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사회주의국가의 교육

다른 표기 언어

요약 사회주의 교육론과 사회주의 국가에서 실시되는 교육제도.

소련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로 공산주의적 인간의 양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일관되게 추구해 왔다.

그러나 페레스트로이카의 영향으로 이전까지의 집단주의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나 아동의 창의력을 중시하고 교육을 민주화하려는 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1989년 소련 당국은 〈10월혁명과 페레스트로이카 The October Revolution and Perestroika〉에서 "경제·정치·지식의 분야에서 사회는 부도덕하게 침잠되었으며,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건강하지 못하고 교조적인 해석이 국민의 창의적 사고를 죽였다"고 스스로를 비판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육개혁을 위해서 1984년 4월 소련최고회의는 '일반 및 직업 학교개혁에 관한 지침'을 채택하여 학제 연장, 교육과정 개정, 교과서 개편, 능력주의 교육실시, 과학기술교육 강화에 관한 정책을 제시했고, 특히 1~4학년의 저학년단계에서 과학과목을 실시하고, 10~11학년에서는 컴퓨터 교육을 도입하는 등 과학기술과목에 집중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다.

1986년 현재 소련의 학제는 의무교육단계로서 보육원 및 유치원, 초등학교(1~4학년), 중등학교(5~9학년), 고급중등학교(10~11학년) 등 일반학교와 고등교육기관인 대학교(17~22세)로 구분되며, 이외에도 중등교육단계에 직업학교와 특수학교 등이 있다.

중국은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이 세워진 이래, 사회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부문에서도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 교육목표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문화혁명 기간중 이데올로기 교육으로 변질되어 교육이 황폐화되자, 1970년대 후반부터 덩샤오핑[鄧小平]을 중심으로 하는 정치세력이 교육의 현대화를 위한 정책을 제시했다.

1985년 5월 27일 '교육체제개혁에 관한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의 결정'에는 ① 교육을 통하여 민족의 능력을 높이고 인재를 육성해야 한다는 것, ② 기초교육의 책임을 지방에 분산시키고 9년제 의무교육을 실시한다는 것, ③ 중등교육기구를 정비하고 직업기술교육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 ④ 고등교육기관의 신입생 모집계획과 졸업생 직업배치를 개혁하고 자율권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 ⑤ 교육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교육체제개혁을 순조롭게 진행해야 한다는 것 등 5가지 사항이 결의되었다.

이것은 중국의 2000년대 교육을 지향하는 포괄적인 교육개혁안으로서, 1985년 6월 교육부를 폐지하고 보다 권한이 강화된 국가교육위원회를 신설하여 교육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1978년부터 '중점학교'라는 엘리트 교육기관이 설립되고, 사립직업학교가 허용되는 변화도 함께 일어나고 있다.

1986년 현재 중국의 학제는 유치원·소학교(5년제 또는 6년제)·중학교(6년제)를 포함하는 전일제 학교, 그리고 대학으로 이어지는 기간학제와 중등교육단계의 중등전문학교(5년제)·기술노동자학교(3년제)·직업학교(3년제), 고등교육단계의 단기직업대학 및 전과대학(2년제 또는 3년제) 등의 학교제도가 있다.

동유럽의 사회주의국가들은 소련의 개방정책과 독일의 통일 등으로 사회주의 체제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 이념교육보다는 교육의 현대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폴란드는 경제사정의 악화로 학생 수보다 학급 수가 상대적으로 더디게 증가하는 등 교육여건이 악화되고 있지만, 1983년 직업교육국 산하에 성인교육과 관련된 부서를 신설하여 계속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국민의 교육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고, 5만 명 이상의 도시는 장학관을 중심으로 지역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하고 있다.

이 점은 여타 동유럽 사회주의국가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성이다. 헝가리도 1980년대부터 학교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 갓소와 파타키의 제안으로 5세부터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기초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제안이 있었으며, 중등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을 펴고 있다. 북한의 교육에 대해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항목의 교육 참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교육

교육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사회주의국가의 교육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