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경골어강(硬骨魚綱 Osteichthyes)의 한 목(目).
약 150과(科)에 6,000종(種) 이상이 있는데 다랑어·고등어·새치류·퍼치고기 등 중요한 식용·낚시용 어류들이 여기에 포함된다(농어류). 대부분의 농어목 어류는 몸길이가 30~250㎝ 정도인데, 필리핀의 담수산 망둑어류 중 작은 것은 그 길이가 겨우 1.3㎝밖에 되지 않는다.
농어목 어류 중 가장 큰 것은 참다랭이와 몸무게가 680㎏에 달하는 인도 태평양의 녹새치이다.
농어목 어류는 전세계에 분포한다. 남극 어류의 3/4을 차지하는 농어목 종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빙어로 몸이 거의 투명하다. 인도-서태평양어류도 농어목에 속하는 것이 많은데 여기에는 놀래기류·망둑어류·점자돔류가 포함된다.
농어목의 담수산 어류로는 인도·아프리카·남북아메리카에 분포하는 시크리드류와 북아메리카·유럽에 분포하는 퍼치고기 및 검정우럭과가 있다.
태고 이래로 농어목 어류는 인간에게 중요한 식량이 되어 왔다. 고고학자들은 스코틀랜드에 있는 패총에서 감성돔류의 흔적을 찾아냈으며 나일농어는 이집트에서 미라로 발견되었다.
고대 로마인들은 촉수과(Nullidae) 어류를 유용한 식량으로 여겼다. 일본에서는 농어목 어류를 생선회로 먹거나 생선묵으로 먹는다. 젤리를 만들거나 포도주·맥주를 맑게 하는 데 사용되는 부레풀은 민어과 어류와 날가지숭어과 어류에서 얻는다. 이리치의 피부에서는 가죽을 얻으며 일본에서는 갈치의 피부에서 발견되는 구아닌으로 인공진주를 만든다.
어떤 농어목 어류는 특이한 습성을 가진다.
베도라치류 가운데 한 집단은 살아 있는 해면동물의 체강 내에 알을 낳는다. 켄트로프리스티스 스트리아타는 주로 암컷으로 태어나는데 그들 대부분이 5년 안에 수컷으로 변한다. 도미과 어류 11종은 생애의 어느 시기 또는 일생 동안 자웅동체이다. 대부분의 농어목 어류의 알은 수중에서 수정되지만 몇몇 종들은 체내수정을 한다. 많은 종이 유어를 보호한다.
또 어떤 농어목 어류는 다른 해산종들과 흥미로운 관계를 유지한다. 놀래기과에 속하는 청소부어류는 큰 포식성 어류의 입 안에 있는 기생충을 제거한다. 두줄베도라치(Aspidonotus taeniatus)도 청소부어류의 흉내를 내지만 청소를 하는 것이 아니고 지느러미를 물어뜯는다.
다른 어류들도 서로 비슷한 흉내를 내면서 살아가는데 어린 백미돔과 어류는 몸을 뒤집고 죽은 낙엽처럼 떠다니며, 베도라치류 가운데 어떤 것들은 먹이를 얻거나 자신을 방어할 목적으로 그들을 흉내낸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어류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