제는 이같은 역사적 변모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동제에 유교적 제사의 내용이나 형식이 심층에까지 침투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일제강점기 동안이나 근래의 동제에 대한 현지조사보고를 통해 시기·명칭·동신·신당(神堂)·절차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동제는 대개의 경우 정월, 특히 대보름에 지내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때로는 2월이나 5월, 10월 등에 지내기도 하나 많지 않다. 5월에 지내는 경우는 주로 밭농사지역인 강원도 등 동북부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10월 상달에 지내는 경우는 추수 후라는 시기로 비추어볼 때 고대부터 추수감사제의 성격을 이어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