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톈안먼 사건

다른 표기 언어 T'ienan Men Incident , 天安門事件

요약 톈안먼 사건은 1989년 4월 15일 급진개혁주의자로 학생들의 추앙을 받던 후야오방 전 당총서기가 사망하면서 점화되었다. 그가 사망하자 베이징대학교의 학생들이 그를 찬양하고 보수파를 비난하는 대자보를 붙이기 시작했고 베이징·상하이에서 학생들의 가두시위가 벌어졌다. 4월 22일 후야오방의 장례식에 수십만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참석하면서 본격적인 민주화 시위가 시작되었다. 5월 13일부터 2,000여 명의 학생이 톈안먼 광장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갔고, 5월 18일 시민·학생 100여 만 명이 단식농성 지지시위를 벌였다. 이에 당국은 19일 밤 전격적으로 베이징에 군을 투입하기 시작했고, 5월 20일 베이징 일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를 계기로 당내 보수파는 개혁파를 누르고 승리를 거두었다.

톈안먼 사건(天安門事件)

1989년 5월 19일, 상하이의 대학생들이 베이징에 연대한다는 의미의 현수막을 설치했다.

ⓒ zhenghu feng/위키피디아 | CC BY 2.0

개요

이 사건은 중국뿐만 아니라 동북 아시아 및 세계질서에 일대 충격을 몰고온 사건이었다.

사건의 배경

톈안먼 사건은 민주화 시위에 대한 군의 무력진압으로 빚어진 사건이지만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시행 이후 누적되어온 문제점이 폭발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78년 12월 중국공산당 제11기 제3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3중전회)에서 덩샤오핑[鄧小平]의 개혁개방노선이 확립된 이래 중국은 서구의 시장경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고 경제적 자유와 개방의 폭을 과감히 넓혀왔다. 그러나 정치개혁은 상대적으로 부진을 면하지 못했다. 정치권력의 집중화 현상 아래서 경제개혁정책은 필연적으로 부정부패를 수반했다.

지난 10년 동안 개혁개방정책으로 생활은 나아졌지만, 대신 특권층의 부패가 만연하여 인민들의 불만의 대상이 되어왔다. 더욱이 경제 과열로 인한 인플레와 소득격차에서 오는 불만감 등이 상승효과를 내어 급기야는 정치개혁을 요구하는 민주화 시위로 발전했다.

사건의 발단 및 전개

중국의 민주화 시위는 1989년 4월 15일 급진개혁주의자로 학생들의 추앙을 받던 후야오방[胡耀邦] 전 당총서기가 심장마비로 죽으면서 불이 붙었다.

그의 사망소식이 전해지자 베이징대학교[北京大學校] 학생들은 그를 찬양하고 보수파를 비난하는 대자보를 붙이기 시작하여, 4월 17일에 베이징·상하이[上海]에서 학생들의 가두시위가 벌어졌다. 이를 기폭제로 베이징대학교의 학생 수천 명은 톈안먼 광장에 집결하여 후야오방의 재평가를 요구하며 연좌시위에 들어갔다. 4월 22일 후야오방의 장례식에 수십만 명의 학생과 시민들이 참석하면서 본격적인 민주화 시위가 시작되었다.

5월 13일부터 2,000여 명의 학생이 톈안먼 광장에서 단식농성에 들어갔고, 5월 18일 시민·학생 100여 만 명이 단식농성 지지시위를 벌였다. 이에 당국은 19일 밤에 전격적으로 베이징에 군을 투입하기 시작했고, 5월 20일 베이징 일대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를 계기로 당내 보수파는 개혁파를 누르고 승리를 거두었다. 개혁파를 대표하는 자오쯔양[趙紫陽] 당총서기와 정치국 상무위원 후치리[胡啓立]가 축출되고 강경파인 리펑[李鵬] 총리가 정권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베이징의 시위는 중국 전역으로 번졌다. 상하이는 물론 선양[瀋陽]·창춘[長春]·창사[長沙] 등에서 전국적인 시위가 잇달았고, 결국 6월 4일 '피의 일요일'로 불리는 군의 대학살로 이어졌다. 중국군은 시위대를 무차별 살해함으로써 민주화 시위를 종식시켰다. 혼란이 계속되는 동안 모습을 나타내지 않아 사망설까지 나돌던 덩샤오핑이 6월 9일 공석에 모습을 나타냈다. 그는 이날 베이징 일대에 출동한 군지휘관들을 접견하여 '반(反)혁명 폭동'이 진압되었다고 선언함으로써 세계를 경악하게 했던 중국사태는 강경보수파의 승리로 끝났다.

사건 이후 중국 정부의 동향

이후 중국 당국은 세계여론의 빗발치는 비난과 경제제재 조치에도 불구하고, 반대자들에 대한 체포와 숙청을 단행했다.

중국공산당은 6월 23일부터 2일간 제13기 4중전회를 열고 자오쯔양 지지세력을 제거하는 권력개편을 단행했다. 정치국원 겸 상하이 시 당서기 장쩌민[江澤民]이 자오쯔양의 뒤를 이어 신임 총서기에 선출됨으로써 리펑·장쩌민 체제가 정식으로 출범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후야오방 추모 행사에 참석한 대학생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톈안먼 사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