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중국 당대(唐代:618~907)에 지어진 시의 총칭(중국문학).
(병). Tang shi. (웨). T'ang shih.
오대(五代)의 작품도 포함된다.
이 시기에 작가들의 폭도 다양해졌으며, 많은 시인들이 활약했다. 청대(淸代) 1707년(강희 46)에 편찬된 〈전당시 全唐詩〉에 2,300여 명의 시인과 4만 8,900여 수의 작품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당시의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가 가진 문학상의 의의를 논할 때 주목해야 할 점은 중국 고전시의 형식이 이 시대에 완성되었다는 것이다. 정형화되어 있는 당시의 운율법칙은 후세 모든 시인들의 규범이 되었다.
당시의 발전단계는 초당(初唐)·성당(盛唐)·중당(中唐)·만당(晩唐)의 4시기로 구분된다.
초당(618~712)의 시인은 대부분 관리였으며 따라서 이 시기의 주류는 궁정시였다. 그리고 여러 시인들이 경쟁했기 때문에 서로의 시를 제약하는 갖가지 규칙이 정해져서 시의 정형화를 촉진했다. 초당4걸로 병칭되는 왕발(王勃)·노조린(盧照隣)·양형(楊炯)·낙빈왕(駱賓王)이 유명하다. 초당 후기에는 유미주의(唯美主義) 시풍을 계승하면서 궁정시인으로서 율시(律詩)의 완성을 적극 후원한 문장4우(文章四友)가 있었다. 이들은 최융(崔融)·이교(李嶠)·소미도(蘇味道)·두심언(杜審言)으로, 후에 심전기(沈佺期)·송지문(宋之問)이 근체시를 완성시키는 데 바탕을 마련했다.
성당(713~765)의 시인은 유명한 사람이 많지만 왕유(王維)·이백(李白)·두보(杜甫)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들은 각기 다른 사상을 정신적인 지주로 삼았는데, 왕유는 불교, 이백은 도가, 두보는 유가의 신념을 지켰다. 그에 따라 이들 시의 품격도 달라졌다. 왕유는 '자연시'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오언(五言)이 중심이 되는 시를 썼으며 전원의 한적한 생활과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을 노래했다.
이백은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위대한 시인으로, 아름다운 산수시(山水詩)의 정취와 웅대한 악부시(樂府詩)의 풍격을 흡수했고 오언·칠언의 장편·단편에 모두 능했다. 두보는 성당 시대에 이백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또다른 위대한 시인이다. 그들은 흔히 '이·두'로 불리지만, 이백의 성격이 격정적이고 자유분방한 데 비하여 두보는 유가적인 윤리관을 바탕으로 현실에 충실한 사람이었다.
중당(766~835)의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한유(韓愈)와 백거이(白居易)를 들 수 있다.
이들은 율시도 잘 지었으나 고체시(古體詩)에 특히 뛰어났다. 한유의 고시는 흔히 '험난하고 괴이하다'고 형용되어지며 백거이의 시는 평이하고 명쾌하다. 또한 이들은 안사(安史)의 난 직후의 혼란했던 사회상을 작품에 반영하려고 노력했다. 백거이는 신악부(新樂府) 운동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했으며, 한유는 고문운동(古文運動)에서 문장의 형식보다 내용을 중시했다.
만당(836~907)에서는 경쾌한 필치로 시를 지었던 두목(杜牧)과, 연애를 주제로 상징수법을 사용했고 칠언고시에 뛰어났던 이상은(李商隱)이 걸출하다.
이상은은 중국 시인 가운데 가장 난해한 시를 쓴 작가로 중국시의 창작기교 발전에 많은 공헌을 했다. 당시선집으로는 송대 주필(周弼)의 〈삼체시 三體詩〉와 명대 이반룡(李攀龍)이 지었다고 하는 〈당시선 唐詩選〉이 있다.
전자는 중당·만당의 금체시(今體詩)만을 수록하여 섬세하고 아름다운 당시의 특징을 강조했고, 후자는 주로 초당·성당의 시를 수록하고 고체시도 실었지만 선택이 조금 치우친 감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