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위치 | 시리아 남서부 |
---|---|
인구 | 2,392,045명 (2020년 추계) |
면적 | 105.0㎢ |
언어 | 아랍어 |
대륙 | 중동 |
국가 | 시리아 |
요약 시리아의 수도. 시리아 남서부에 있다. 옛날부터 '동양의 진주'라고 불렸다. 시내를 가로지르는 바라다 강에서 물이 흘러들어가는 알구타 오아시스 주변지역에는 온대와 아열대식물이 자란다. 올리브와 포도를 비롯한 과일·곡식·콩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야채도 재배하고 있다. 남쪽에 자리잡은 옛 시가지에는 중요한 이슬람 사원들, 대상들이 묵는 여관, 시장 등이 있다. 1929년에 시작한 근대 도시계획으로 아부룸마나 같은 새로운 주거지역이 발달하게 되었다. 면적 105.0㎢, 인구 2,392,045(2020 추계).
개요
시리아 남서부에 있다. 옛날부터 '동양의 진주'라고 불렸으며 661~750년 이슬람 제국의 수도였다. BC 3000년경 세워진 것으로 보이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라고 보는 학설이 유력하다. BC 15세기부터 다마스쿠스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카시윤 산 기슭 알구타 오아시스의 과수원들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도시 사방에 탁트인 평야가 펼쳐져 있으나 서쪽에는 산맥이 솟아 있다. 카시윤 산의 비탈을 따라 뻗어나왔으나 주로 완만한 북동쪽과 남쪽으로 펼쳐져 있다. 지중해에서 동쪽으로 80㎞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도 레바논 산맥과 안티레바논 산맥이 습기를 많이 머금은 서풍을 가로막고 있어 반건조지대가 되었다.
시내를 가로지르는 바라다 강에서 물이 흘러들어가는 알구타 오아시스 주변지역에는 온대와 아열대식물이 자란다. 올리브와 포도를 비롯한 과일·곡식·콩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야채도 재배하고 있다. 식용으로 소·염소·양도 키운다.
경제
자개세공품, 상감무늬를 넣은 목공예품, 비단, 구리 제품, 공기를 불어넣어 만든 유리제품 등을 수공업으로 생산한다. 직물 또한 매우 중요한 수공업제품이다. 현대적인 공업으로는 식료품·피혁가공·인쇄·가구·의류·구두제조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동지방 도시들을 연결하는 중계무역에서 큰 몫을 하고 있으며 시리아의 다른 지역에 수입품을 보내는 일도 한다. 시골에서 많은 사람들이 옮겨와 살면서 소매상점과 소매상인도 많이 생겨났다. 강 남쪽에 자리잡은 옛 시가지에는 중요한 이슬람 사원들, 대상들이 묵는 여관, 시장 같은 곳이 있다.
관광/생활/교육
가장 잘 알려진 곳은 다마스쿠스 대사원(705경 세우기 시작한 우마이야 왕조의 사원)과 성채(1219 재건)이다. 1929년에 시작한 근대 도시계획으로 아부룸마나 같은 새로운 주거지역이 발달하게 되었다.
관청은 옛 시가지 서쪽에 흩어져 있으며 특히 번화한 마르자 광장에 많이 모여 있다. 안뜰과 옥외 분수를 갖춘 다마스쿠스의 전형적인 주택은 요즘에는 짓지 않지만 아직도 옛 시가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교육과 과학기관으로는 다마스쿠스대학교(1903), 외국에서 온 고고학자들이 하는 일을 감독하는 다마스쿠스 국립박물관(1921)과 아랍 아카데미(1919), 시리아 국립도서관(1880) 등이 있다. 최신식으로 지어 1984년 완공한 아사드 도서관은 중동지방의 주요 연구기관이다.
교통
시내 교통수단은 버스·택시·자동차이며 시리아 북서부 알레포와 외국 도시인 암만·요르단·베이루트까지 국도로 연결된다. 동쪽으로 약 32㎞ 떨어진 곳에는 국제공항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